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sumer's Lov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여정성-
dc.contributor.author안영리-
dc.date.accessioned2022-12-29T08:37:27Z-
dc.date.available2022-12-29T08:37:27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other00000017317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88237-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17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2022. 8. 여정성.-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클래식음악(classical music) 소비자의 공연예술(performing arts) 애호에 관한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질적연구(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를 수행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현상의 주체로서 개인 혹은 집단의 경험에 관한 본질 구조와 의미를 이해하고자 수행되는 질적연구의 한 방법이다.
클래식음악은 고급문화(high culture) 혹은 엘리트문화(elite culture)의 전형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종종 사치재(luxury goods)로 오인된다. 클래식음악 장르의 공연예술은 작곡가가 엄격한 예술적 양식에 근거하여 창작한 작품을 연주자가 무대 위에서 직접 실연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는데, 연주곡목이나 연주자의 해석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과 미학적 문해력(aesthetic literacy)의 수준은 예술적 체험의 만족과 지속의 수준을 결정짓는다. 또한, 공연예술의 현전(présence)과 찰나적(momentary)속성은 공연예술 소비의 핵심가치이면서 생산과 소비를 제한하는 본질적 속성이다. 이러한 클래식음악의 특성과 공연예술의 본질 속성은 클래식음악 장르의 공연예술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이 낮은 주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클래식음악은 교육 수준이 높고, 시간과 소득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고소득층과 은퇴 인구를 중심으로 소비되었다. 그러나, 최근 한국에서는 20대 ~ 40대의 소비자가 클래식음악 공연 유료 관객의 다수를 차지하는 등 특징적인 소비 현상이 관찰된다.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소비자 중에서 최근 10년의 기간 중에 클래식음악 공연을 최소 1년 이상, 연간 10회 이상 유료 관람한 경험이 있는 성인 20인을 연구의 참여자로 모집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와 1:1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경험을 청취 및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들을 현상학적 연구의 Colaizzi(1978) 분석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은 총 9개 범주로 구성되었다. 각 범주는클래식음악과의 첫 만남, 강렬한 예술적 체험의 기억, 자발적 소비의 시작, 소비의 지속, 소비 지속을 위한 전략 행동, 소비의 확장, 구매 결정요인, 관람 만족요인, 클래식음악 핵심가치로 구성되었으며, 각 범주에 해당하는 경험의 양상들이 기술되었다. 이어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범주와 양상들로부터 클래식음악 소비자가 공연예술을 애호하게 되는 구조와 영향요인들을 도출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는 입장권 구매, 정보 평가, 관람, 후원이라는 공연예술 소비 행동을 통해 예술적 체험과 클래식음악 지식을 축적하고, 소비와 학습을 지속, 심화, 확장시켜 나가는 지속성과 확장성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아비투스(habitus), 예술적 체험에 관한 기억, 소비자 역량, 미학적 문해력, 관람 만족요인, 클래식음악의 핵심가치와 같은 내재적 요인들과, 시간·소득, 문화예술 인프라 접근성, 정보·지식 온라인 플랫폼과 같은 외재적 요인들이 애호의 지속과 확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가 공연예술 애호를 지속, 확장시키는 과정은 개인문화자본(cultural capital)을 축적하고, 자원과 노력의 지속적인 투입을 수반하는 진지한 여가를 통해 자아성장(self-growth)을 추구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또한, 공연예술의 애호는 일상의 생활세계와는 구분되는 이상향으로서의 예술세계를 향한 이해와 사랑을 통해 대상과 동화되는 미메시스(mimesis)의 과정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비자는 관객(audience)이나 소비자(consumer)에 머무르지 않고, 후원자(patron)이자 프로슈머(prosumer)로서 예술세계에서의 참여 수준과 정체성(identity)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에게 공연예술의 애호는 문화적 아비투스와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아 성장과 예술적 참여의 가능성을 펼치는 등 내적 안정과 성장을 도모하는 장(field)이자 사회 세계(social world)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의 양상과 본질구조, 의미를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여가의 선택지로서 클래식음악 공연에 대한 소비자 접근성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예술 소비와 관련한 후속 연구의 방향과 주제를 제언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nducted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consumer's lov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The researcher recruited 20 consumers who love classical music concer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y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Colaizzi (1978) method, and total 9 categorical aspects of the experience were analyzed.
Consumers lov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was characterized by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consumption and learning of classical music. Intrinsic factors such as consumers 'habitus', 'memories of artistic experience', 'consumer competence', 'aesthetic literacy', 'satisfaction', 'classical music core value', and extrinsic factors such as 'free time and income', 'access to cultural infrastructure', and 'ICT platform' were found to influence the love.
