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cinema and the Beginning of Discourse : 비영화와 담론의 시작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방현주

Advisor
Peter W. Milne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yotardacinemafilmtheoryfilmdiscoursethecinematicavant-gardeoccurrenceexperimentalfilm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2. 8. Peter W. Milne.
Abstract
본 논문은 리오타르의 초기 개념인 비영화(acinema)를, 그가 후기 논의 내에서 언급한 아방가르드로 이해하고, 「비영화」에서 영화 논의의 시작이 리오타르가 비영화라고 부르는 움직임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그의 언급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본고는 비영화가 영화논의의 시작점이 되는 것은 바로 비영화를 발생(occurrence)으로 이해함으로써 가능하며, 여기서 더 나아가 비영화는 최종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개념적 틀과 우리의 의식을 확장시키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고가 「비영화」를 논의의 중심 텍스트로 정한 이유는 이 에세이가 리오타르의 첫 영화 에세이일 뿐만 아니라 리오타르가 영화를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관점에서 숙고하려고 시도한 의미 있는 에세이임을 고찰하고자 함이다. 리오타르에게 영화는, 의미와 의미작용에서 중단을 발생시키는 움직임, 다시 말하면 비영화로부터 영화담론이 시작될 때, 이론에 도전하고 이론을 무화 하는 가능성을 갖는다. 영화논의가 이러한 움직임에 기초해 시작되는 것은 우리의 경험과 지각을 넓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비영화」는 리오타르가 1973년에 쓴 첫 영화에세이이다. 이 에세이에서 리오타르가 구상한 비영화는 일탈적이고 실험적인 움직임으로, 영화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규칙, 예를 들면 재현의 규칙, 내러티브의 규칙 혹은 영화이론 규칙으로 설명되고 이해될 수 없는 움직임이다. 리오타르가 비영화를 이런 움직임으로 구상한 이유는, 그가 이 일탈적이고 실험적인 움직임으로부터 영화가 영화 내에서 유지하고자 하는 질서를 방해하고 중단시킬 가능성을 보기 때문이다. 여기서 질서란 주류 재현적-내러티브적 상업영화를 조직하는 힘이고, 주류 재현적-내러티브적 상업영화가 의사소통 코드로써 유지하고 재생산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국 사실주의의 환영을 만드는 것이다.
「비영화」에서 리오타르는 영화 일반에 대한 논의가 비영화에서 시작된다고 언급한다. 비영화는 영화 내에 있으면서 영화와 관련된 모든 규칙들을 벗어나는, 다시 말하면 영화 내에 존재할 자격을 갖추지 못한 움직임이라는 의미에서 비영화이다. 영화논의가 이러한 비영화로부터 시작된다는 사실은, 영화담론이 이론에 의존함 없이 자신의 논의를 시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영화이론은 그들이 설정하고 있는 논리를 통해 비영화를 이해하거나 해석할 수 없다. 이 때 영화담론은 비영화를 이론을 통해 해석하는 대신, 이론을 내려놓고, 비영화를 생각하고 표현할 새로운 방식을 고안하면서, 비영화를 기술하고 논의한다. 비영화로부터 논의를 시작함으로써 영화담론은 이론으로부터 그의 권위를 박탈하고, 새로운 담론들의 가능성을 열고, 그렇게 함으로써 담론의 경계 혹은 이론의 경계를 확장할 기회를 가진다.
이러한 해석은 리오타르가 그의 마지막 영화 에세이인 「주권적 영화라는 이데아」에서 비영화를 영화적 아방가르드의 작업으로 소환한 것을 통해 가능해진다. 리오타르의 이 언급에 기초해, 비영화는 그가 발생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비영화는 인간의 의식으로 그 영역을 확장한다. 리오타르에게 아방가르드는 모더니티 내에 함축된 전제들에 대한 일종의 탐구라는 의미에서 철학적 탐구이며, 이 아방가르드의 작업으로서 발생은 인간의 의식에 의해 결정되기 전의 일어남 혹은 일어나는 것(what happens)이며, 이 작업은 개념적 틀 밖에서 발생한다. 비영화를 영화적 아방가드르의 작업, 발생으로 언급하면서, 리오타르는 비영화의 영역을 인간의 의식, 지각, 경험으로 확장한다.
발생으로서 비영화는 의미의 부재로서 의미를 중단한다. 비영화의 힘은 그것이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우리가 이론을 통해 비영화로부터 의미를 끌어내고자 할 때, 비영화의 힘을 사라진다. 왜냐하면 비영화가 이론에 의해 해석된다는 것은 우리의 의식에 의해 의미가 정해지고 규정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비영화는 항상 의식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 것이고, 그로부터 그의 의미를 갖는다. 리오타르에게 이론은, 그것이 비록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의식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지만, 우리가 세계를 보고 듣고 이해하기 전에 세계를 미리 결정함으로써 오히려 우리의 지각과 경험을 제한한다. 리오타르는 이론이 그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리오타르가 영화논의가 비영화에서 시작된다고 말할 때, 그가 기대하는 것은 영화논의가 비영화를 통해 이론을 무화하고, 다양한 영화담론을 창안하는 것이다. 비영화는 다양한 타자가 공존할 수 있음을 함축한다.
