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상 현실 시뮬레이션 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이 고등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based basic resuscitation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bility for high school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대환

Advisor
채선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상 현실시뮬레이션기본소생술지식자기효능감수행능력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2. 채선미.
Abstract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급성 심정지 환자의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는 최초 목격자에 의해 즉시 시도되는 기본소생술이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일반인들이 고품질의 기본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가상 현실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이 고등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 검증을 위하여 2022년 7월 21일부터 9월 1일까지 수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총 60명으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Y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편의표집 하여 실험군, 비교군, 대조군에 각각 2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모든 집단을 대상으로 동일한 일자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군은 30분간 가상 현실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을, 비교군은 30분간 저충실도 마네킹을 활용한 기본소생술 교육을, 대조군은 아무런 실험 처치 없이 30분간 본 연구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영화 시청을 마친 후 첫 번째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번째 사후 검사는 6주 후 동일한 일자에 전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는 정지수와 허혜경(2013)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17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기본소생술 지식을 측정하였고, 기본소생술 자기효능감은 박정민과 전상은(2018)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18 문항으로 수정·보완하여 측정하였으며, 기본소생술 수행능력은 2020년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황성오 등, 2021)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23문항으로 개발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8.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정규성 검정은 Shapiro-Wilk test로, 실험군·비교군·대조군 간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OVA로, 가설 검정은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와 Bonferroni correct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들의 신뢰도는 Kuder-Richardson formula 20,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고, 관찰자 간 신뢰도는 Cohen's Kappa 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정 결과 기본소생술 지식 점수는 실험 처치 직후 및 6주 후 모두 실험군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실험군과 비교군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1.000, p= 1.000),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p= .006). 따라서 부가설 1-1과 부가설 1-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기본소생술 자기효능감 점수 또한 실험 처치 직후 및 6주 후 모두 실험군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실험군과 비교군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282, p= .099),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p= .006). 따라서 부가설 2-1과 부가설 2-2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반면 기본 소생술 수행능력 점수는 실험 처치 직후 및 6주 후 모두 실험군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았고 실험군과 비교군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001, p< .001),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서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p< .001). 따라서 부가설 3-1과 부가설 3-2는 지지되었다.
향후 가상 현실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이 고등학생의 지식,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지속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타당도를 엄격히 재검증하고, 질적 연구 방법론 등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와 같이 고등학생의 기본소생술 수행능력 향상 및 지속을 위해서는 저충실도 마네킹을 활용한 전통적 기본소생술 교육보다 가상 현실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기본소생술 교육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sudden cardiac arrest in a local community is immediate basic resuscitation attempted by the first witness. Hence,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Korea are currently making numerous efforts for the public to develop the competence in performing high-quality basic resuscitation.
This study is the quasi-experiment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s and durability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based basic resuscitation education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1 to September 1, 2022,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otal of 60 students in first grade of a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Republic of Korea.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0 students, comparison group of 20 students and control group of 20 students by convenience sampling. For data collection, students in all groups conducted the pretest using questionnaire and checklist on the same date. Subsequent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virtual reality simulation based basic resuscitation education for 30 minutes,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traditional basic resuscitation education using low-fidelity mannequin for 30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watched a movie that was irrelevant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for 30 minutes without any intervention. The first posttest was then conducted on the same day with the same method as the pretest. The second posttest was conducted on all groups after 6 weeks.
In terms of measurement tools, the researcher revised and complemented the tools developed by Jung and Hea(2013) for measuring knowledge of basic resuscitation and the tools by Park and Jun(2018) for measuring self-efficacy in basic resuscitation. Performance ability was measured with a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2020 Korean guidelines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8.0.1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ll group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Normality test of all groups were analyzed with Shapiro-Wilk test and homogeneity test for dependent variables in the pretest between the three group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ANOVA. The hypothesis testing was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and Bonferroni correcti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resuscitation knowledge score was the high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both times of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after 6 week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p= 1.000, p= 1.000).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 .001, p= .006). Therefore, sub-hypothesis 1-1 and 1-2 were partially supported. Likewise, the basic resuscitation self-efficacy score was the high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both times of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after 6 week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p= .282, p= .099).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 .001, p= .006). Therefore, sub-hypothesis 2-1 and 2-2 were also partially supported. Lastly, the basic resuscitation performance ability score was the high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both times of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after 6 weeks. What was noteworthy was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p< .001, p< .001) as well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p< .001, p< .001). Therefore, sub hypothesis 3-1 and 3-2 were supported.
In summary, virtual reality simulation based basic resuscitation education was proven effective in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self-efficacy and performance ability. Nonethel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refore, to maximize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based basic resuscitation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ogram should be strictly reverified and feedback should be collected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6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9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