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실 속 환상의 기이한 감각을 가시화한 서사에 관한 작품 연구 : A Study on the Artwork about the Narrative Visualizing the Uncanniness of Visions in Real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천지은

Advisor
이종건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이(奇異)함도상작위성미완결병렬적 배치직선적 구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조소과, 2023. 2. 이종건.
Abstract
본 연구의 작품들은 무의식과 망상 속 환상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연구자는 어떤 특정한 사물이나 장소, 상황을 마주한 순간, 이 의문과 감정에 대한 해답을 얻는 것 같은 데자뷔(Deja-vu)와 카타르시스(catharsis)적 감각을 경험해 왔다. 이 경험은 작업의 주요 동기가 되었고, 이 감정을 유발하게 해 준 사물들을 작업의 소재로 수집했다. 연구자는 이 경험과 감각을 형용 모순적 표현을 빌려 그 윤곽을 더 선명하게 했다.
기억이 거의 남아있지 않은 환상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연구자는 카타르시스를 유발하는 소재들을 이용해 이 환상과 비슷한 가상의 판타지 서사를 구성하는 작업을 해 왔다. 그러나 언어로는 순식간에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을 표현할 수 없기에 작업 이야기를 표현하는 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서사를 언어 대신 시각적 이미지로 어떻게 서술하는지에 대한 방법론을 구체화한다.
연구자는 작업 소재들의 작위적 조합을 통해 도상을 제작하고, 병렬적으로 이 도상들을 배치해 문장을 만든다. 그리고 이 문장들이 모일 수 있게 하는 직선적 설치 구조물을 통해 서사 속 하나의 에피소드가 탄생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연구자는 서사의 마침표 역할을 하는 도상을 만들지 않았고, 이 때문에 이야기는 완결이 나지 않은 상태로 있다. 이렇게 연구자는 영원히 끝나지 않는(unfinished work) 기이한 세계(uncanny world)를 작품으로 만든다.
이러한 작업 과정은 연구자로 하여금 무의식과 망상 속 환상을 부정적인 존재로 여기지 않게 해 준다. 그리고 작업을 통해 데자뷔 경험과 카타르시스 감각에 집중하게 된다. 이러한 행위는 환상 속 괴로운 것들을 익살스러운 존재로 바꾸며, 연구자의 의식 상태를 침해당하지 않는 선에서 무의식과 망상 속 환상과의 유희를 즐기게 해 준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 유희의 결과물로 나온 시각적 도상들을 가지고 관객의 이목을 끌어, 시간같이 세상에서 필수 불가결한 것들의 본질에 대해 질문을 하게끔 만든다. 이 질문을 통해 관객들은 연구자의 유희를 같이 즐길 수 있게 된다.
My works started with a question derived from the visions in unconsciousness and delusion. I have experienced Deja-vu and catharsis to such an extent that I have already got the answer to such question and emotion when I faced certain objects, places or situations. Such experiences are major motives for my works. I collected as the materials for my works those objects causing such emotion. Then, I would borrow the contradictory expressions to make clear the contours thereof.
In order to fill the empty space of illusion with a few memories remaining, I used the materials causing the catharsis to compose a virtual fantasy narrative similar to such an illusion. However, since it was not possible to express the simultaneously and instantly occurring events with the words only, the language was deemed not appropriate as the means of expressing the story about the works. Hence, this study will specifically discuss how the narrative could be described with the visual images rather than the language.
Through the contrived combinations of the work materials, I produce the icons and lay them in parallel to make sentences. Then, I install a linear structure converging such sentences and thereby, make an episode within the narrative born. However, I do not make the icon that would play a role of ending the narrative, and therefore, the work remains incomplete. As such, I would make unfinished works or an uncanny world.
Such a process of work urges me not to regard the illusion in unconsciousness and delusion as negative being. And through such work process, I would focus on the experience of Deja-vu and sense of catharsis. Such behaviors serve to convert the painful things in the illusion into humorous beings, while I can enjoy a play with the illusion in unconsciousness and delusion to the extent that my consciousness may not be infringed upon. Moreover, I use the results of such a play or the visual icons to attract audiences attention and urge them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essential things in the world. Through such questions, the audience would enjoy researchers plays together.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3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