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의 개발 및 평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ontology-based annotation system for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cont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한나

Advisor
박현애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온톨로지온톨로지 기반 검색건강정보 콘텐츠정보시스템 개발소비자 건강정보 제공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2. 박현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system that annotates health information ontology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s to improve search of the National Health Information Portal, develop a health information ontology utilizing the system, and then annotat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concept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s and evaluate the suitability of annotations.
This study was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ep was to develop a system that creates health information ontology that connects back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 In the second step, a health information ontology was developed using the system. In the last step, health information ontology concepts were annotated to health information contents.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development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ystem received heuristic evaluation and PSSUQ evaluation from five experts. Heuristic evaluation disclosed two items with a severity level of three or higher that must be corrected due to usability problems. As a result of the PSSUQ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for each item was 3.4 to 5.0 points, with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4.3 points.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was developed with 3,823 concepts and 12,082 synonyms.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was evaluated as having no errors in its structure and received an average of 4.4 points in content evaluation. Also, the evaluation confirmed that no structural error was indicated in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resulting in an average of 4.4 points. As a result, 14,740 ontology concepts were annotated to 3,241 contents. In the expert evaluation on annotation suitability, three concepts out of fifty concepts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
The significance of the health information ontology development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to automatically annotate ontology concepts to the health information contents, whereas previous ontology development and management system was limited to ontology itself, which cannot be directly linked to the information contents utilizing available ontology information. The developed health information ontology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in both structure and content. The suitability of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was created based on the principles of health information ontology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ome results wer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sults evaluated by experts.
In the future, integration between the ontology development and health information content annotation system with CMS is vital in order to apply to the content development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utomate the collection of user terms so that the ontology-based search function can be strengthened. In addition to providing ontology-based search, generating personalized health information contents by exploiting users search behavior is essential.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건강정보포털의 검색 향상을 위해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건강정보 콘텐츠에 연계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평가하고, 그 시스템을 활용해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개발한 뒤 건강정보 콘텐츠에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념을
연계하며, 건강정보 온톨로지 및 건강정보 콘텐츠에 연계된 건강정보 온톨로지의 개념 및 용어의 연계 적합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째 단계에서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활용하여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개발하고 건강정보 콘텐츠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둘째 단계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활용하여 건강정보 온톨로지를 개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건강정보 콘텐츠에 온톨로지 개념 및 용어를 연계하였다.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은 5명의 전문가로부터 휴리스틱 평가와 PSSUQ 평가를 받았다. 휴리스틱 평가 결과 사용성 문제가 있어 반드시 수정되어야 하는 심각성 수준 3점 이상의 항목은 2개였다. PSSUQ 평가 결과 항목별 평균 점수는 3.4∼5.0점이었고 전체 평균 점수는 4.3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정보 온톨로지는 개념 3,823개와 동의어 12,082개로 개발되었다. 겅강정보 온톨로지는 구조에 오류가 없다고 평가되었고 내용 평가에서는 평균 4.4점을 받았다. 건강정보 콘텐츠에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념을 연계한 결과 목차 단위 콘텐츠 3,241개에 온톨로지 개념 14,740개가 연계되었다. 연계 적합성에 대한 전문가 평가에서는 50개의 검색 키워드로 검색한 결과 중 3개의 키워드에서 각각 하나의 콘텐츠 연계가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건강정보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의 의의는 기존의 온톨로지 개발 및 관리 프로그램이 온톨로지에 국한되고 온톨로지가 활용될 수 있는 정보와 직접 연계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보완하여 건강정보 콘텐츠와 자동으로 연계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개발된 건강정보 온톨로지는 구조와 내용 두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의 적합성은 건강정보 온톨로지와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전문가들로부터 평가받은 결과에 따라 일부 결과를 개선할 수 있었다.
앞으로는 온톨로지 개발 및 건강정보 콘텐츠 연계 시스템을 콘텐츠 개발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CMS와 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온톨로지 기반 검색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사용자 용어 수집을 자동화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온톨로지 기반 검색 제공에 더불어 사용자의 검색 행태 기록을 활용하여 보다 더 개인화된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296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9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