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식회사 사용인의 대리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uthority of Attorney of Employees of Corporations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혜원

Advisor
천경훈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부분적 포괄대리권을 가진 사용인회사 내부 결재제도대리권법인인감사용인감전자서명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3. 2. 천경훈.
Abstract
오늘날의 일반적인 주식회사는 영업을 위해 계속적, 반복적으로 무수히 많은 거래행위를 한다. 주식회사의 대표권을 갖는 자는 대표이사이므로 주식회사를 당사자로 하는 법률행위는 대표이사가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수많은 거래행위가 모두 주식회사 대표이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실제로는 대부분 보조자인 회사의 사용인들이 수권을 받아 이를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주식회사의 수권행위는 조직 내의 일정한 규정과 체계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개인의 수권행위와는 그 방식과 형태를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학술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20개의 주식회사를 대상으로 사용인에 대한 수권 실태와 사용인의 법률행위 방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사용인에 대한 수권 실태와 관련하여, 조사 대상에 해당하는 20개의 주식회사는 공통적으로 사용인의 계약 체결에 관하여 특수한 사정이 있는 경우가 아니면 개별적인 수권행위를 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재량권, 업무자율권, 직무권한 등의 명칭 하에 계약 체결에 관하여 일정 직급의 사용인에게 결재권을 부여하는 회사 내부 규정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에 관한 법적 쟁점으로서 회사 내부 결재제도와 민법상 임의대리권의 관계를 살피면, 수권행위는 불요식 행위이므로 결재시스템 상 최종 결재권자로 지정하는 것 또한 유효한 방식의 수권행위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본인인 주식회사는 결재제도에서 누구를 대리인으로 지정한 것인지에 대한 의사해석이 필요한데, 대리인이 대리행위에 기하여 행한 법률행위의 효과는 직접 본인에게 발생한다(민법 제114조 참조)는 기본적인 법 명제를 고려하면, 본인인 주식회사의 의사는 결재 제도상 적어도 최종 결재권자인 사용인에게 주식회사의 법률행위에 대하여 단독적으로 의사를 결정할 권한을 부여한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사료된다.
또 다른 법적 쟁점으로 회사 내부 결재제도와 상법 제15조에서 정하는 부분적 포괄대리권을 가진 사용인의 관계를 살피면, 실태조사 대상 회사 모두 공통적으로 회사 내부 결재제도상 팀장(또는 부서장) 이상의 사용인에게 결재권을 부여하고 있으며, 계약 종류, 계약 금액, 계약 조건 등 다양한 기준으로 결재체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재체계 상 결재권자에 해당하지 않아 상급자의 결재를 거쳐야만 법률행위를 할 수 있는 사용인을 부분적 포괄대리권을 가진 사용인이라고 볼 수 있는지에 관하여, 판례는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지 않다. 부분적 포괄대리권을 가진 사용인의 지위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법률행위의 위임이 있어야 함을 고려하면, 사용인이 계약과 관련한 업무분야에서 최소한의 결재권을 갖는 자인지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사료된다.
