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다감각적 체험을 활용한 배리어 프리 전시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Barrier-free Exhibition Design Focusing on Multi-sensory Experi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예진

Advisor
김경선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각장애배리어 프리접근성체험다감각전시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3. 2. 김경선.
Abstract
그래픽 디자인 혹은 시각 커뮤니케이션으로 분류되는 영역에서 본다라는 행위는 눈이라는 감각기관을 통한 표현 및 도구를 주요하게 다룬다. 사람은 감각기관을 통해 획득하는 정보 80% 이상을 시각을 통해 얻는 만큼 시각은 다수의 일상생활에서 가장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 기반의 기술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우리는 어떤 시대보다도 시각 매체에 의존하는 삶을 살고 있다. 반면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디지털 사회로 급격하게 전환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이 겪는 정보 접근성에 대한 격차는 극대화되었고, 일상생활은 물론 문화예술 관련 여가 활동에서 더욱 극단적인 문화적 소외 및 정보격차의 양상을 띠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접근성 문제 및 관련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장애인 관객의 접근성을 높이려는 배리어 프리(Barrier-free)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점자 블록, 촉지도와 같은 물리적 접근성 향상에서 더 나아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시각 언어를 음성해설, 점자와 같이 청각, 촉각 등의 감각을 활용한 선택지로의 번역이 필수적이다. 이는 일상생활뿐 아니라 전시 및 공연 관람과 같은 문화생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하지만, 시각적 감상 방식이 주를 이루는 예술 분야에서 물리적 접근성과 정보 접근성을 모두 고려한 전시는 부족한 상태다. 게다가, 공공단체 및 교육기관이 의무교육 방식으로 제공하는 강의, 동영상 등은 국내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한계점을 드러낸다. 이는 오히려 장애인에 대한 무관심 혹은 편견을 가중시킴에 따라 청각, 촉각 등 여러 감각을 활용하는 전시 체험의 방식을 통한 장애 인식개선 모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 영역에서의 배리어 프리에 대한 인지와 확산을 목표로, 장애와 비장애의 구분 없이 함께 감상하고 즐길 수 있는 전시 콘텐츠 기획과 전시 환경 구성을 통해 장애 인식개선 및 예술 향유 경험 증진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시각장애인 관람객에게는 안전한 환경에서의 예술 감상 기회를 제공하고, 비시각장애인 관람객에게는 시각장애에 대한 인식개선과 더불어 본다는 것의 의미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경험을 선보인다. 특히, 보이는 것을 만드는 디자이너에게는 전맹은 물론 저시력 시각장애인을 고려한 디자인 및 서비스 제작에 영향을 주기 위한 역할로서의 의의가 있다. 장애인만을 위한 보조적 장치로서의 배리어 프리가 아니라 모두를 위한 하나의 장르로서의 배리어 프리에 대한 가능성에 대한 시도로서, 앞으로 비장애인과 시각장애인이 함께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e realm of graphic design, and perhaps visual communication writ large, to see is an act that mainly deploys those tools and expressions relating to the sensory organ we call the eye. More than 80% of the information obtained via a human beings sensory organs is obtained through vision — a fact reflected in the dominant role of vision in so many daily lives. Indeed, todays ever-evolving digital media-based technologies and environments have created lifestyles more dependent on visual media than in any previous era. Meanwhile, the rapid transition to a remote digital society in the wake of the COVID-19 pandemic has exacerbated the gap in information accessibility already experienced by the visually impaired, resulting in extreme cultural alienation and a growing digital divide that shapes both daily life and leisure activities in the arts. With the emergence of these issues and the accompanying need for improvement across related services, we are seeing the welcome spread of a barrier-free movement that aims to increase accessibility for audience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it is essential to go beyond basic physical improvement measures like braille labels and tactile maps, ensuring instead that all existing visual information is translated into options that utilize alternative senses, i.e. voice commentary and braille, which utilize hearing and touch, respectively. This applies in equal measure to daily life and to special cultural activities like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Unfortunately, in the realm of the arts (where visual appreciation tends to be centered above all else), exhibitions that take both physical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into full consideration are still essentially nonexistent. What is more, rec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limitations of mandatory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pearheaded by public organization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usually in the form of lectures or videos) have in fact led to an increase in indifference — and even prejudice — when it com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sobering discovery serve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into new and different models for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through experiential exhibition methods that use multiple senses like hearing and touch.
The goal of this present study is to increase both familiarity with and use of barrier-free approaches, seeking out new plans that bolster disability awareness and enhance art appreciation through curatorial strategies and exhibition environments that can be enjoyed by all, disabled and non-disabled alike. Such exhibitions can provide visually impaired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art in a safe and supportive environment, while also providing non-visually impaired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simultaneously learn more about visual impairment and reflect anew on their own experience of seeing, both in terms of mode and significance. For designers in particular, used to making things that are meant to be seen, there is a great deal of meaning to be found in the experience of producing goods and services that consider and embrace the needs of the visually impaired, whether they are fully blind or simply low vision. Here, the concept of barrier-free is not about assistive devices intended only for use by the disabled. Rather, this undertaking posits the possibility of a full-fledged barrier-free genre intended for all, and hope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a future in which non-disabled people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can share and enjoy art and culture togethe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3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4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