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Study on Legal Consideration of E-Contracts in International Digital Trade : 디지털 무역 거래에서의 전자계약서에 관한 법적 고찰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은

Advisor
안덕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Blockchain TechnologyDigital EconomyDigital TradeE-ContractPaperless TradeTrade Securit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 2023. 2. 안덕근.
Abstrac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have accelerated the digital transformation. With this advancement, cross-border trade is becoming simpler and faster. Electronic purchase, documentation, data storage, exchanges of data from customers to traders push forward the implementation of e-contracts. Especially since 2010, the digitalized trade ecosystem is being processed more widely. Perhaps, the unprecedented global pandemic and the environmental-friendly movement have brought the digital transformation faster in diverse fields including trade. Countries are concluding bilateral and multilateral digital partnership agreements to promote economic activities while ensuring the national economic security.
Unfortunately, the regulatory gaps exist because legislation procedure has not kept up with the speed of the progress in technology. The adaptation of digitalization seems systematical and prompt as people and industries follow the trend. However, it has certainly brought vagueness and asked for a pioneering leader to set standards to the modification in industrial movement be legally valid to execute.
The world is closer to one another more than ever. The global trade scale has increased drastically. According to the WTO survey, 4300% growth has been reached in international trade from 1950 to 2021. In order to facilitate the trade ecosystem, digital transformation is unavoidable. One of the changes would be implementing e-contracts that is better known as smart contracts.
Considering beneficiaries that e-contracts have: cost and time reduction, simple documentation and customs clearance, and guaranteeing privity and security, it is more favourable to utilize them. With their advantageous features notwithstanding, the absence of typical protocol disturbs more widespread usage of e-contracts. In fact, there is no concrete norm to define e-contract worldwide. Perhaps it is because e-contracts contain not only technical concepts but various related legal issues such as contractual relationship practice and e-identity. As a result, e-contracts lift many concerns not only in contract law but also in multiple legal fields like financial law, electronic transaction law and data protection law. This is why it is worth reviewing legal concerns of e-contracts and profits from using them on behalf of existing contracts.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general preview of the concept, legal conditions and effects of e-contracts. How e-contracts are used in a real trade ecosystem will also be introduc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study goal. Then, the review of blockchain technology on e-contracts will follow to explain the technical conditions and the structure of e-contracts. Finally, already existing domestic laws and partnership agreements will be reviewed to be able to make suggestions for policymakers and trade negotiators to update the current legal framework for e-contrac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view from the current status of e-contracts from the definition and the cornerstone technology to the legal framework to suggest comprehensive digital partnership agreements in the digital trade era.
4차 산업혁명의 발생으로 인한 디지털기술발전은 사회의 많은 영역에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술 발전으로 세상은 그 어느때보다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글로벌 가치 사슬을 통해 세계 무역 규모 역시 급격히 증가했다. WTO 조사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21년까지 국제 무역은 4300%의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전례 없는 코로나19를 겪으며 전자상거래를 비롯한 국경을 넘나드는 무역(Cross-border trade)의 디지털 전환을 더욱 앞당겼다. 무역업무과정에 발생하는 모든 단계들(구매, 서류의 문서화, 데이터 저장, 데이터 교환 등)은 '전자 계약(e-contract)'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행될 수 있다. 즉, 무역 생태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많은 국가들은 각국의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 국가 경제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양자 및 다자간 디지털 파트너십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술 발전의 속도가 너무 빠르면 법 제정 절차가 이를 따라가지 못해, 기술 발전과 규제 사이에 격차가 발생한다. 산업이나 일상을 생각해보면 디지털전환이 꽤나 자연스레 이루어지는 것 같지만, 아직 진행 중인 과정에서의 법적 구속력을 결정짓기엔 고려해야할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비용과 시간의 절감, 통관절차 간소화, 프라이버시와 보안 보장 등 전자계약이 가진 이점들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정형화된 기준 및 규제의 부재는 더 광범위한 전자 계약의 사용을 방해한다. 사실 전 세계적으로 정해진 전자 계약'의 정의는 없다. 아마도 전자계약에는 기술적 개념 뿐만 아니라 계약관계 관행, 전자정체성 등 다양한 관련 법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따라 전자계약은 계약법은 물론, 금융법, 전자거래법, 데이터보호법 등 여러 법률 분야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자계약의 개념, 법적 조건 및 효과에 대한 일반적인 시사점을 소개하면서 전자계약이 실제 무역 생태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검토한다. 이어 블록체인 기술과 이를 기반으로 한 전자계약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전자계약의 기술적 조건과 구조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관련 항목을 가진 한국, 미국, 유럽 연합의 국내법과 파트너십 협정의 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를 통해 정책 입안자나 무역 전문가들이 전자계약에 대한 현행법 개정 또는 새로운 디지털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할 때 고려해보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5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