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묵을 통한 불안 표현 : A STUDY ON EXPRESSING ANXIETY THROUGH INK WASH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다니엘

Advisor
신하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elf-awarenessMental HealthTaoismIntrospectionSerendipityInk-wash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23. 2. 신하순.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selected works of Daniel Becerril Ureña from 2020 to 2022. It analyzes how one can bring awareness to subconscious fears to relieve anxiety through coincidentiality. This is accomplished by looking at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works.

The subconscious is a psychological term that means, below the conscious mind. Although hidden from awareness, the subconscious impacts our behavior by manifesting as habits, desires, fears, and affections. These habits, desires, fears, and affections contained in the subconscious often become unknown and repressed unless we take the time to investigate them with some form of contemplative or therapeutic practice. So much of what remains hidden, influences our character and personality.

The contemplative or therapeutic practice needed to access the subconscious includes meditation, dreamwork, hypnosis, visualization, shamanic healing, etc. One of the therapeutic practices that involves body, mind, and soul that can give us more insight about ourselves is art making. In terms of the body, by engaging in a multisensorial activity, we can become calm, and mindful of the present moment while regulating the motion of the body. In terms of mind, we can communicate non-verbally through images and it can be easier to access memories and dreams stored in the subconscious as images that affect our life. In terms of spirituality, there is an intrinsic connection between art making and the purification of oneself. Borrowing heavily from beliefs presented mainly in Taoism, and the connection of man with the self has always been referred to as an integral part of Oriental Painting Theory. Self-introspection of our subconscious through art can bring awareness of our true self and purify and heal from anxiety produced by fear of inadequacy.

The works that will be analyzed in this thesis focus on art making as a therapeutic and self-reflecting exercise for analyzing fears, dreams, and memories to reveal insights into the mind of the artist to fight against the anxiety produced by the fear of inadequacy. These encounters with the subconscious are depicted as fog and water bodies using marbling techniques and oriental ink known as 먹. Water and clouds are an integral part of Oriental Painting Philosophy. Water is used together in abundance with the 먹, an important material in Oriental Painting. The works presented in this thesis, were always made whilst considering dualities represented by contrasting the black 먹 and the white space of the canvas. There is also a dual connection between water as a dynamic, unpredictable, and spontaneous component and 먹 as a static, more controllable component of the mind. The two interact with each other as a converging unity in the same way the conscious and subconscious form the unity of human psyche. Using water and 먹 in more spontaneous ways shows the necessity for reinventing oneself and the introspection and analysis of each work reveals small parts of the subconscious mind.

Upon completing this thesis, more research into the subconscious will be conducted to further comprehend it and bring it to awareness. Due to self-awareness, this will further progress the series made, as the true self is revealed, self-expression will inevitably change and improve not only the technical aspects of the artwork, but also other emotional aspects of the artists life. By continuing this research and this series, the individuality of the artist will begin to show more and more through the artworks in a more honest and fluid way as details about the subconscious are revealed. This could in effect be used as a catalyst to spread awareness of mental health, introspection, healing, and self-awareness.
본논문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제작한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 연구는 어떻게 인간이 우연성을 통해 불안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무의식적인 두려움을 환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때의 분석은 선별된 작품들의 특징과 사용된 기법을 살펴보면서 이루어진다.

잠재의식은 의식의 저변을 뜻하는 심리학 용어이다. 의식에서 숨겨져 있지만 무의식은 습관, 욕망, 공포, 애정 등으로 발현되면서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 무의식에 담긴 습관, 욕망, 공포, 애정은 종종 알려지지 않은 채 억압되어 있다가 어떤 형태의 사색 혹은 치료를 통해 시간을 들여 탐구할 때 비로소 드러나게 된다. 즉, 드러나지 않은 것들이 인간의 인성과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잠재의식에 이르기 위한 사색 및 치료 행위에는 명상, 꿈 작업, 최면, 시각화, 샤머니즘 치유 등이 포함된다. 인간이 자신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할 수 있게 하는 치료행위의 한 형태가 예술작업이다. 육체적인 면에서 인간은 다감각적 활동을 함으로써 차분해지며, 신체의 움직임을 조절하면서 현 순간을 의식할 수 있다. 정신적인 면에서는, 이미지를 통해 비언어적 소통이 가능하며,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친 이미지 형태로 무의식에 저장되어 있는 기억과 꿈에 접근하기가 용이해진다. 영적인 면에서는, 예술작업과 개인의 정화작용 간에 내재적 연관성이 있다. 인간의 영적인 자아와의 연결은 늘 동양화이론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일컬어져왔고, 주로 도교 신앙을 대거 차용한다. 예술을 통한 잠재의식의 자기성찰은 정화와 치유의 도구가 될 수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진정한 삶의 목적을 찾고 우주와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면, 인간의 영적인예술을 통한 잠재의식의 자기성찰은 정화와 치유의 도구가 될 수 있다. 성격 유형에 따라,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자아충족감이나 자존감의 결여를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 융 심리학에 따르면, 예술을 통한 잠재 의식에 대한 자기 성찰은 우리의 진정한 자아에 대한인식을 가져오고 자아충족감의 결여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한 불안을 정화시키고 치유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꿈, 공포, 상상의 장면들을 분석하고 이를 불안에 맞선 나의 정신에 대한 통찰을 드러내기 위한 치료적, 자기반성적 활동으로서의 수묵화 작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잠재의식과의 만남은 수묵화를 이용한 동양화 우연적인 기법을 통해 구름와 물로 묘사된다. 물과 구름는 동양화 철학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동양화의 중요한 소재인 먹과 함께 다량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 제시된 작품들은 수묵화를 통해 검은 먹과 캔버스의 흰 여백의 대조를 통해 표현되는 이중성을 항상 고려하여 제작됐다. 또한, 물은 역동적이고 예측불가의 즉흥적인 요소이고, 먹은 정적이고 다소 통제가 가능한 요소로서, 둘 사이에는 이중적인 연결성이 존재한다. 물과 먹은 의식과 잠재의식이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 정신의 통합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여 수렴된 통합을 이룬다.

이 논문이 완성되면, 나의 잠재의식과 마음에 대한 연구가 더욱 많이 진행되어, 그에 대한 더 깊은 인식과 이해가 이루어질 것이다. 자기 인식이 개선됨으로써, 깊어진 인식은 우연성 통한 불안과의 대립으로 더 많은 두려움을 낳게 될 것인데, 그로 인해 앞으로 만들어질 작품들과 그 작품들의 안계는 한층 더 발전될 것이다. 본 연구와 안계를 계속해 나갈 때, 무의식의 세부적인 부분들이 드러나면서, 작품들을 통한 나의 개성도 더 많이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것은 사실상 정신 건강, 자아성찰, 치유, 그리고 자각에 대한 인식을 증진하는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