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 설계원리 개발 : A Developmental Study on Design Principles for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수정

Advisor
조영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회 네트워크 분석교우관계 네트워크협력학습개발연구교우관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공학전공), 2023. 2. 조영환.
Abstract
The relevance of collaboration is acknowledged in numerous competency-related research initiatives as a key competency required for the 21st century. Cooperative competency must, however, be taught through formal school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velop on its own. And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used in the classroom for this reason. Collaborative competencies can be fostered by implementing the factors that affect collaboration. The major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takes place in groups, and because learning occurs as a result of group interactions, friendships among group members have an impact on learning and collaboration. Teachers are aware of how friendship affects classroom dynamics, but they struggle to comprehend friendship from an unbiased perspective and struggle to apply it effectively. Social Network Analysis(SNA) can be used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in identifying friendships. SNA refers to a method of analyzing relational characteristics using notes and links to understand society based on structuralism and social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may be understood scientifically using SNA, and it is also feasible to learn about class features that teachers are unaware of in order to assist in the development of collaborative learning. The use of SNA with a focus on a friendship network, however, is uncommon in research of collaborative learning to date, and studies that have developed the theory of designing classes using it are even more uncommon. As a result, a design principle that creates classes that allow teachers to use the friendship network while plann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required.
Therefor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principle that teachers can use to design collaborative learning while taking friendship into account using SNA approaches in the classroom and to determine the outcome. The following are the study's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design principle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SNA? 2) Is the SN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design principle internally valid? 3) What impact does SN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av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ies were used to conduct research in order to solve research problem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used to generate the fundamental design principle. The internal validity of the design principle was then examined bythree experts. Following the internalvalidation, 17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one teacher participated in an external validation, which involved putting the SN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design principle to use in a real classroom setting. For a total of seven classes, the program was run as project-style collaborative learning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a field trip plan for each group. Pre-tests and post-tests on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attitude towards collaborationwere conducted. A survey regardingclass satisfactionwas also done afterward. For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test and post-test outcomes,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9 students were also perform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and qualitative data were examined using the qualitative analysis procedure.
The study generated 12 design principles and 49 detailed principles organized into 5 categories. It involves "investigating and analyzing friendship networks, forming groups while considering friendship networks, designing collaborative tasks and role assignment, encouraging participation, and reflecting on collaboration." Both collaboration skills and attitudes toward collabo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and the class satisfaction survey had overwhelmingly positive responses. It was able to confirm through student interviews that, compared to pre- and post-test results, collaborative competency and attitude had improved.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SN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as positive benefits on friendship and learning. Conversely, it was reaffirmed that there was a need for advice on appropriate participation techniques, for team building to be strengthened, and for student autonomy to be increased. Through teacher interviews, it was discovered that SN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friendships and collaborative skills. Additionally, the SNA-based collaborative learning design principles assisted teachers in designing their classes effectively. The creation of checklists, the extended applicationof social networks, and long-term implementation were the enhancements to which the teacher responded.
This study is significant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because it clarifies the function of a friendship network as an instructional design component, emphasizes the value of creating design guidelines that are applicable to the real school setting, and consider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 analysis to instructionaldesign.
협력(collaboration)은 21세기에 필요한 주요 역량으로 국내·외 역량 연구 프로젝트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협력 역량은 스스로 기르기 어려우므로 학교 교육을 통해 교육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협력학습을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바탕으로 협력을 촉진하도록 도움으로써 협력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협력학습은 주로 모둠을 단위로 하여 이뤄지며, 모둠원들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뤄지기 때문에 모둠원과의 관계, 즉 교우관계가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 교사들 또한 수업 운영에 있어 교우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있으나, 교우관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 이를 잘 활용하지 못한다. 이러한 교우관계 파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할 수 있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구조주의에 기반하여 개인 간의 사회적 관계를 바탕으로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 점과 연결선을 활용해 관계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였을 때 교우관계에 대해 과학적인 파악이 가능하며, 교사가 미처 알지 못한 학급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협력학습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협력학습 관련 연구에서는 교우관계에 주목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경우가 드물고, 이를 활용해 수업을 설계하는 원리를 개발한 연구는 더욱더 드물다. 따라서 교사들이 협력학습을 설계할 때 교우관계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는 설계원리를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우관계를 고려한 협력학습을 설계하는 설계원리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 설계원리는 무엇인가? 둘째,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 설계원리는 내적으로 타당한가? 셋째,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계·개발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행문헌을 바탕으로 초기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그 후에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설계원리의 내적 타당성을 검토하는 전문가 타당화를 시행하였다. 전문가 타당화 후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7명과 교사 1인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 설계원리를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모둠별 현장체험학습 계획 수립을 주제로 총 7차시 동안 프로젝트형 협력학습으로 운영되었다. 수업 전후에 협력 역량, 협력에 대한 태도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고, 수업 후에는 수업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하여 교사 1명과 학생 9명을 대상으로 면담도 실시하였다. 자료 중 양적 자료는 기술 통계, 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시행하였고, 질적 자료는 질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우관계 네트워크 조사 및 분석, 교우관계 네트워크를 고려한 모둠 구성, 협력적 과제 설계 및 역할 부여, 상호작용 촉진, 협력에 대한 성찰의 5개 영역 아래 12개의 설계원리와 49개의 세부원리가 도출되었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 협력 역량, 협력에 대한 태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수업만족도 설문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학생 면담을 통해서 사전·사후 검사와 일치하게 협력 역량의 향상과 협력에 대한 태도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외에 교우관계 개선, 학습 촉진의 효과도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의 효과로 나타났다. 반면 적절한 참여 방법에 대한 지도 필요, 팀 빌딩 강화 필요, 자율성 확대 필요가 개선해야 할 점으로 확인되었다.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서는 학생과 동일하게 협력 역량 향상과 교우관계 개선이 사회 네트워크 기반 협력학습의 효과로 나타났으며, 그 외에 효과적 수업 설계도 효과로 확인되었다. 교사가 응답한 개선점으로는 체크리스트 개발, 사회 네트워크 보완, 장기적 적용 필요가 있었다.
이 연구는 협력학습 설계에 있어 교우관계 네트워크를 고려하는 것의 역할을 보여줌으로써 교수설계 요소로서의 교우관계 네트워크의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방안을 고려하여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는 점, 교수설계 영역에서의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7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93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