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백병동 해금작품 분석연구 : Analytical Study on Paik Byung-dongs Haegeum Composi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선경

Advisor
노은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백병동해금창작곡무조음악음구현양상운지법운궁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2. 8. 노은아 .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methods of Paik Byung-dong's haegeum compositions. The musical characteristics—both those shared by all his works and those of each work—are considered. The performance methods examined in this dissertation focus on the ways of fingering and bowing.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trend of Paik Byung-dongs works for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those from the period before haegeum compositions appeared are based on 'eum saengmyeongnon' (living sound theory) that considers sound as a living being and the exploration of the resonance of sound. From 1998, when haegeum works appeared, to the present, they are expanded as various instrumentations and free forms based on the 'eum saengmyeongnon' have been pursued.

Seco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commonly shared by all the haegeum work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structure, rhythm, melody, and traditional elements. Structural commonalities include a single movement form, atonal music, and an arrangement of haegeum solo section, cadence, and ad-lib for a performer's autonomous interpretation.
Rhythm is characterized by the pattern of breaking away from being on beats by the shift of accent and the use of ties and tuplets. Commas, as silence, signifies 'soundless sound' and those placed before and after the phrase create a space. Furthermore, they play various roles including rhythmic functi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development patterns are the use of identical and adjacent tones, the use of the various ways of making a sound from a single note, the contrast pattern, and the counterpoint pattern.'
In addition, traditional elements are used in various ways in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Sigimsae (ornamental expressions) such as chuseong, toeseong, and yoseong are expressed using the main western technique, or glissando. A 2nd and a 4th, the intervals of traditional music including breaking tones and ornamental tones, have been reinterpreted as a minor 2nd and an augmented 4th in a modern way. Through these, the aesthetic elements of traditional music are embodied.

Thir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instrumen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ing notes, the use of a tonic and primary tones, and the ways to make a sound from a single note.
His haegeum works are characterized by his attempts to encounter various instruments. Various instruments such as yanggeum (hammered dulcimer), jwago (drum), bell, guitar, percussion ensemble, and piano are used along with haegeum depending on the piec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beginning and ending note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he unison, augmented intervals, and free endings independent of the starting note. The patterns of using a tonic and primary tones are also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using a tonic, using primary tones, and not using both. While Today, September 1998--From Twisting to Nirvana of Detachment (1998) and Empty, Go (2010), a remake of Heohaengcho (1999), use a tonic, Myeong (冥-Dark) II (2004), Un (韻-Rhyme) VII (2011), and Whereabouts of Sound (2016) use primary tones. Reminiscence of Poor Orfeo (2016) and At the Crematorium (2016), which are rewritten works from the 1960s, do not have a clear tonic nor primary tones.
The ways to make a sound from a single note, based on the philosophy of 'eum saengmyeongnon', emphasize the variability of sound. They appear centered on the tonic and the primary tones while they are realized through techniques such as intervals, changes of rhythm and dynamics, glissando, and ornamental tones. They are used in a variety of forms in five works except for Reminiscence of Poor Orfeo and At the Crematorium.

Fourth, fingering and bowing techniques consider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are suggested for effective performance. As for the fingering, it is effective to use the technique of pulling a string to maintain the same timbre when progressing chromatic notes. In the case of a special technique using the fingerings such as glissando and trill, the combination of the fingering methods of lightly pressing a string and pulling a string can realize various feelings of traditional sigimsae and modern expressions. In the case of special playing methods using the bowing techniques such as tremolo and staccato, it is effective to organically combine the elements such as length, speed, pressure, angle, and position of the bow in addition to the direction of the bow. In addition, the diversity of such organic combinations can realize musical expression suitable for the composer's intention as well as various timbres.

