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타트업 지원 정책 효과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tartup Support Policies
지원대상 및 지원수단 비교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재영

Advisor
이석원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신용보증스타트업액셀러레이터재무성과고용효과패키지지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2. 8. 이석원.
Abstrac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artups play a critical role in leading global competition. Thus, the government aggressively expands the scale of startup support projects by introducing policies such as "creating an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and "a strategy to spread the second venture boom."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also begin to launch supportive packages for 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tartup support policy, especially whether its efficacy varies across startups (i.e., general vs., innovative) and contents (i.e., financial vs. non-financial support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impact of supportive policies on startupsgrowth and profitability by using the data of financial (i.e., the credit guarantee) and non-financial support (i.e., accelerator program) of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We find that the impact of financial support is generally greater for innovative startups than general ones, especially when it comes along with non-financial support.
First, among the credit guarantee support effects by support target, the growth index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selecting the sales growth rate and sales amount. It was analyzed that startups outnumber general start-ups in sales due to the benefits of credit guarantee support, but the sales growth rate was rather inferior. Regarding profitability indicators, the operating profit ratio of sal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startups than for general start-ups, but the net return on equity capital was analyzed to have a greater negative effect for startups.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employees, it was found that startups had a better employment improvement effect due to credit guarantee support than general start-ups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in both t+1 and t+2.
The support m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single credit guarantee support and a package support that provides both credit guarantee and acceleration. Growth-related indicator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relatively slowing sales growth, although the increase in sales is greater than that of a single credit guarantee support when supporting packages. Regarding the profitability index, package support showed a more positive effect than single support in the case of sales operating profit ratio at a significant level of 5% in both t+1 and t+2. On the other hand, the net return on equity capital showed a result that single support was superior to package support in the t+1 period, and no significant result was foun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in the t+ period. Finally, regarding the employment rate, which is a non-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it was found that package support had a greater employment effect than single support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in both t+1 and t+2.
This study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s by showing that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pports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substitute. However, due to data constraints, we limit our focus to providing the correlational evidence for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policy. Thus,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causal evidence, long-term consequences of the startup support policies, or the theoretical mechanism that underli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supports we found.
4차산업 혁명 시기에 스타트업이 관련 기술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전 세계적인 혁신 경쟁을 이끌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부도 혁신 창업 생태계 조성방안, 제2벤처 붐 확산 전략 등을 발표하며 스타트업 창업 지원 사업 규모를 사상 최대 규모로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정부 산하 공공기관들도 앞 다투어 스타트업 관련 지원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공공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지원대상과 지원수단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지원대상은 일반 창업기업과 혁신형 스타트업, 지원수단은 단일지원과 패키지지원으로 분류하며 신용보증기금의 금융 및 비금융 지원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성장성지표와 수익성지표 그리고 고용인원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지원대상별 신용보증 지원효과 중 성장성 지표는 매출액증가율과 매출액을 선정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신용보증 지원 수혜로 매출액은 일반 창업기업보다 스타트업이 더욱 우세하나, 매출액증가율은 오히려 열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익성 지표 관련하여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스타트업이 일반 창업기업보다 신용보증 지원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스타트업이 부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인원의 변화를 살펴보면, t+1기, t+2기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스타트업이 일반 창업기업보다 신용보증 지원에 따른 고용개선 효과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수단은 신용보증 단일지원과 신용보증과 액셀러레이팅을 함께 제공하는 패키지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성장성 관련 지표는 패키지 지원시 신용보증 단일지원보다 매출액의 증가 폭은 더욱 크나, 매출액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수익성 지표 관련하여서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의 경우 t+1기, t+2기 모두 5% 유의수준에서 패키지 지원이 단일지원보다 더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자기자본순이익률은 t+1기에 단일지원이 패키지지원보다 우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t+2기에는 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인 고용률 관련하여 t+1기, t+2기 모두 5% 유의수준에서 단일지원보다 패키지 지원이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스타트업과 액셀러레이터에 대해 합리적으로 접근을 시도하여 분석한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수집의 제약으로 장기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액셀러레이터가 기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이 미비하다는 점은 한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단계적 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길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6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6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