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해부되는 詩, 市, 時 : Dissection of Poetry, City, and Time: Body Motif in 1980s Korean Deconstructive Poetry
1980년대 해체시의 육체 모티프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레비 리

Advisor
김유중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해체시1980년대도시시간육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2. 8. 김유중.
Abstract
본고는 시(詩), 도시(都市), 시간(時間)의 관점에서 1980년대 해체시를 살핌으로써 80년대 해체시의 해체, 즉 한국적 해체의 핵심이 육체에 근거하고 있음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80년대 해체시에서 시, 도시, 시간이 주요 시적 소재로 등장하고 있다는 사실은 한국 해체시의 특성에 해당한다. 육체는 위의 세 주제를 연결시키는 요체이자 해체시가 품은 존재론의 초석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육체 모티프를 탐구함으로써 80년대 해체시가 지향하는 존재방식과 현재에서 현존하는 생활방식을 포착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80년대 해체시의 취지와 특수성을 더 명확하게 해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80년대 해체시의 문학적 위상을 고려해 보았을 때 해체시를 중심적으로 다룬 논의는 총체적이지 못하고 부분적인 상태에 머무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체시에 대한 기존 연구는 해체적 양상과 기법을 해명하는 데 치우쳐 있거나 포스트모더니즘의 맥락에서 논의하면서 80년대 현대시의 해체적 특징이나 포스트모더니즘 특징을 집어내는 목적을 지녔으나, 해체시에 나타는 주제적인 측면들을 비교적으로 등한시하고 있다. 본고는 해체시를 어떤 거대 이론 하에서 읽으려는 시도에서 한 걸음 벗어나 80년대 해체시에서 보편적으로 나오는 시, 도시, 시간 세 주제를 통해 해체시의 목적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의 구조는 이 세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2장은 시, 3장은 도시, 4장은 시간을 다루고 있으며 매 장은 두 절로 나누어져 있다. 1절은 80년대 해체시가 주목한 문제, 2절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해체시의 방법을 구명한다.
2장에서는 1980년대 한국 사회 속에 시의 위태한 위상을 밝히는 한편 해체적 기법을 통해 육체를 통한 능동적 독법을 유도하는 메타적인 해체시를 살펴본다. 먼저, 2장 1절에서는 해체시 중에서 수많은 메타시가 자본주의로 인해 비천한 처지에 놓이게 된 시의 위상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 추적한다. 여기서 노동으로 타락한 시는 육체적으로 묘사되고 시인의 주체성 상실이 죽음의 이미지와 연결된다.
2장 2절에서 육체 모티프가 작가와 독자, 그리고 텍스트와 도시의 경계 해체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짚어본다. 해체시는 주체적·능동적 독법을 육체적으로 묘사하는 것을 넘어서 자신의 내용을 완성하거나 이해하고 싶은 욕망을 이용하여 독자에게 실제로 육체의 움직임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요구는 궁극적으로 독자가 詩라는 텍스트에서 벗어나 도시를 유일한 텍스트로 읽어 나가는 능동적 현실 참여로 이어진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해체시가 1980년대 서울이 거대도시로 급변한 시공간에서 발견한 문제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탐구한 긍정적 생활방식에 대해 논한다. 3장 1절에서는 서울 속에서 상실된 주체성에 주목한 해체시를 살펴본다. 한국의 모든 것을 서울화시키는 현상이 해체시에서 유행, 죽음, 좀비 등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다시 말해 사람들의 주체성 상실이 육체의 획일화로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3장 2절에서는 해체시가 서울의 이러한 지배적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탐구한 도시적 삶에 주목한다. 80년대 서울은 도시적 산물, 특히 매체문화의 상승으로 인해 정보 포화상태에 이르렀던 혼란한 시공간이었지만, 해체시는 서울을 범람하는 소음, 벽보, 패스트푸드, TV, 사진, 신문 등 도시의 일상 속에서 모든 잡스러운 것을 禪함으로써 서울의 지배적 공간을 영감의 보고(寶庫)로 탈바꿈시키며 타인을 공감하려는 도시적 감수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도시적 태도는 해체시가 서울 속에서 주세성의 죽음이라는 운명을 벗어나기 위해 탐색한 활로(活路)이다.
4장에서는 세월, 시간, 역사를 다룬 해체시를 살핀다. 4장 1절에서는 80년대에 들어서 급격하게 진행된 서울의 산업화, 그리고 5·18사건으로 과거와 단절된 서울의 현실을 깨달은 해체시가 현재의 시간성을 어떻게 고찰하고 있는지 독해한다. 본고는 해체시가 소외된 현재로 인해 상실된 주체성을 애통해하는 동시에 사진이나 시각적 요소를 통해 당대를 포착하고 현재를 보존하려는 시도에 주목한다. 이 같은 노력은 상실된 주체성을 회복시키지는 않지만 해체시의 가치관과 윤리관을 내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4장 2절에서는 해체시가 육체를 통해 주체성을 회복하고 80년대의 현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려 했던 방법을 탐구한다. 해체시에서 죽음은 주체성 상실의 증세였던 반면에 살아 있음은 주체성의 회복으로 나타난다. 상처(과거)를 회복할 수 있는 살아 있는 육체를 통해서 바라본 현재는 회복의 과정이며, 이러한 육체로서의 시간의식은 단순히 존재하는 것을 넘어서 매 순간을 강력히 체험하는 현존을 지향한다. 즉, 해체시는 육체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80년대 서울 속에서 주체적인 삶을 추구했던 것이다.