본 논문은 영화 에세이 「비영화」와 비영화 개념을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맥락에서 다시 읽어야 함을 주장한다. 비영화는 발생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따라서 의식이 지금까지 정의하고 유지해온 전제들에 도전하고 의문을 제기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영화제작 규칙과 이론적 규칙은 이러한 전제들이며, 영화담론이 비영화로부터 시작될 때, 이러한 전제들은 무화되고, 비판되고, 의문시된다. 이것은 그동안 논의에서 제외되었던 견해와 관점들을 받아들이는 것이고, 이를 통해 우리의 경험적이고 지각적인 지평을 넓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understand Lyotards early concept of acinema in terms of his later understanding of the avant-garde and to reexamine Lyotards remark in the essay Acinema that the discussion of cinema starts from the movements he calls acinema. Through this, I will argue that it is by understanding acinema as an occurrence that it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discussion, and further that acinema must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opens and expands our conceptual framework and our consciousness. Therefore, the reason this study takes Acinema as the central text of the discussion is to investigate that it is not only Lyotards first film essay but also a significant essay where Lyotard attempts to reflect on cinema from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oint of view. For him, cinema has the possibility to challenge and undo theory when the movements act as the starting point of a film discourse, despite the movements themselves lacking meaning and signification. This initiation of discussion based on the movements can give the chance to broaden our experience and perception.
Acinema is the first film essay by Lyotard in 1973. Acinema that Lyotard conceives in this essay is deviant and experimental movement which escapes from and experiments with the rules, such as those of representation, narrative and theory, which organize movements in a prescribed manner to produce sense of order in cinema. Lyotard conceives acinema in this manner because he sees the possibility of interrupting the order within cinema through this deviant and experimental movement. The order here is the one by which mainstream representational-narrative commercial cinema is organized and which it tried to maintain and reproduce as communication code, which produces the fantasy of realism.
In this essay, Lyotard remarks that the discussion of cinema in general begins with acinema. Acinema is non-cinema in that it is within cinema as an unqualified concept, out of all the rules related to cinema. The fact that the discussion of cinema starts from non-cinema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film discourse begins its discussion without theory. It means that theory cannot understand and interpret acinema through its principle, and then film discourse describes and comments on acinema, instead of interpreting it through a theory, letting go of the theory and creating new manner of thinking and expressing it. By starting its discussion from acinema, film discourse ends the authority of theory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new film discourses, thereby expanding its boundaries.
This interpretation is possible because Lyotard summons acinema as the work of the cinematic avant-garde in his last film essay The Idea of a Sovereign Film. Based on this remark, acinema can be seen something like what he calls an occurrence and thereby its scope extends to our consciousness. For Lyotard, the avant-garde is a kind of philosophical inquiry in that it is a kind of investigation of the presuppositions implied in modernity, and occurrence as the work of the avant-garde is what happens before being determined by consciousness and thereby such work takes place outside of conceptual framework. Referring to acinema as the work of the cinematic avant-garde and an occurrence, Lyotard broadens the scope of acinema deep into our consciousness, perception and experience.
Acinema as an occurrence interrupts the meaning as the absence of signification. Its force lies in the fact that it has no meaning. When we try to draw the meaning from acinema through theory which is the method that the consciousness makes to understand the world, its force disappears because the fact that acinema is interpreted by theory means that it becomes determinate by the consciousness. Acinema is always the indeterminate to the consciousness and from this it has its meaning. For Lyotard, theory, although being made by the consciousne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world, limits our perception and experience by determining what we have to see and hear in advance. Lyotard argues that theory has to learn to acknowledge its limitation. When Lyotard states that the discussion of cinema begins with acinema, what he means and expects is for such a discussion to undo theory through acinema and create various and diverse film discourses. Acinema as non-cinema implies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various others.
This thesis argues that the essay of Acinema and the concept of acinema should be read again in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context. This means that acinema should be understood as an occurrence, as Lyotard remarked, challenges and questions the presuppositions that the consciousness has defined and maintained so far. All filmmaking rules and theoretical rules are presuppositions, and when the film discourse starts from acinema, these presuppositions are undone, criticized, and called into question. That means accepting those opinions and perspectives that have been excluded from the discussion and opening the door to broaden our experiential and perceptional horiz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44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6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