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를 통한 다중적 자아의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of Multiple Identity Based on KakaoTalk Profile Imag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종윤; 홍장선; 윤주현

Issue Date
2013-11
Publisher
한국디자인학회
Citation
디자인학연구, Vol.26 No.4, pp.180-205
Abstract
연구배경 가상공간에서 자기 자신을 표현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가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현실 자아가 기술과 결합되면서 가상공간에서 존재하게 되는 또 다른 자아의 표현에 대한 이해와 유형화 작업이다. 스마트폰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 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가 한층 높아지면서 카카오톡 프로필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 이용동기, 만족 등 심리적 주관성 속성들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주관적 성향 즉 수용자(이용자) 관점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속성을 발견하기 위해서 Q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그리고 디자인적으로 가상공간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와 유형화 작업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상징적 상호작용이론과 인간의 주관적 영역에 대한 탐구를 위한 접근 방법으로서 인간의 내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는 주관적 입장(Subjective Standpoint)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 사용자들의 유형을 Q 분석한 결과 다섯 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제1유형 '현실 반영형'(현실 속에서 자신의 신분, 직업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묘사된 사진 이미지들을 선호), 제2유형 '이데아 표현형'(실제적인 대상의 이미지 보다는 자연의 배경 이미지나 추상적인 측면을 강조), 제3유형 '캐릭터 창조자형'(자신의 이미지를 상황 맞춤형으로 만들거나 창조해내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수단으로 여긴다), 제4유형 '거울 투영형'(자신의 이미지를 상황에 맞추어 그대로 재현하는 표현형 생활을 강조한다), 제5유형 '허위 만족형'(자신이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반어적 표현으로 재창조하는 것으로서 현실기피 혹은 현실 과장 이미지를 강조한다)으로 명명하였다. 결론 온라인상의 가상적 공간에서 이용자들이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와 같이 가상적 실제를 통해 표현하길 원하는 정체성은 많은 부분 현실의 삶 속에서 실현하고 싶어하는 자신의 모습들이다. 결론적으로 가상공간에서의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는 다원적이며 유동적(fluid)인 정체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카카오톡 프로필 이미지는 기술적인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그 범위 안에서 개인들이 지향하는 정체성을 가상공간에서 자유롭고 구체적으로 표현한다.
ISSN
1226-8046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2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