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iterarische Raumdarstellungen am Beispiel der Werke von Wolfgang Koeppen : 볼프강 쾨펜의 작품에 나타난 문학적 공간서술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Lee, Sinae

Issue Date
2016-12
Publisher
한국괴테학회
Citation
괴테연구 No.29, pp.277-296
Abstract
Die Raumsoziologin Martina Löw weist auch auf die dynamische Charakteristik des Raums hin: „Der Raum ist die Beziehungsstruktur zwischen Körpern, welche ständig in Bewegung sind. Raum ist demnach nicht der starre Behälter, der unabhängig von den materiellen Verhältnissen existiert, sondern Raum und Körperwelt sind verwoben. Karl Schlögel, ein deutscher Historiker, der den engen Zusammenhang zwischen Raum und Zeit forscht, sagt, „Geschichte spielt nicht nur in der Zeit, sondern auch im Raum. Vor diesem Hintergrund werden im Folgenden literarische Raumdarstellungen von Wolfgang Koeppen (1906-1996) in topographischer Hinsicht untersucht. Koeppen stellt in seinen Romanen und Prosawerken fast immer einen bestimmten, konkreten Ort, meistens eine Großstadt, dar, wobei der Ort nicht bloß als Kulisse der Erzählung existiert, sondern eine ästhetische Funktion innehat. Im Folgenden wird versucht, näher auf Wolfgang Koeppens literarische Städtebilder und die räumliche Darstellung einzugehen und zum Schluss seine Identität als nonkonformistischer Schriftsteller festzustellen. Der Untersuchung liegen der Erzähltext Jugend (1972) sowie die Prosatexte Ein Kaffeehaus (1965) und Nach der Heimat gefragt...(1972) zugrunde.
20세기의 문예학 서술이론이 주로 시간적 관점에 근거하여 서술시간과 서술된 시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집중한 반면, 21세기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작품 속에 나타나는 공간과 공간성이 어떤 양상을 띠고 있으며, 이는 현실의 공간개념과 어떤 차이를 가지는가 하는 데에 있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현대사회에서 공간개념이 얼마나 광범위하게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는지 강조한다. 한편,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 소통체계의 발달로 오늘날의 공간은 물리적 영토, 국가, 고향 등과 같은 전통적 의미를 잃어가고 있으며, 점차 가상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비록 공간개념이 급속히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 한 개인의 정체성은 자신의 고향 공간과 분리시켜 생각될 수 없다.
일찍이 볼프강 쾨펜이 꿈꾼 유토피아적 공간은 베를린이었다. 1920년대의 베를린은 많은 지식인과 예술가들이 모여드는 유럽의 대표적 대도시였다. 어머니의 죽음 후 출생지 그라이프스발트를 떠나온 쾨펜은 베를린 뵈르젠 쿠리어 Berliner Börsen-Courier에서 일자리를 얻었으며, 작가로서의 길을 갈 수 있었다. 마르셀 라이히 라니츠키는 쾨펜의 작품이 보여주는 현대성을 누구보다 먼저 발견하였으며, 그를 타고난 아스팔트 작가 Asphaltliterat라고 평하기도 하였다. 쾨펜이 베를린을 좋아했던 이유는 무엇보다 그곳의 여러 카페들에서 느낄 수 있는 자유롭고 지적인 분위기 때문이었다.
특히 그가 자신의 영혼의 고향이라고 부른 카페가 바로 로마니셰스 카페이다. 쾨펜은 1965년 카페하우스 Ein Kaffeehaus라는 제목으로 자신이 사랑했던 마음의 고향에 일종의 오마주를 남겼는데, 4쪽 분량에 달하는 단 한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극도로 이례적인 언어구조물 안에서 그가 말하고자 한 주제는 중세로부터 낭만주의를 거쳐 프로이센 제국과 나치즘에 이르기까지 독일민족이 걸어온 역사와 변화의 모습들이다. 텍스트는 거대한 분량의 역사적 시간이 언어의 가장 작은 단위 혹은 공간으로 축약된 모습을 잘 보여 주고 있다. 폭격과 함께 자신의 비밀스런 조국 geheimes Vaterland은 사라졌지만, 작가는 텍스트에서 기억의 공간을 재생산함으로써 새로운 문학적 공간을 창조한 것이다.
ISSN
1229-7127
URI
https://hdl.handle.net/10371/19133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