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US-China Tech War: Unilateral and Multilateral Trade Responses against Chinas Forced Technology Transfer- : 미중 기술 전쟁: 중국의 기술 강제 이전에 대한 일방적 대응과 다자적 대응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도연

Advisor
안덕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Forced Technology TransferIntellectual Property RightsU.S.-China Trade WarSection 301Unilateral ResponseMultilateral Respons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통상전공), 2023. 2. 안덕근.
Abstract
In 2018, the Trump Administration initiated the U.S.-China Trade War by publicly denouncing Chinas unfair trade activities. The belligerent attitude of the U.S. toward China has not changed even after President Biden replaced Trumps place, and the trade conflict has evolved into technology conflict and reorganization of global supply chains. Among many other unfair trade activities listed in the Section 301 Report by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USTR), misappropriation of foreign technology has long been a concern to the U.S. The U.S. particularly has started to sensitively react to issue regarding technologi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ince the advanced-technology industries of China started to grow rapidly and simultaneously threatened the U.S. position of technological hegemony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the tension continues to intensify, technology transfer has emerged as an imperative problem to tackle between the U.S. and China. This paper seeks to analyze the U.S. measures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of China by classifying them into unilateral and multilateral responses. Unilateral measures include Section 301 investigat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Foreign Investment Risk Review Modernization Act of 2018 (FIRRMA) that was legislated to restrict Chinas investment in U.S. industries, and Entity List that regulates the export of U.S. technologies. As a form of multilateral response, the U.S. had filed two case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gainst China through the WTO system. Along with these two cases, Chinas WTO Protocol of Accession will be analyzed in depth to examine Chinas obligations and commitments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protection within the WTO system. The additional analysis of the recent WTO case filed by the EU against China on technology transfer provides how such obligations and commitments can be used as a legal basis.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 unilateral and multilateral responses, it has been noted that unilateral measures implemented by the U.S. negatively influence the economy, industry, and citizens of its own, and further undermine the multilateral regime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n the other hand, although multilateral responses provide unified and comparatively fair resolutions, the lack of agreements related to Forced Technology Transfer (FTT) has been their biggest limitations. As a way forward for the U.S. and China conflicts, this paper suggests the formation of practical agreements that can efficiently address the FTT issues through multilateral consensus.
2018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불공정 무역 행위에 대해 공공연하게 비판하며 미중 무역 분쟁을 시작함으로써 세계 정치 경제의 새로운 막을 올렸다. 이후 트럼프가 재선에 실패하며 바이든이 미국 대통령직에 올랐음에도 미국의 태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무역 분쟁은 반도체 전쟁과 공급망 재편으로 심화되며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2018년 미국 통상 대표부가 발간한 301조 보고서에 언급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중국의 불공정 무역 행위 중, 해외 기술 남용의 문제는 트럼프 행정부 이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거론되어 왔다. 특히 기술 문제의 중심에 있는 지식재산권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을 시작한 1979년부터 꾸준히 존재해온 고질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최근 중국의 첨단 기술 산업이 비약적으로 성장하며 미국의 글로벌 기술 리더십 자리가 위협받자, 미국은 기술과 지식재산권 관련 문제에 더욱 강하게 반응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술 경쟁과 관련하여 미국이 중국에 대해 행한 조치들을 일방적 대응과 다자적 대응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일방적 대응으로는 미중 지식재산권 분쟁이 잘 드러나는 301조를 비롯하여, 최근 중국의 대미 투자를 규제하기 위해 제정된 외국인 투자 위험 심사 현대화법 (FIRRMA)과, 미국 기술의 수출을 제제하는 Entity List에 대해 살펴본다. 다자적 대응으로는 세계무역기구 (WTO)를 통해 미국이 중국을 제소한 두 건의 지식재산권 관련 판례를 살펴보도록 한다. 더 나아가 중국의 WTO 가입의정서를 함께 분석하여 중국이 WTO의 제도에 합류함으로써 지식재산권과 관련하여 어떠한 변화를 이루었는지 알아본다. 이러한 일방적 대응과 다자적 대응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일방적 대응은 오히려 미국 내 경제와 산업, 국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자적체제의 기반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또한, 다자적 대응은 통일되고 비교적 공정한 규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현재 기술 강제 이전(FTT)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해당 사안과 관련한 협정이나 합의가 부재하다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대응들의 한계를 통해 앞으로 미중 분쟁이 바르게 나아가야할 방향성으로 다자체계 내의 FTT 협정과 합의 타결을 제안하는 바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5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6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