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보 처리 깊이(depth of processing)와 매체별 노트 필기 방식에 따른 학습효과 연구 : Learning Effect of Note-taking Methods in Different Media Depending on Imagery and Verbal Materia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정

Advisor
이준환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트필기처리깊이인지부하멀티미디어학습효과디지털매체종이매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2022. 8. 이준환.
Abstract
필기는 오래전부터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축을 담당해왔으며, 인류는 자신의 생각을 최대한 빠르고 간편하게 기록하기 위해 필기 매체나 도구의 형태를 계속해서 발전시켜왔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노트북과 같이 컴퓨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가 끊임없이 개선되고 보급되면서 크게 두 가지 방식의 필기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게 된다. 첫 번째는 과거 전통적인 필기 방식인 종이 필기 방식이며, 두 번째 필기 방식은 타자기 필기 방식을 계승하여 이를 디지털화한, PC를 이용한 노트북 필기이다. 노트북과 같은 새로운 필기 매체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연구자들은 여전히 직접 손을 사용하여서 하는 필기가 더 학습 효과에 더 우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다른 일부 연구에서는 노트북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인 결과가 나오면서 매체별 학습 효과 연구 결과는 일관된 양상을 보이지 못했다. 코로나-19 이후로 인한 비대면 수업 증가와 온라인 학습 강의 영상이 많아지면서 멀티미디어 학습 상황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버렸다. 멀티미디어 효과 연구를 발전시킨 메이어에 의하면, 수업 내용을 글자로만 설명하는 것보다 글자와 그림을 함께 사용해서 설명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학습을 매체별 노트필기 연구에 적용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의의 종류(글자 중심으로 구성된 강의, 이미지 중심으로 구성된 강의)와 노트 테이킹 방식(노트북 타이핑, 종이 필기)에서 나타나는 학습 효과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습자에게 나타나는 실제 학습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학습 효과뿐만 아니라 노트필기 기록물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겪은 정보 처리 과정을 분석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트필기 기록물 특성이 각 강의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매체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사실 기반의 문제와 개념 활용 문제를 이용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트필기 결과물에서 학습자의 정보 처리 과정을 분석한 결과, 종이 필기 방식이 노트북 타이핑 방식보다 정보 처리 깊이가 높은 형태의 노트 기록물을 만들어냈다. 강의의 방식에 따른 노트 필기 기록물에서는 정보 처리 깊이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런데 실제 학습 성취 결과, 노트 테이킹 방식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하였지만, 강의의 방식에서 나타난 영향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 효과의 경우에는 사실적 세부사항을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모든 조건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개념적 활용 문제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점수에 따른 편차가 존재했다. 과거 연구에서는 높은 정보 처리 과정을 겪게 된다면 더 높은 학업 성취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본 연구에서는 정보 처리 과정의 수준과 학습 효과 간에 연관성이 없다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노트필기 자체보다는 다른 주요 변수인 강의 동영상의 형태(presentation mode)가 학습자의 학습 효과와 이해도에 훨씬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추가로 학생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매체의 효용성 측면에서는 종이 필기 방식이 더 우위에 있었는데, 각 매체의 종류에 따라 장단점이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선호도에 따라 노트 테이킹 방식을 선택해도 학습 효과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노트 테이킹 방식의 인터페이스 자체에서 나타나는 행동 유도성(affordance)에 따른 기능적 영향은 존재할 수밖에 없다. 비교적 최근에는 디지털 학습 매체를 이용하는 인터페이스가 부상하고 있다. 학습자의 편리성을 위해 다양한 노트필기 소프트웨어들이 등장하고 있다. 각 소프트웨어에 따라 학습자에게 오디오 녹음, 비디오 녹화, 디지털 펜을 이용한 강조 표시, 슬라이드 주석, 다이어그램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새로운 노트필기 기능 추가 외에도 본 연구에서 살펴본 노트필기에서 나타난 정보 처리 깊이 수준 분석에서 나타난 강조 표시 비율, 이미지 비율 등에서 나타나는 노트 테이킹 방식에서 나타나는 매체별 행동 유도성(affordance)의 입력 방식 차이도 마찬가지로 노트필기의 인터페이스적 디자인 요소에서 고려될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강의 내용의 수동적인 학습 내용 기록뿐만 아니라, 학습 효과 증진을 위한 능동적인 정보 이해, 생산을 위한 디자인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Writing has long been a key axis of communication, and humans have continuously sought to develop and improve the form of writing media or tools to record their thoughts as quickly and conveniently as possible. In the pha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ote taking has been digitalized and the non-face-to-face conversion of myriad social interactions due to COVID-19 has merely accelerated the pa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eople proces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ote taking method (typing method, handwriting method) for each lecture type (letter-oriented lecture, image-oriented lecture), and how the information-processing processes can affect learning effects and outcomes. In this studys first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 two groups; letter-oriented lecture and image-oriented lecture. They were asked to take notes under two different note taking method. After the lecture, they were asked to review for three minutes the notes they took. They also took a set of comprehension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er's depth of processing, longhand method produced a note record with a higher information processing depth than the notebook typing method. However, (2) the actual learning achievement results did not produce Meaningful results in the note taking method(longhand versus notebook typing), whereas the effect of the presentation mode(image-centered lecture, letter-centered lecture) was clear. In the case of learning effect and outcom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conditions for factual details, but there was a deviation according to the conceptual application questions. Past studies have shown that higher information processing leads to higher academic achievement, but this study showed conflicting results, inasmuch as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learning effects and outcomes. Instead, the other major variable – presentation mode – had a much greater influence on the actual encoding effect than the note taking method itself. Additionally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bjectively felt in effectiveness of the medium in terms of the utility, the paper note method was superior. Finally, since the pros and cons of each medium are clearly distinguished, choosing a note taking media according to students' preferences seems reasonabl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9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