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비고모음의 활음화 : Glide formation of non-high vowe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현

Issue Date
2016-06
Publisher
한국방언학회
Citation
방언학 No.23, pp.9-30
Abstract
하향이중모음이 단모음화되기 이전의 아야[aja], 오야[oja]는 현재 중앙어에서는 대체로 애:와 왜:로 반영되어 있지만, 충남과 전북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는 야:[ja:]와 요ㅑ[?a:]로 반영되어 있다. 이는 애아, 외아의 비고모음 애, 외가 각각 [j], [?]로 활음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모음의 연쇄에는 앞의 모음에서 다음 모음으로 전이되는 구간이 있기 마련인데, 앞의 모음이 극단적으로 약화되어 전이 구간과 후행 모음만이 두드러짐으로써 활음과 모음의 연쇄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개아와 괴아의 모음 길이를 조작하여 전체 연쇄가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실험한 결과, 애와 외가 짧으면 짧을수록 모음 연쇄보다는 활음과 모음의 연쇄라고 판단하는 일이 잦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VGV sequences [aja] and [oja] changed into [ɛ:] and [wɛ:] respectively in central dialect but in Chungnam and Jeonbuk dialects they occasionally changed into [ja:] and [ɥa:] respectively. It is supposed that after the monophthongization of [aj] and [oj] to [ɛ] and [ö], resulting VV sequences [ɛa] and [öa] underwent glide formation of non-high vowels: [ɛ]>[j], [ö]>[ɥ]. There always exists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two vowels constituting VV sequence and this transition can be recognized as a phonemic glide when the preceding one of vowel sequence is extremely weakened or deleted. The experiment shows that the more the preceding vowel is shortened the more test subjects recognize VV sequence as GV sequence. This glide formation as phonological phenomenon can be defined phonetically as vowel weakening or deletion.
ISSN
1738-8686
URI
https://hdl.handle.net/10371/191400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