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MD 교육경쟁력 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 An Analysis 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MD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dex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성수; 엄문영; 김영식

Issue Date
2014-03
Publisher
한국교육학회
Citation
교육학연구, Vol.52 No.1, pp.117-146
Abstract
우수 인재를 둘러싼 글로벌 교육 시장에서의 국가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교육경쟁력 지수가 교육정책의 방향 설정 및 정책 결정?집행?평가의 주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경쟁력 지수에 대한 관심 및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경쟁력 지수 체계의 타당도 및 신뢰도에 대한 분석적인 접근은 최근까지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IMD 국가경쟁력 평가에 참여하고 있는 60개 국가들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교육경쟁력 지수 및 관련 지표값들을 활용하여 IMD 교육경쟁력 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IMD 교육경쟁력 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IMD 교육경쟁력 지수는 평가 결과의 일관성을 상당 부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측정 지표들과 교육경쟁력 간의 일치 정도를 나타내는 타당도 측면에서 IMD 교육경쟁력 지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현재의 IMD 교육경쟁력 지수 구성 체계가 교육경쟁력을 제대로 측정?평가하는데 있어 한계점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IMD 교육경쟁력 지수의 낮은 타당도 요인으로는 교육경쟁력의 개념 및 교육경쟁력 지수 관련 논의 부족, 설문조사 자료의 과도한 활용, 기업에 편중된 평가 항목 구성, 자의적인 가중치 부여, 결측치 처리 방식의 임의성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경쟁력 개념 및 이론적 틀의 명확한 재정립, 교육경쟁력 개념의 하위 잠재 변인으로의 세분화, 정량 지표 비중 확대, 설문 대상자 직업 범위 확대, IMD 교육경쟁력 지수의 한계를 고려한 해석과 처방 등을 정책적인 시사점으로 제공하였다.
ISSN
1225-4150
URI
https://hdl.handle.net/10371/19091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