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2000년대 이후 북한 고등교육정책 연구 : A Study of North Koreas Higher Education Policies Since the 2000s: Changes in Line with Global Trends
'세계적 추세'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연

Advisor
유성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교육 세계화교육 동형화세계적 추세교육 교류협력사회주의 교육북한 고등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3. 2. 유성상.
Abstract
The rapid globalization of education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early 1990s appears to have been different and unequal from country to country, and this is true for socialist countries, too. North Korea, considered the worlds most closed society, has also been influenced by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and has been changing its higher education policies according to global trends since the 2000s. This study identifies the aspects, characteristics, and main causes of such changes. North Koreas official literature has been analyzed to reveal what trends officials have perceived and adapted,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globalization of education by Park et al. (2008) has been applied to describe North Koreas change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orth Korean refugees as well as others familiar with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imary causes of changes in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ies have been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policies of other socialist countries.
In articles in Kyoyook Shinmun (Education Newspaper), the discourse related to North Korean education and global trends was analyzed to be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first phase was 2009-2011, when Kim Jong-il began to emphasize becoming a global educational powerhouse and issued a slogan to Kim Il-sung University: Plant the feet firmly on our land and look out over the world. The second phase was 2012-2015, when the injunction to catch up with global trends in educational development came after Kim Jong-ils death and concrete achievements began to take shape.
The third phase was 2016-2017, as articles related to global trends decreased in light of North Korea becoming further isolated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llowing its fourth to sixth nuclear tests and a Self-strengthening First line came into focus. The fourth phase was 2018-2019, when articles on global trends increased amid North Koreas attempted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e role of teachers was emphasized at that time. Through an analysis of the phases, it is seen that the emphasis on global trends in North Korea have had not only a practical meaning but also a characteristic of propaganda, with the varying degrees in response to fluctuating external relation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hanges in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ies accord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are as follows: The openness of the overall educational system is strictly limited. The Education Act of 1999, the Higher Education Act of 2011, and the Teachers Act of 2015 each include provisions related to educational exchange and cooperation. The Higher Education Act in particular stipulates not only an exchange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lectures by foreign professors but also a focus on education at the institute of scientific research to cultivate world-class scholars. In the status quo, The Pyongy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only private international university jointly established by South and North Korea and symbolizes the limited degree of openness of the North Korean educational system, hosting foreign faculty to teach local students in English-only curriculum.
Also, educational exchanges of personnel and goods have continued on a small scale. North Korea has diversified the destinations for its students studying abroad since the 2000s and introduced a self-funded study abroad system in 2009. In the late 2010s, a few North Korean universities actively attracted international students, thereby expanding its pool of inbound students. As for educator exchanges, foreign professors have been invited to teach in North Korea, and North Korean professors have been training abroad since the 2000s.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annually in North Korea from 2011 to 2018. Exchange of goods is heavily focused on humanitarian purposes and reciprocity is yet to be achieved.
Furthermore, North Korea has imitated global trends in higher education. Local scholars are interested in establishing educational plans and are trying to improve statistical capacity. Likewise, education authorities are trying to develop major universities, including Kim Il-sung University, into world-class universities and research-type universities, and scholars seek to make educational content more practical, comprehensive, and modern while also introducing discussion-based teaching methods and problem-based teaching methods. They are interested in various forms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want to realize a vision of making all people well-versed in science and technology by establishing a remote education system. Among other things, education authorities are encouraging teachers to earn degre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 training program.
Essentially, since 2009, global trends have become an important basis for North Korean authorities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 policies and have become a key research topic for university scholars as well as criteria for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re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y were determined. First, the educational system was opened only on a limited basis, without complete reform or opening of it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North Korean students and scholars are geographically and psychologically limited to their own nation, even though they are obligated to understand the world, as embodied Kim Jong-ils slogan for Kim Il-sung University. They cannot enjoy the freedom of movement both at home and abroad and are restricted from accessing external information and contacting foreigners. In terms of academics and realization, North Koreans are indoctrinated to maintain a sense of competition with the outside world rather than cultivate a spirit of global citizenship.
