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주거정책 시행에 따른 청년가구의 주거만족도 변화 분석 : Analysis of Changes in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Household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Housing Policies for Young Peopl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경택

Advisor
김경민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 8. 김경민.
Abstract
Prior to the mid-2010s, the housing welfare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mainly targeted the elderly and family units, and young households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olicy. However, as the youth housing problem was recognized as a social problem, a youth housing policy targeting the youth class emerged, starting with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in 2015.
The youth housing policy consists of policies for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and financial support, and the criteria for support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In the case of newlyweds, they are subject to policies for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or financial support at the same time as the housing sales policy and financial support for housing purchase. On the other hand, policies targeting young people, not newlyweds, are limited to the supply of rental housing and financial support. The size of houses supplied as rental houses also varies by type depending on the marital status. In addition, since the age standard of young households varies depending on the youth housing policy, the types of policies subject to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age. In the case of the rental housing supply policy, the age of young households is defined as up to 39 years old, but in the case of the financial support policy, it is defined as up to 34 years old. Criticism has been raised that the differential youth housing policy is not interested in the human life of young people, but simply considers young people as production agents for labor and excludes young people who are not normal families.
If the youth housing policy has been sufficiently supplied in an appropriate manner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Housing, the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households, which are the target groups, is expected to increase. Previous studies also show that housing satisfaction increases depending on whether it has benefited from housing policie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critical opinions on differential youth housing policies are vali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youth housing policie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age through changes in housing satisfa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in housing satisfaction of young households, the event study was applied using data from the labor panel survey from 2009 to 2020. Data from 2009 to 2014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youth housing policy were used to obtain an estimate of the probability of normal housing satisfaction(normal return), and the excess housing satisfaction ratio of young households(average abnormal return) from 2015 to 2020 was calculated by group according to househol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unlike the control group, the excess housing satisfaction ratio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young households subject to policy, and thus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youth housing policy and the housing satisfaction ratio in households subject to policy after 2016. In addition, the correlation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2017, and the excess housing satisfaction ratio in 2020 is 15.3%. In the case of newlyweds, the excess housing satisfaction ratio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2016, 2017, and 2020. In addition, the excess housing satisfaction ratio has been consistently significant since 2016 in the group where the household owner was born from 1981 to 1985.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housing policies for young people and the housing satisfaction ratio.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where non-married households and household heads were born from 1986 to 1990, the rat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exceeding all period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change the housing policy for non-married young people and young households in their late 20s and early 30s to improve housing satisfaction. In the case of unmarried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accept opinions criticizing the youth housing policy and expand it from a rental housing-oriented policy to a policy that supports housing purchases. rental housing needs to be supplied with a size that meets demand. In addition, if the financial support policy for young households under the age of 34 is adjusted in a realistic direction suitable for market conditions, housing satisfaction due to the youth housing policy is expected to be improved.
2010년대 중반 이전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주거복지 정책은 고령자와 가족 단위를 주 대상으로 하였고, 청년가구는 정책 대상에서 배제되어 왔다. 그러나 청년 주거 문제가 사회문제로 인식되면서, 2015년 행복주택을 시작으로 청년 계층을 정책대상으로 하는 청년주거정책이 등장했다.
청년주거정책은 임대주택의 공급과 금융지원을 위한 정책들로 구성되며, 정책의 종류에 따라 지원 대상의 기준이 상이하다. 신혼부부의 경우 주택 분양 정책과 주택구입을 위한 금융지원과 동시에 임대주택 공급정책과 금융지원정책의 대상이 된다. 반면, 신혼부부가 아닌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은 임대주택의 공급과 금융지원으로 한정되어 있다.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주택의 크기에도 혼인 유무에 따라 규모에 차이가 있다. 또한 청년주거정책별로 청년가구의 연령 기준이 상이하여 나이에 따라서도 해당되는 정책의 종류가 다르다. 임대주택 공급 정책의 경우 청년 가구의 나이를 39세까지로 정의하고 있으나, 금융지원 정책의 경우 34세까지로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등적인 청년주거정책이 청년들의 인간다운 삶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청년을 단순히 노동을 위한 생산 주체로 보며, 정상가족이 아닌 청년들을 배제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만약 청년주거정책이 주거기본법에 근거하여 적절한 방식을 통해 충분히 공급되었다면, 정책 대상 그룹인 청년 가구의 주거만족도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선행연구에서도 주거정책 수혜 여부에 따라 주거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차등적인 청년주거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이 타당한지 확인하기 위해 청년주거정책이 등장한 이후 혼인 여부와 연령에 따른 청년주거정책의 효과를 주거만족도 변화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청년가구의 주거만족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09년부터 2020년까지의 노동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해 사건연구방법론(event study)을 적용하였다.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주거정책 시행 이전인 2009년부터 2014년까지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상 주거만족확률(normal return) 추정식을 구하고, 추정식을 활용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청년가구의 초과 주거만족비율(average abnormal return)을 가구특성에 따른 그룹별로 산출하였다.
그 결과 정책 대상이 되는 청년가구에서 대조군과 달리 초과 주거만족비율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2016년 이후 정책 대상인 가구에서 청년주거정책 시행과 주거만족비율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2017년 이후 꾸준히 상관관계가 높아져 2020년 초과 주거만족비율은 15.3%로 나타난다. 신혼부부의 경우 2016년과 2017년, 2020년에 초과 주거만족비율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며, 가구주의 출생 연도가 1981년부터 1985년생인 그룹에서는 2016년 이후 초과 주거만족비율이 꾸준히 유의하게 나타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주거정책 시행과 주거만족비율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비혼가구와 가구주의 출생 연도가 1986년생부터 1990년생인 그룹에서는 모든 기간 초과 주거만족비율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혼청년과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 청년가구를 위한 주거 정책들이 주거만족도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비혼 청년의 경우 청년주거정책을 비판하는 의견을 수용하여 임대주택 위주의 정책과 더불어 주택 구입을 지원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임대주택도 수요에 맞는 평형대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또한 20대후반에서 30대초반 청년가구의 경우 34세 이하의 청년 가구 대상으로 진행되는 금융지원정책이 시장 상황에 맞는 현실적인 지원을 제공한다면 청년주거정책으로 인한 주거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