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플랫폼 어바니즘이 도시 공간 이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latform urbanism on usage of urban space
도시 공원에서 공원 이용자들의 배달 문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공소현

Advisor
정현주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2. 8. 정현주.
Abstract
Platform Urbanism challenges the Zoning-centered and omnipotent planning of urban planning. Platform economy is an economic and social activity promoted by a platform, which is connected through a platform rather than directly trading between consumers and suppliers. Among them, delivery applications such as Baemin and Yogiyo have been steadily growing since the 2010s, as they can order any food anytime, anywhere. In particular, delivery platform applications are drawing attention as the importance of the Untact (new word meaning non-contact) culture has emerged due to the recent influence of COVID-19. The development of these platform applications is changing the way people use urban space.
With the development of platform urbanism, various delivery platform applica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and delivery culture has rapidly spread. The recent special pandemic situation of COVID-19 has accelerated this further. With the development of delivery culture, ordering delivery food in urban parks has recently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especially among young people. In this paper, it is intended to detect changes in the way space is used due to platform urbanism through the park usage behavior of park users and to find out its implications.
In this study, among various parks in downtown Seoul, Seoul Forest was considered to be a representative urban park where people stayed and eat food and drinks, and it was judged that Seoul Forest was suitable as a research targe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ehavior of park users using the park,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in the park allow users to stay in the park, eat, rest, and communicate. The content range is to analyze the time spent using the park, activities when using the park, factors that select the park as a third plac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park that users prefer, and factors that promote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the park.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5 Seoul Forest users. A more specific characteristic of the study participants is that they are park users who have ordered delivery food at Seoul Forest Park.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site by visiting Seoul Forest Park, and as the COVID-19 situation became serious, non-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through snowball sampling through SNS. Age group, gender, and residential area were investigated together, and the frequency of park use was also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factors that park users choose a park are as follows. The park is a wide area and a space where various kinds of activities occur. Park users showed various kinds of behavior, such as eating, taking a walk, playing, and resting in the park. The development of delivery services and good access to convenience stores and cafes near the park have caused park users to eat something in the park. At this time, park users were able to relieve their sense of freedom, feeling, and stress from their daily lives by eating food outdoors. Walking and playing are premised on a quality environment. The managed quality environment and large area of the park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dynamic behavior. When park users res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ecision made by a stronger will, especially because sitting and lying down are static behaviors. Therefore, the quality environment had an important effect on rest. At this time, park users considered the park to be a comfortable space like a house and felt comfortable. In addition, the park had less time to stay, and had a large space and openness. Finally, the park is a place of social exchange with a medium, and informal gatherings were formed in the park, creating a local community. Park users experienced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others compared to when they lived their daily lives in the park.
Furthermore, the park has become a third place, and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from the traditional third place is the 'subjectivity' of park users. Park users are all "choosing" where, how long, with whom, and what to eat on their own and using urban spaces. In other words, while maint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e, exchange, and belonging of the existing third place, the park has also had characteristics of a new third place, such as subjectivity, reduced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diversity of action choices due to platform urbanism.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cover all platform urbanism in that the macroscopic urban phenomenon of 'platforming' affects how people use urban space through microscopic observation of how the delivery culture caused by the platform economy. In addition,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urban space of the platform urbanism society has not been able to present specific techniques and solutions to proceed, and further research on this will be needed.