다음으로, 사용인이 계약을 체결하는 구체적인 서명 수단 즉 법률행위 방식에 관한 실태조사와 관련 법적쟁점을 살펴본다. 실태조사 결과, 대부분의 주식회사에서는 업무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위해 법인인감을 대체하는 수단으로는 사용인감, 전자서명, 직인, 자필서명 등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률행위 방식과 관련한 법적 쟁점을 검토하면, 법인인감에 비해 사용인감에 대한 통제가 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만약 사용인이 자신의 권한을 넘어 이러한 서명 수단을 접근하여 행한 법률행위를 법적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 이와 같은 사용인의 법률행위는 민법 제126조의 표현대리로 의율될 것인데, 거래상대방이 대리권이 있다고 믿고 그와 같이 믿는 데에 정당한 이유가 있었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판례들은 사실관계 상 같은 서명수단임에도 각 사안마다 달리 판단하고 있고 각 서명수단의 특징에 대해 별다른 비중을 두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 서명수단 별로 회사 내부에서 관리 방식이 다르고 사용인의 접근성에 분명한 차이가 존재하는 바, 이에 대한 상대방의 신뢰도의 차이가 존재함을 분명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법인인감에 의한 대리행위의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정당한 이유를 인정하고, 사용인감에 의한 대리행위의 경우에는 사용인감계, 법인인감증명서 등을 모두 확인한 경우에만 정당한 이유를 인정함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인의 대리권에 관한 법리와 실무 운영의 문제점을 검토하면, 법리의 문제점으로는 상법상 부분적 포괄대리권을 가진 사용인규정은 그 성립요건과 대리권의 범위가 모호하여 수범자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판례의 개선 및 입법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무 운영의 문제점으로는 실태 조사 결과 사용인감 및 전자서명의 통제 시스템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보완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day's common corporation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engage in numerous transactions for business. Since the person who has the authority of attorney of the corporation i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it is in principle that legal acts of the corporation are performed by the representative director, so in fact, most of the employees of the company, who are assistants, are authorized to do this. In that these corporations authorization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certain regulations and systems within the organization, academic study on this is insufficient despite the method and form of individual authorization activities.
For the above study purposes, a survey of 20 general corporations in Korea was conducted on the status of authorization for employees and the method of legal action of employees. First, regarding the status of authorization for employees, the 20 corporations subject to the survey commonly have internal regulations that grant approval to employees at a certain level under the names of 'work discretion', 'work autonomy', and 'job authority', not individual authorization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As a legal issue concerning the actual situatio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s internal approval system and the discretionary power of attorney under the civil law, since the act of authorization is informal, designation as the final authority in the internal approval system can also be seen as an act of authorization in a valid way. If so, who has the company designated as its agent? Considering the legal proposition that the effect of a legal act performed by an agent based on an agency act directly occurs to the principal (refer to Article 114 of the Civil Act), the company's intention is to give the employee, who is the 'final decision-maker', sole authority over the legal act of the corporation.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granting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As another legal issue,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any's internal approval system and employees who have partial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rights stipulated in Article 15 of the Commercial Act, all companies under investigation commonly give approval rights to employees above 'team leader (or department head)' in the company's internal approval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approval system is formed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contract type, contract amount, and contract conditions. Judicial precedents do not take a consistent stance on whether an employee who can perform legal acts only after approval by a superior in the internal approval system can be regarded as an employee with partial comprehensive representation rights. Considering that delegation is necessary for the position of an employee with partial powers of comprehensive agency to occur, it is considered that whether the employee is a person with the minimum approval rights in the business field related to the contract is a matter that must be considered.
Next, a fact-finding survey on the means of signing a contract by an employee and related legal issues will b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survey, it was found that most corporations are using unofficial corporate seals, electronic signatures, direct seals, and handwritten signatures as means to replace corporate seals for the convenience and speed of work.
When reviewing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 means of signature,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over the unofficial corporate seal was weaker than that of the corporate seal,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it is legally appropriate to judge each means of signature on the same standard. Legal acts beyond the authority of the employee fall under Article 126 of the Civil Act. In this regard, in judging whether there was a 'legitimate reason' for believing that the other party to the transaction had the power of attorney, the precedents judged differently for each case even though the means of signature was the same in terms of fa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ans of signature doesn't seem to have given much importance to it. However, since the management method is different for each signature method inside the company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it is necessary to clearly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reliability of the other party. Therefore, in the case of an agency act with a corporate seal, in principle, a justifiable reason is recognized, and in the case of an agency act with a unofficial corporate seal, a justifiable reason must be recognized only when additional confirmation of the power of attorney is confirmed.
Lastly, when examining the legal principles related to the employee's power of attorney and the problems in practical operation, the legal problem is that the provisions of the employee with partial comprehensive agency power under the commercial law are ambiguous in terms of establishment requirements and the scope of the power of attorney, causing confusion to the offenders. As such, it seems necessary to improve precedent and legislative supplementation. As for the problem of practical operation, it was found that the control system for unofficial corporate seals and electronic signatures was insufficient as a result of the fact-finding survey, and supplementation and follow-up studies are need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5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