Second, international exchange is notably concentrated in China. This is the country that North Korean scholars refer to the most when attempting to grasp a sense of global trends and with which most joint cooperation research has been conducted.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policies seem to be strongly guided by the Beijing Consensus in that it is thoroughly state-led, pursues innovation in high-tech technologies, and uses higher education resources for asymmetric military strategies.
And third, the international compatibility of North Koreas higher education program is insufficient, yet it imitates global trends. Although the country attempted to join the WTO, which leads the trade in education services, as an observer in 2005, its application failed due to nuclear issues, opposi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a transparency problem regarding statistics. Additionally, it is difficult for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programs to receive international quality assurance because North Korea provides political ideological education and does not have a solid evaluation and selection system based on merit. Nevertheless,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has technically become quite isomorphic to global trends by studying the educational development policy of other countries and applying them in its own manner since the 2000s.
The question becomes what primarily causes North Korea to change its higher education policy in line with global trends despite the inherent difficulties. The first cause is academic and economic competition in the modern era of globalization. Amid fierce international competition, North Korea is changing its higher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global trends and developing it as a priority investment project to take a leap forward. The second cau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ite and the youngest generations. As marketization progressed after the Arduous March, external information was introduced to North Korea, and younger generations have been more sensitive to cultural changes, such as the Korean Wave. The nations elite have also been seen following transactional leadership during the Kim Jong-il and Kim Jong-un eras, and it has been determined that education authorities are trying to develop higher education policies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ir own pride and esteem.
In terms of evaluating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as globalized, in light of the definition and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al globalization by Park et al. (2008), North Korean higher education has been influenced by globalization. Still,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that it has been globalized just yet. Ultimately, North Koreas state-led university education violates academic freedom, so for North Korean universities to attain a level at which they can compete with world-class universities, they must first be willing to guarantee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communication, refine and disclose the nations statistical system, and open up the overall system.
This studys significance is in showing a special case of educational globalization by analyzing changes in the higher education policy of North Korea, where is known to still maintain the basis of socialist economic system. In practical te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ternational and inter-Korean cooper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available data may not fully reflect the situation on the field, that the situation post-2020 has not been analyzed, and that the paper cannot capture sufficient critical perspectives on the educational globalization and meritocratic system.
1990년대 초 냉전 종식 이후 급속도로 진행된 교육 세계화는 각국에 상이하고 불평등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주의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국가로 간주되는 북한 또한 스스로 부정함에도 교육 세계화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세계적 추세에 따라 고등교육정책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다. 본 논문은 북한 고등교육정책 변화의 양상과 특징, 요인을 분석하였다. 북한의 공간문헌을 분석하여 북측에서 인식하고 있는 세계적 추세가 무엇인지 밝히고, 박재윤 외(2008)의 교육 세계화 개념틀을 수정·적용하여 북한이 고등교육정책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는지 정리하였다. 또한 북한 고등교육기관 관련 경험을 갖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외국인, 내국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의 사례와 비교함으로써 북한 고등교육정책 변화의 실태 및 특징,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교육신문」 기사 분석 결과, 세계적 추세 관련 담론은 네 시기로 구분되어 나타난다. 1기는 김정일이 2009년 12월 김일성종합대학에 자기 땅에 발을 붙이고 눈은 세계를 보라! 구호를 하달한 이후 세계적인 교육강국, 인재대국이 될 것을 강조하기 시작한 2009-2011년이다. 2기는 김정일 사망 후 세계 교육발전 추세를 따라잡는 것이 그의 유훈이 되었고 구체적인 성과들이 도출되기 시작한 2012-2015년이다. 3기는 북한이 4-6차 핵실험을 자행하면서 국제사회로부터 고립되고, 자강력제일주의 노선을 천명하여 세계적 추세 관련 기사가 감소했던 2016-2017년이다. 4기는 북한이 한국, 미국과 외교적 협상을 시도하면서 세계적 추세 관련 기사도 증가하고, 특히 교원들의 역할이 강조됐던 2018-2019년이다. 시기별 담론 분석을 통해 북한에서 세계적 추세에 대한 강조는 실용적 의미뿐만 아니라 선전선동의 성격을 가지며, 대외관계의 변동에 따라 그 정도가 달라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개념틀에 따라 북한 고등교육정책 변화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교육제도는 매우 제한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북한은 1999년 채택된 교육법과 2011년 채택된 고등교육법, 2015년 채택된 교원법에 교육 교류협력 관련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고등교육법의 경우 외국 교수의 초빙강의와 유학생 교류뿐만 아니라 세계적 수준의 학자를 양성하기 위한 과학연구원 교육에 대해서도 규정하고 있다. 평양과학기술대학은 유일한 사립 국제대학, 남북합작 대학으로 외국인 교수진이 영어로 북한 학생들을 가르치는, 북한 교육제도의 제한적 개방성을 보여주는 사례다.
