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미투 이후 공동체 이상의 재구성과 진정성의 수행 : Reconfiguring the Community Ideal and Practicing Authenticity in a Post-#Metoo South Korea: An Ethnographic Study of a Theater Company
민간극단 S의 연극 실천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혜림

Advisor
정향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미투운동연극공동체사회성진정성청년세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2. 8. 정향진.
Abstract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effects of the #Metoo movement in performing art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 examined the changes in theater culture it caused and the meanings of these changes. The #Metoo movement kicked off in January of 2018 when the prosecutor Seo Ji-hyeon revealed a sexual abuse case from within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that had spread from the political, legal, and business fields to the culture and arts fields, causing a great stir in Korean society. The #Metoo movement not only accused the perpetrators of sexual violence and criticized certain individuals but also created a movement to reflect on the entire culture and system of the theater industry. Given the critical discourse on the hierarchical and closed communities that arose during the #Metoo movemen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how the movement affected relationship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actual theater workers. Through ethnographic field research, this study explored sociality and theatre practices at a private theatre, referred to here as Theatre Company S.
Theater S is pursuing changes collectively as a theater company in the wake of the #Metoo movement. To survive in the competitive world of performing arts, its members have pursued the important goal of working together with other members to continue holding performances. For those young actors who had not secured their place in the theatrical world, the theater company was a stepping stone; by working together, they would elevate their social position collectively. After the #MeToo Movement, the member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protective aspect of the theater company, intensifying the emotional dimension of relationships among the members. As of now, their feelings of belonging towards each other in the company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heir social achievement and are now pursued as a significant goal in itself.
Moreover, a sense of danger triggered by the #MeToo Movement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members to strive for safety, which led them to form an alternative community ideal with a keen awareness of the limitations of the established structure. The community ideal was practiced by establishing and reinforcing norms of a judicial nature to make the company a safer place. The norms, documented in the form of guidelines, emphasize victim-centered ethics and assume a strict attitude against hurt and pain.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eater members and protect the value of safety, the scope of the guidelines has gradually expanded, and its content has become more detailed. The members aspired for an equal, safe, and honest community, but the norms of the theater company also restrained them, becoming a mechanism that made it challenging to communicate as sincerely as they wished.
The victim-centered ethics was not only considered an important value in relationships within the company but was regarded as a linchpin that constitutes the artistic authenticity of the theater company. The members wished to face their honest selves through plays, which was an important reason they continued working in theaters. The members reflected on their own a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victim-centered ethics valued in the company and reaffirmed the ethical value pursued in the group. The process of the members reflecting on their true selves was collectively practiced through the collaborative production process of the theater company. The members have become catalysts that lead and encourage each other to better self-introspection. This process, superimposed with the we-ness of the company, was understood as an opportunity for not only me to face myself but us to face us. The creation and performance of plays thus took a ritualistic character as the process of facing me within the framework of us made our community more authentic and ethical.
This study found that artists have been attempting various practices to reflect on and change the theater scene surrounding them in the wake of the #MeToo movement. Such practices were not only transforming the environment in which theater art is created but were creating a new trend of recreating the value and meaning of artistic authenticit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eToo Movement displayed an aspect of a social movement that not only accuses the perpetrators of sexual violence but also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theater artists to realize their rights and create an impetus for changes throughout the production sites.
본고는 공연예술계 미투운동이 한국 연극계에 미친 영향, 구체적으로는 극단 문화에 만들어낸 변화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8년 1월 서지현 검사의 검찰 내부 성폭력 폭로로 촉발된 미투(#metoo)운동은 법조계와 정·재계에 이어 문화예술계로 확산되며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미투운동은 성폭력 가해자를 고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연극계의 문화와 제도 전반을 성찰하고 변화를 촉구하는 움직임을 만들어내었다. 미투운동 과정에서 공연예술계에 작동하는 강한 위계질서와 특유의 집단주의적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이 형성되었던 만큼, 미투운동이 실제 연극인들의 상호관계와 작업 환경에 어떤 영향을 가져왔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미투운동 이후 극단 차원에서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 민간 청년 극단 S의 연극 실천을 탐구하였다.
극단 S의 단원들은 경쟁적인 공연예술계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극단 단위로 단합하여 연극 활동을 지속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추구해왔다. 즉 극단원들에게 극단은 연극계에 아직 자리잡지 못한 청년 연극인들의 집단적 계층 상승을 위한 도구적 의미를 강하게 띠고 있었다. 미투운동 이후, 단원들은 극단의 도구적 측면보다도 보호적 측면을 더욱 강조하는 모습을 보이며 관계의 서정성 또한 강화되는 양상을 띤다. 현재 극단에서 서로를 향한 마음은 우리를 연결해주는 접착제로서의 도구적 역할을 넘어서 그 자체로 중요하게 추구되어야 할 목적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미투운동이 촉발한 위험의 감각은 극단원들의 안전 욕구를 추동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는 기성 구조를 강하게 인식하는 가운데 대안적 공동체 이상을 세우는 실천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동체적 이상의 실천은 극단을 안전하게 만들기 위해 사법적 성격의 규범을 세우고 이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지침서라는 문서화된 형태로 표현되는 극단의 규범은 피해자 중심적 윤리를 강조하며 상처와 고통에 엄격하다. 극단원들간 관계에서 상처를 최소화함으로써 안전함의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지침서가 다루는 대상의 범위는 점점 확대되고 그 내용은 세분화된 형태로 발전해왔다. 단원들은 평등하고 안전하며 서로에게 진솔한 공동체를 지향하지만, 극단에서 작동하는 규범들은 구성원들의 행위를 구속함으로써 이들이 지향하는 진솔한 소통을 어렵게 만드는 기제로 작동하기도 하였다.
피해자 중심적 윤리는 극단 내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극단의 예술적 진정성을 구성하는 핵심 축으로 작동하고 있다. 단원들은 연극을 통해 솔직한 스스로의 모습을 마주하기를 원하며, 이는 연극을 하는 중요한 이유로 여겨진다. 단원들은 극단에서 중시되는 피해자 중심적 윤리에 따라 스스로의 모습을 반성적으로 성찰하면서 집단에서 추구되는 윤리적 가치를 재확인한다. 이때 진정한 스스로를 마주하는 과정은 공동창작이라는 극단의 제작 방식을 통해 집단적으로 실천된다. 단원들은 서로를 반성적 성찰로 이끄는 촉매제이자 반성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은 극단이 가지고 있는 우리성과 겹쳐지면서 내가 나를 마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우리를 마주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처럼 연극의 창작과 수행은 우리의 틀 안에서 나를 마주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 공동체를 더 진정하고 윤리적인 것으로 만드는 의례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투운동이라는 사회적 사건을 계기로 예술인들이 자신을 둘러싼 공연예술계 환경을 반성적으로 성찰하고 변화를 위한 여러가지 실천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천들은 예술이 창작되는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적 진정성의 가치와 의미를 재구성하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이를 통해 미투운동이 성폭력 가해자 고발을 넘어서 공연예술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는 계기이자 공연 제작 현장 전반에서 변화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사회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5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