요컨대, 해체시는 시(詩), 도시(都市), 시간(詩間)을 해부함으로써 80년대 서울의 시공간에서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한 것이다. 80년대 해체시에서 수많은 메타시, 도시시, 그리고 시간에 관한 시들은 당대의 시인들이 80년대 서울을 몸소 체험하고 이 특수한 시공간에서 나온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결실이다. 해체시는 온갖 도시적 산물이 범람하는 낯선 서울이라는 거대도시를 육체를 통해 경험하고 개개 사물을 禪하듯이 읽을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한다. 그러므로 해체시는 낭만주의적이라기보다는 이성적이고 현실적인 고찰의 결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the essence of 1980s Korean deconstructive poetry is rooted in the human body by examining its three central topics: poetry, city, and time. Throughout the works of Korean deconstructive poetry, the body not only functions as a link that connects these three topics, but also as a key to understanding the ontological philosophy of deconstructive poetry. Exploring the manifestation of body motif in deconstructive poetry, I will argue that deconstructive poets went beyond simply seeking a new urban lifestyle and pursued a unique way of being in the present. This investigation will illuminate the goals of deconstruction in 1980s Korean deconstructive poetry, and thereby delineate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literary status of 1980s deconstructive poetry in Korea, research that undertook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works has remained surprisingly scant. Furthermore, previous research on Korean deconstructive poetry has fixated on clarifying the meaning of deconstruction techniques, or on indicating deconstruction and postmodern traits seen in these works, neglecting its thematic aspects. Stepping away from overarching literary theories, this paper seeks to grasp the purpose of Korean de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representation of poetry, city, and time three ─ common subjects in deconstructive poetry. Thus, the structure of this paper is composed around these three topics. Chapter 2 deals with poetry, Chapter 3 with the city, and Chapter 4 with time. Each chapter is divided into two subchapters: the first examines a problem that deconstructive poetry noted, the second investigates how deconstructive poetry sought to overcome the said problem. First, Chapter 2 examines metapoems within deconstructive poetry which, recognizing the precarious status of poetry in Korean society, urge and lead readers to begin active reading through their bodies. Chapter 2.1 explores how numerous metapoems reveal the degradation of poetry due to capitalism in Korean society. These poems portray poetry as physical labor through the use of corporeal imagery and equates the poet's loss of autonomy with death, intro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otif and autonomy in deconstructive poetry. Chapter 2.2 looks at how body motif works to break the boundaries between not only readers and writers, but also texts and cities. Beyond merely describing active reading through corporeal imagery, deconstructive poetry takes advantage of the readers desires to complete and understand its content and demands the readers to actually physically move their bodies. This demand ultimately leads the readers to leave the text of the poem and actively engage with the real world by reading the city itself as text. Chapter 3 traces the problems that arose during Seoul's rapid transformation into a megacity in the 1980s and how deconstructive poetry explored new ways of life to overcome these problems. Chapter 3.1 deals with deconstructive poetry which perceived peoples loss of autonomy in industrialized Seoul as a critical danger for the entire country. The phenomenon of everything becoming Seoulized in Korea is portrayed in terms of fashion, death, and zombies in deconstructive poetry, signifying peoples loss of autonomy as uniformity of bodies. Chapter 3.2 reveals how deconstructive poetry explored for a new possibility of urban life in order to escape Seouls dominant influence. Although 1980s Seoul was a chaotic space and time due to sudden information overload from industrialization and the rise of media culture, by meditating on posters, fast food, newspapers, TV, photos, etc., all the trivial things that inundate urban life every day, deconstructive poetry transfigures Seoul into a treasure trove of inspiration and reveals a new urban sensibility for empathizing the other in the city. This urban sensibility becomes the lifeline to escape the death of autonomy in Seoul. Finally, Chapter 4 examines deconstructive poetry about time and history. Chapter 4.1 surveys deconstructive poetry which contemplated on the temporality of the present as it realized how the 1980s became severed from the past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Seoul and the May 18 Massacre. While deconstructive poetry laments the loss of autonomy due to the isolation of the present, it also attempts to capture and preserve the present through the use of photographs and visual elements. Although these efforts do not necessarily restore the lost autonomy, they are significant as they clearly indicate how deconstructive poetry is fundamentally entrenched in altruism. Chapter 4.2 explores how deconstructive poetry sought to positively engage with the present of the 1980s by restoring the lost autonomy through the body. In deconstructive poetry, just as death represents the loss of autonomy, living emerges as the recovery of autonomy. The present, through the living body, becomes a process of recovery as it heals the scars of the past. Through this time consciousness of the body, deconstructive poetry aspires from simply being in the present to truly living, experiencing every moment with the entire body. In other words, deconstructive poetry pursued an autonomous and affirmative life in Seoul in the 1980s through a re-examination of the body. In short, deconstructive poetry searched for an affirmative and autonomous way of being and life in 1980s Seoul by dissecting poetry, city, and time. Numerous metapoems, urban poems, and poems about time in deconstructive poetry reveal how the poets personally engaged with Seoul in the 1980s and endeavored to overcom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is particular space and time. Deconstructive poetry shows the possibility of experiencing the city with ones body by reading and meditating on all the trivial objects that flood the city. This way of living and being in urban space should not be misconstrued as a result of romantic idealism but be acknowledged as a fruit of rational and practical contemplation.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4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4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