플랫폼 어바니즘(Platform Urbanism)은 지금까지의 조닝(Zoning) 중심의, 전지전능한 계획가적인 도시계획에 도전장을 내민다. 플랫폼 이코노미(Platform Economy)는 플랫폼에 의해 촉진되는 경제 및 사회 활동으로, 수요자와 공급자가 직접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플랫폼을 매개로 연결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배달의 민족, 요기요와 같은 배달 어플리케이션은 언제, 어디서나, 어떤 음식이든 주문할 수 있어 2010년대 이후 꾸준히 성장해왔다. 특히 최근의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언택트(Untact, non contact라는 의미의 신조어) 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배달 플랫폼 어플리케이션들이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의 발달은 사람들이 도시 공간을 이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플랫폼 어바니즘의 발달로 다양한 배달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었고 점점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며 배달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최근 코로나19라는 특수한 팬데믹 상황은 이를 더욱 가속화시켰다. 배달 문화가 발달하면서 최근 도시 공원에서 배달 음식을 시켜 먹는 것이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하나의 문화적 현상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 어바니즘으로 인한 공간 이용 방식의 변화를 공원 이용자들의 공원 이용 행태를 통해 포착하고 그 함의를 찾아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의 다양한 공원들 중 서울숲이 사람들이 머물며 음식과 음료 등을 먹는 행태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도시공원이라 보고 서울숲을 연구 대상지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 이용자들이 공원을 이용하는 행태를 분석하고, 공원의 어떠한 요인이 이용자들로 하여금 공원에 머무르며 음식을 먹고 휴식하며, 소통하게 하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서울숲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원을 이용하는 시간, 공원 이용 시 행하는 활동, 공원을 제3의 장소로 선택하는 요인,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공원의 환경적 특성, 공원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촉진하는 요소 등에 대한 분석을 하는 것을 내용적 범위로 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숲 이용자 총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 참여자의 특성은 서울숲 공원에서 배달 음식을 시켜 먹은 경험이 있는 공원 이용자라는 점이다. 서울숲 공원을 방문하여 현장에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이와 함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해짐에 따라 sns 등을 통한 눈덩이표집(snowball sampling)으로 비대면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령대, 성별, 거주지역 등을 함께 조사하였으며 공원이용 빈도 또한 조사하였다.
공원 이용자들이 공원을 선택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공원은 넓은 범위,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행위가 발생하는 공간이다. 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에서 먹기, 산책하기, 놀기, 휴식하기 등 다양한 종류의 행태를 보였다. 배달 서비스의 발달과 공원 인근 편의점, 카페와의 좋은 접근성은 공원 이용자들로 하여금 공원에서 무엇인가 먹는 행태를 유발했다. 이 때 공원 이용자들은 야외에서 음식을 먹음으로서 일상으로부터의 해방감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었다. 산책하기와 놀기는 양질의 환경을 전제로 한다. 공원의 관리된 양질의 환경과 넓은 면적은 동적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공원 이용자들이 휴식하는 데에 있어서는 특히 앉는 행태와 눕는 행태가 정적 행태이기 때문에 더욱 강한 의지에 의한 결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양질의 환경이 휴식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이 때 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이 집과 같은 안락한 공간이라고 여겼으며, 편안함을 느꼈다. 또한 공원은 머무를 수 있는 시간에 제한이 덜했으며, 넓은 공간과 개방성을 가졌다. 마지막으로 공원은 매개물이 있는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 공원에서 비공식적인 모임이 형성되며 하나의 지역 공동체가 만들어졌다. 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에서 일상생활을 할 때와 비교해 타인에 대한 경계가 허물어지는 경험을 하였다.
나아가 공원은 제3의 장소화 되었고, 전통적인 제3의 장소의 특징과 가장 구별되는 특징은 공원 이용자들의 주체성이라 할 수 있다. 공원 이용자들은 어디에서, 얼마나 오래, 누구와 함께, 무엇을 먹을지 모두 주체적으로 선택하고 도시 공간을 이용하고 있다. 다시 말해 공원은 기존의 제3의 장소가 가지던 탈출구로서의 역할, 교류, 소속감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플랫폼 어바니즘의 영향으로 주체성과, 감소된 시간적·공간적 제약, 행위 선택의 다양성이라는 새로운 제3의 장소의 특성들을 함께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플랫폼 이코노미로 인한 배달 문화가 공원 이용에 어떠한 변화를 야기했는지의 미시적 관찰을 통해 플랫폼화라는 거시적인 도시적 현상이 사람들의 도시 공간 이용 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내용이 모든 플랫폼 어바니즘을 포괄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플랫폼 어바니즘 사회의 도시 공간이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기법과 해결책까지는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5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