Consumers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consumption and learning of classical music is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accumulating 'cultural capital' and pursuing 'self-growth' through serious leisure. It is also interpreted as a process of 'mimesis' assimilating with the object through an understanding and love for the art world that is distinct from the everyday living world. In this structure, the consumer appears to be a 'patron' and a 'prosumer' whos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art world is chang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proposed ways to ensure the choic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and expand access to classical music performances. The direction and the topics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arts consumption were also sugges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문제 제기 1
제 2 절 연구 목적 및 내용 4
1. 연구 목적 4
2. 연구 내용 5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 1 절 예술 소비에 관한 이론 8
1. 계급론적 관점: Bourdieu의 문화자본론 8
2. 여가론적 관점: Stebbins의 진지한 여가 17
3. 문화예술론적 관점: Adorno의 미메시스 25
제 2 절 클래식음악의 특성과 소비의 역사 32
1. 클래식음악의 특성 32
2. 클래식음악 소비의 역사 35
3. 한국 사회의 클래식음악 수용과 소비 양상 42
제 3 절 공연예술 소비 행동의 네 측면 46
1. 입장권 구매 47
2. 정보 평가 52
3. 관람 54
4. 후원 59
제 3 장 연구문제와 방법 63
제 1 절 연구문제 63
제 2 절 연구방법 64
1. 현상학적 연구의 특징과 방법 64
2. 연구의 흐름 70
제 3 절 연구 참여자 선정 72
1. 연구 참여자 모집 72
2. 연구 참여자 선정 74
제 4 절 자료의 수집분석 및 신뢰성 77
1. 자료의 수집 77
2. 자료의 분석 79
3. 자료의 신뢰성 85
제 4 장 연구결과 86
제 1 절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분석 86
1.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구성 86
2.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범주별 양상 89
제 2 절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의 본질 구조 144
1.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의 본질 구조 144
2.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영향요인 150
제 3 절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의 의미 160
1. 문화자본의 축적과 자아성장 160
2. 미메시스: 예술세계를 향한 이해와 사랑 171
3. 예술세계 참여 수준과 정체성의 변화 174
제 5 장 결론 및 제언 176
제 1 절 요악 및 결론 176
1. 연구의 요약 176
2. 연구의 결론 179
제 2 절 제언 185
1. 실무적 제언 186
2.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 190
참고문헌 192
Abstract 202
표 목 차
[표 1] 문화예술 관람의 영역 및 장르 구분 6
[표 2] 개인 자본의 구성 11
[표 3] 진지한 여가와 일상적 여가의 사례와 특성(예술 분야) 22
[표 4] 공연예술 소비 행동의 네 측면 46
[표 5]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유형 65
[표 6] 연구 참여자 기본정보 76
[표 7] 심층면담을 위한 주요 질문문항 78
[표 8-1]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구성
(범주 1~4) 87
[표 8-2] 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 경험의 구성
(범주 5~9) 88
[표 9] 범주1: 클래식음악과의 첫 만남 주제모음과 주제 90
[표 10] 범주2: 강렬한 예술적 체험의 기억 주제모음과 주제 95
[표 11] 범주3: 자발적 소비의 시작 주제모음과 주제 99
[표 12] 범주4: 소비의 지속 주제모음과 주제 105
[표 13] 범주5: 소비 지속을 위한 전략 행동 주제모음과 주제 112
[표 14] 범주6: 소비의 확장 주제모음과 주세 116
[표 15] 범주7: 구매 결정요인 주제모음과 주제 119
[표 16] 범주8: 관람 만족요인 주제모음과 주제 125
[표 17] 범주9: 클래식음악 핵심가치 주제모음과 주제 131
그 림 목 차
[그림 1] 여가 피라미드 19
[그림 2] 연구의 흐름도 71
[그림 3] 자료 분석의 예시(범주1: 클래식음악과의 첫 만남) 84
[그림 4]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의 본질 구조 145
[그림 5]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영향요인 150
-
dc.format.extent20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클래식음악소비자-
dc.subject공연예술애호-
dc.subject문화자본-
dc.subject진지한여가-
dc.subject미메시스-
dc.subject현상학적연구-
dc.subjectclassicalmusicconsumer-
dc.subjectloveofclassicalmusicconcert-
dc.subjectculturalcapital-
dc.subjectseriousleisure-
dc.subjectmimesis-
dc.subjectphenomenologicalstudy-
dc.subject.ddc649-
dc.title한국 클래식음악 소비자의 공연예술 애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Phenomenological Study on Consumer's Love of Classical Music Concert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unglee Ahn-
dc.contributor.department생활과학대학 소비자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2-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317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8▲000000000055▲00000017317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