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rognosis of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related with individual surgical margin, pathological features : 외과적 절제연과 병리적 양상에 따른 혀 편평상피세포암종의 예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성지

Advisor
김성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onguesquamouscellcarcinoma(TSCC)surgicalmarginworstpatternofinvasion(WPOI)tumorbuddi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2022. 8. 김성민.
Abstract
Introduction: The specific muscular structure of the tongue greatly affects margin shrinkage and tumor invasion, making the optimal surgical margin controversial. This study investigated surgical margin correlated prognosis of TSCC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 according to margin location and its value, and the histopathologic factors which are suggestive of tumor invasion. We propose defining of the surgical margin for TSCC via prognosis according to location and margin valu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45 patients diagnosed with TSCC who visited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Seoul, Republic of Korea, SNUDH) from 2010 to 2019, who were managed by a single surgical team. Patient clinical and pathological data of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in 36 out of 45 patients, the pathologic parameters had the worst pattern of invasion (WPOI) and tumor budding was investigated via diagnostic histopathology slide reading.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ease specific survival (DSS) or 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LRFS), which are standardized with as 0.25 cm anterior margins, as 0.35 cm deep margin. Additionally, there was a non-significant difference in DSS and LRFS at the nearest margin of 0.35 cm (pDSS = 0.276, pLRFS = 0.162). Aggressive WPOI and high tumor budding showed lower surviva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se margin and involved margin frequencies.

Conclusion: In TSCC, the value and location of the surgical margin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ognosis, but WPOI and tumor budding suggesting the pattern of muscle invasion affected survival and recurrence-free survival. WPOI and tumor budding should be considered when setting an optimal surgical margin.
1. 목 적
구강의 다른 해부학적 구조와는 차별점을 갖는 혀의 근육 구조는 특수한 미세종양환경을 조성하여 종양의 침투 양상에 영향을 주고, 절제된 종물의 수축량에 영향을 미쳐 혀 편평상피세포암종(TSCC)의 외과적 절제시에, 통상적인 외과적 절제연을 두고 절제하는 것에 의문을 갖게 했다. 본 연구에서는 절제면의 위치 별 외과적 절제연의 크기와 종양의 침투양상을 시사하는 조직병리학적 인자에 따른 TSCC의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에 따른 예후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TSCC의 적절한 외과적 절제연 설정에 대하여 제언하고자 한다.

2. 방 법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을 내원한, TSCC로 진단받은 45명의 환자군을 조사하였다. 환자의 임상 및 병리학적 정보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45명의 환자 중 36명의 환자군에 대해서는 조직병리 슬라이드 판독을 통해 WPOI(worst pattern of invasion), tumor budding을 조사하였다.

3. 결 과
전방(anterior) 0.25cm, 내측(deep) 0.35cm 각각의 외과적 절제연을 기준으로 통해 조사된 질병 특이 생존율(Disease specific survival, DSS), 무국소구역재발 생존율(Loco-regional recurrence free survival, LRFS)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절제연의 최소값이 0.35cm 이상인 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높은 DSS, LRFS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DSS = 0.276, pLRFS = 0.162). WPOI 양상이 침투적인 양상을 보이는 군 (pDSS = 0.03, pLRFS = 0.05), tumor budding이 많은 군에서 (pDSS = 0.271, pLRFS = 0.024) 더 낮은 DSS와 LRFS를 보였고, 더 많은 근접 절제연(close margin)과 양성 절제연(positive margin)의 빈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pWPOI = 0.031, pbudding = 0.035).

4. 결론
TSCC에서 외과적 절제연의 크기, 절제연의 위치가 그 예후에 끼치는 영향은 분명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WPOI와 tumor budding의 경우에서 DSS와 LRFS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었고, TSCC의 외과적 절제연 설정 시에 단순한 절제연의 크기를 넘어 조직병리학적 양상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65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4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