This dissertation demonstrates that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not only utilize the unique timbre and various creative techniques of haegeum, but embody his own philosophy based on the 'eum saengmyeongnon'. Therefore, his works have the musical significance in that they have opened up infinite possibilities for haegeum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 It is my expectation that this study could help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Paik Byung-dong's haegeum works and thus perform in a practical way.
본 연구는 백병동 해금창작곡의 음악적 특징과 연주법을 고찰한 것이다. 해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공통적 특징과 작품별 특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연주법은 운지법과 운궁법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병동의 국악작품을 중심으로 작품경향을 살핀 결과 해금 작품출현 이전 시기의 작품은 음 생명론과 소리의 울림에 대한 탐구를 기반으로 하였다. 해금작품이 출현한 1998년부터 현재까지는 이러한 음 생명론을 바탕으로 다양한 악기편성과 자유로운 형식이 추구되는 경향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해금작품에서 공통적인 음악적 특징은 구조, 리듬, 선율, 전통요소로 설명할 수 있다. 구조적 공통점은 단악장 형식, 무조(無調), 연주자의 자율적 해석을 위한 해금 솔로 구간 및 카덴차, 애드리브 배치가 있다.
리듬은 연음리듬 및 분할리듬의 활용이 특징이며, 붙임줄의 사용을 통해 정박을 벗어나는 양상이 공통적으로 보인다. 특히 쉼표의 의미와 역할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길이의 쉼표를 활용하여 리듬적 요소 외 무음(無音), 즉 소리 없는 소리를 의미하기도 하며, 여백을 창출하는 음악적 효과를 주기도 한다.
선율전개 양상의 공통점은 동일음 및 근접음 활용, 음형의 가변성 활용, 대비 양상, 대위 양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백병동의 해금작품에는 전통요소가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추성·퇴성·요성 등의 시김새는 서양음악 주법인 글리산도를 활용하여 표현되며, 꺾는음과 꾸밈음을 포함한 전통음악의 4도·2도 음정 관계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증4도 단2도로 등장시켰다. 이를 통해 작품에서 전통음악의 색채가 드러나도록 하였다.

셋째, 백병동 해금작품의 작품별 음악적 특징을 악기편성, 시작음과 종지음의 관계, 중심음 및 주요음의 활용, 음 구현 양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백병동의 해금작품은 다양한 악기와의 조우를 시도한 것이 특징이다. 악곡에 따라 해금과 함께 양금, 좌고, 종, 기타, 타악기 앙상블, 피아노 등 다양한 악기가 사용되었다.
시작음과 종지음의 관계는 동일음, 증음정 관계, 시작음과 무관한 자유로운 종지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중심음 및 주요음 활용양상 또한 중심음 활용, 주요음 활용, 중심음 및 주요음 미출현의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1998)와 (1999)의 개작작품인 (2010)는 중심음을 활용한 작품이고, (2004), (2011), (2016)은 주요음을 활용한 작품이다. 1960년대의 작품을 개작(改作)한 (2016)과 (2016)는 명확한 중심음 및 주요음이 나타나지 않았다.
음 구현 양상은 음 생명론 철학에서 비롯된 것으로, 음의 변화성을 강조하는 기법을 말한다. 중심음과 주요음을 중심으로 나타나며, 음정 간격, 리듬 및 셈여림 변화, 글리산도, 꾸밈음 등의 기법을 통해 구현된다. , 를 제외한 다섯 작품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넷째, 백병동 해금작품의 음악적 특징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연주를 위한 운지법과 운궁법을 제시하였다. 운지법으로는 반음계 진행 시 역안법을 활용하여 동일한 음색이 유지되도록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글리산도와 트릴 등 운지법을 활용한 특수주법의 경우 역안법과 경안법의 운지법을 병행하면 전통적 시김새와 현대적 표현법의 다양한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트레몰로, 스타카토 등 운궁법을 활용한 특수주법의 경우 활의 방향 외 활의 길이, 속력, 압력, 각도, 위치 등의 활의 요소를 유기적으로 조합하여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이러한 유기적 결합을 통한 운궁법으로 다양한 음색을 구현할 뿐 아니라 작곡가의 의도에 적합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수 있다.

백병동의 해금작품은 해금의 독특한 음색과 다양한 창작기법을 활용하였음은 물론, 음 생명론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음악세계를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악기의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해금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그 음악적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백병동의 해금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제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3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5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