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문화 학생을 위한 미술 치료 방법 활용 미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Using art therapy methods Ar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multicultural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해윤

Advisor
김형숙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미술치료다문화미술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미술교육전공, 2022. 8. 김형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expand the healing properties of art by applying a therapeutic approach to art and the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times that require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in the regular curriculum a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s, and promotes personality-oriented education beyond traditional educational goals.
First, the necessity of research was considered by examining the right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students by examining previous research data as a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And the merits, precau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 cases of art therapy were explored. Also, looking at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the possibility of reconstruction through the art therapy approach of art subjects was exa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vious research data, a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d an art therapy approach in the art curriculum was developed, and a counseling method using art therapy suitable for student counseling was explored.
Next, a full-scale implementation study was conducted. The 8th class of art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students who applied art therapy method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level and interests of the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class teacher in charge of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by combining observational evaluation during class, portfolio evaluation through activity sheets and class results, and interview with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when the art diagnostic test was used for student counseling, the counseling proceeded smoothly. Multicultural students are more vulnerable to difficulties in adjusting to school life than non-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is more difficult than for non-multicultural students. Because there is a language barrier.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 received a great help in consulting with the students when the counseling was conducted using the art diagnostic test.
Seco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applying the art therapy method, changes and development in the emotional aspect of the students were revealed. The 2015 revised art and curriculum emphasizes the personality aspect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educational goals. However, in the existing curriculum, there were no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or methods to cultivate the personality aspect. In this program to which the art therapy method was applied,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with other students, and the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art education program could be seen.
As a result of applying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d the art therapy method to the 3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was confirmed as expec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conclus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so that art education applying art therapy methods as in this study can be universalized and developed systematically.
First, research on art therapy in schools should be activated in terms of counseling and personality with students. Many teachers are having difficulties in counseling students, an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A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positive effect of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art therapy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utilize art therapy in art classes in the future.
Second, although the study was conducted on multicultural students in this study, classes in which art therapy methods are applied in schools should be developed for a variety of students. Besides multicultural students,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students in the school. For example, children who are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with disabilities live together in the classroom, but communication with general students is difficult due to language and behavioral problems.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y find it difficult to teach general subjects and prefer art classes. For these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communication and sympathy between special children and general students can be elicited through classes that apply art therapy methods.
Third, compared to the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methods, it is rarely used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created by an expert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the homeroom teacher in the school.
This study was designed after sufficiently analyzing the meaning of art therapy for character development and research related to multicultural students in line with the talents and capabilities emphasized by the current curriculum. . Based on the expanded meaning and possibility of art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healing properties of art education will be actively reconstructed by weaving it with various themes in subsequent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에 치료적 접근을 접목하여 미술이 가지는 치유적 속성을 확대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다문화 학생이 늘어감에 따라 정규 교육과정 내에 이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전통적인 교육 목표를 뛰어넘어 인성적 측면의 교육을 도모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하였다.
코로나 상황으로 인하여 대면 접촉이 어려워지면서 학생 정신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지만, 학교 생활의 부적응은 학교 중도 포기로 이어지는데 다문화 학생의 경우 다문화가 아닌 학생보다 취약한 상황에 놓여져 있다. 하지만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다문화 학생을 위한 학교 내에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의 정신 건강을 살피고 학생과 교사 간 관계 개선, 학생들간 관계 개선에 대한 프로그램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선행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다문화 학생 대상 미술 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의식을 기르는 데 집중 되었다. 둘째, 교실 환경에서의 미술 치료 수업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대부분 미술 치료 수업에 관한 연구는 교실보다는 지역 아동 센터에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학생을 위한 미술 치료 방법을 활용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영향에 관해 확인하였다.
먼저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선행 연구 자료를 고찰하여 다문화 미술 교육의 다양한 방향과 다문화 학생들의 특성을 살펴보며 연구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미술 치료의 장점과 유의사항, 실제 적용사례 등을 탐색하였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교육과정을 살펴보며 미술 교과의 미술치료적 접근을 통한 재구성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하여 미술 교육과정에서의 미술 치료적 접근을 적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학생 상담시 활용하는데 적합한 미술치료를 활용한 상담 방식을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본격적인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수준 및 흥미와 다문화 학생 담당 학급 교사와의 면담을 진행하여 미술치료 방법을 적용한 다문화 학생 대상 8차시의 미술 교육 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수업 중 관찰 평가, 활동지와 수업 결과물을 통한 포트폴리오 평가, 담임 교사 면담을 종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미술 진단 검사를 학생 상담에 활용할 경우 상담이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다문화 학생의 경우 다문화가 아닌 학생들보다 학교 생활 적응에 있어서 어려움에 취약하다. 그러나 다문화 학생 상담은 다문화 학생이 아닌 학생보다 어렵다. 언어의 장벽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미술 진단 검사를 활용하여 상담을 진행하였을 때 교사가 학생과 상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미술 치료 방법을 적용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 검사를 통하여 학생들의 정서적 측면에서의 변화와 발전이 나타났다. 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전통적인 교육 목표에 더불어 인성적 측면을 강조한다. 그러나 기존 교육과정에서는 인성적 측면을 기를 수 있는 교육 내용이나 방법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았다. 미술 치료 방법을 적용한 본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사회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미술 교육 프로그램과의 차별성이 드러났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미술 치료 방법을 적용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자가 예상한 대로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론과 제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와 같이 미술 치료 방법을 적용한 미술교육이 보편화되고 체계적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생들과의 상담 및 인성적 측면에 있어서 학교 내에 미술 치료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많은 교사들이 학생 상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의 자존감, 사회성 향상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미술치료를 활용한 미술 교육 프로그램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듯 추후 미술 치료를 미술 수업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 내에서 미술 치료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개발되어야 한다. 다문화 학생 외에도 학교 내에는 여러 다양한 학생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장애를 가진 특수 교육 대상자인 아동의 경우 교실에서 같이 생활하지만 언어와 행동의 문제로 인하여 일반 학생들과 소통이 어렵다. 장애 아동의 경우 특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교과 수업을 어려워하며 미술 수업을 선호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아동을 위하여 미술 치료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하여 특수 아동과 일반 학생들 간의 소통과 교감을 이끌어 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현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인재상과 역량에 방향을 맞추어 인성 함양을 위한 미술 치료의 의미와 다문화 학생 관련 연구를 충분히 분석한 뒤 설계되었으며, 미술 치료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사한 미술 교육의 확장된 의미와 가능성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이 가지는 치유적 속성이 여러 가지 주제와 함께 엮어 적극적으로 재구성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6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9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