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차량 내 가상 음향에 대한 검증 및 선호도 평가 : Validation and Preference Test of In-Vehicle Virtual Soun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민식

Advisor
윤명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포테인먼트가상 음향차량 음향청각 인터페이스음악 감상사용자 중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2023. 2. 윤명환.
Abstract
사용자 중심의 차량 내 시스템은 다변화 중이다. 완전 자율주행에 대한 기대는 운전자의 과업을 새로이 해석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되었고, 정보적 과업과 더불어 오락적 과업을 아우르는 인포테인먼트 개념이 대두되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에서 음악 감상은 주요 오락적 과업으로, 다채로운 청각 경험을 위한 차량 내 가상 음향 시스템은 산업의 화두이다. 그럼에도, 차량 내 가상 음향에 대한 사용자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연주회장 음향에 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있지만 차량만의 특이점을 온전히 대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주회장 음향에 관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차량 내 가상 음향의 설계의도 구현에 대한 검증 및 선호도 평가를 실시한다. 선행 연구의 평가 방식과 지표를 참고하여 검증과 선호도 평가 모두에 적합한 음악인을 대상으로 차량 내 청각 실험을 진행하고 사용자 중심의 가상 음향 필터 설계 방향성을 논한다.

실험의 결과로, 참여자는 가상 음향 필터의 설계 방향에 맞게 음향을 인지하면서도 구별하지 못하는 물리적 구간이 있었고, 그 정도는 지표에 따라 달라져 각 지표의 구체성과 지표 간의 관계를 가늠케 했다. 또한, 지표 전반에서 홀 컨셉 필터 중심의 선호를 보였지만, 명확한 상위 선호 그룹, 맥락에 따라 달라지는 그룹, 하위 선호 그룹으로 나뉘어 구체적인 선호 양상을 드러냈다. 더 나아가, 두 가지 맥락에서의 전반적 만족도를 높이는 변수 구성과 각 변수의 설명력을 밝혔고, 앞서 유추한 지표 간 관계에서 매개 효과를 살펴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논의와 결론은 검증과 선호도 평가를 바탕으로 차량 내 가상 음향 필터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한 것과 음향 연구 및 청각 실험에 대한 몇 가지 근본적인 토의에서 종합적인 의의를 가진다.
User-centered in-vehicle systems are diversifying. The expectation of fully automatic driving became a trigger for broadening drivers activities, and the concept of infotainment, which encompasses both informational and entertainment tasks, emerged. Music appreciation is one of the core tasks in vehicle infotainment, and in-vehicle virtual sound systems for multifarious auditory experiences are a major concern in the automobile industry. Nevertheless, no user research on in-vehicle virtual sound has been conducted. Some explorations of the concert hall acoustics were accomplished, but it is hardly to reflect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vehicles.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validation and the preference test of in-vehicle virtual soun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concert hall acoustics. By referring the evaluation method and indicators of previous studies, an in-vehicle auditory experiment is conducted targeting musicians suitable for both validation and preference test to discuss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virtual sound filter design.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could generally recognize the acoustic features according to the design direction, but there were physical gaps in which participants could not distinguish some of the individual filters. The extent of the gaps varied depending on each indicator, and this implied the relative concreteness and mutual relations of the indicators. Also, although the preference was centered on the hall concept filters in all indicators, specific patterns were revealed by being divided into an upper preference group, a group depending on contexts, and a lower preference group. Lastly, the compositions of factors that increase overall satisfactions in two contexts and the explanatory powers of each variable were found,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by examining th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icators inferred above. This study has overall significance in discovering insights for designing in-vehicle virtual sound based on the validation and preference test, and in some fundamental discussions on acoustic research and auditory experime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1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56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