둘째, 교육 분야 인적·물적 교류가 미미하게 이어져 왔다. 유학생 교류의 경우 2000년대 이후 파견국을 다변화하고, 2009년 자비유학생 제도를 도입하였다. 2010년대 후반에는 유학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재북 유학생 전공 분야를 확대하였다. 교육자 교류의 경우 2000년대 이후 외국인 교원을 유치했고 북한 교원들이 해외연수를 가기도 했으며, 2011-2018년에는 매년 북측에서 국제학술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물적 교류는 인적 교류 수반 물적 교류와 교육 원조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아직까지 호혜적 교류보다는 시혜적 교류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세계적 추세에 맞게 고등교육정책을 모방해왔다. 북한 학자들은 교육계획 수립에 관심을 갖고 통계 역량을 개선해나가려 하고 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을 비롯한 주요 대학을 세계일류급대학이자 연구형 대학으로 발전시키려 하고 있다. 또한 교육내용을 실용화, 종합화, 현대화하고 토론식 교수법, 문제에 기초한 교수방법 등을 도입하려 하고 있다. 다양한 교육공학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원격교육체계를 확립하여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실현하고자 한다. 교육 당국은 교원 양성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원들의 학위 취득을 장려하고 있다.
즉, 2009년 이후 세계적 추세는 북한 당국이 고등교육정책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되었으며, 대학 학자들의 연구주제이자 성과 산출의 기준이 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 고등교육정책 변화의 특징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 정치경제체제를 완전히 개혁개방하지 않고 제한적으로만 교육제도를 개방했다. 김정일이 김일성종합대학에 하달한 구호에서 보듯이 북한 학생 및 학자들은 세계를 보아야 함에도 발은 자기 땅에 붙여야 하는 물리적, 정신적 통제를 받고 있다. 북한 주민들은 국내외 이동의 자유가 부족하고 외부 정보 및 외국인 접촉을 제한 당한다. 정신적으로도 북한 주민들은 세계시민성보다 경쟁의식을 가질 것을 강요받고 있다.
둘째, 인적·물적 교류가 중국에 상당히 집중되어 있다. 중국은 북한 학자들이 세계적 추세를 파악할 때 가장 많이 참고하고 있는 국가이며, 국제 협력 공동연구를 가장 빈번하게 수행한 국가이다. 또한 북한의 고등교육정책은 철저하게 국가 주도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 후발기술이 아닌 첨단기술의 혁신을 추구한다는 점, 비대칭적 군사전략을 위해 고등교육 자원이 활용된다는 점에서 베이징 컨센서스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고등교육 프로그램의 국제호환성이 미비하지만, 세계적 추세를 모방하고 있다. 북한은 2005년 옵서버로 가입을 시도했음에도 핵문제, 미국과 일본 등의 반대, 통계 공개문제 등으로 교육서비스 무역을 주도하는 WTO에 가입하지 못했다. 또한 북한은 정치사상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능력에 따른 평가 및 선발체계가 공고하지 않기 때문에 고등교육 프로그램이 국제적인 질 인증을 받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고등교육은 2000년대 이후 외국의 교육발전정책을 연구하여 고등교육 부문에 적용함으로써 기술적으로 세계적 추세에 상당히 동형화되었다.
여러 난관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세계적 추세에 따라 고등교육정책을 변화시키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 번째 요인은 세계화 시대의 학술적, 경제적 경쟁이다. 치열한 국제경쟁 가운데 북한은 더 이상 뒤처지지 않기 위해 세계적 추세에 맞게 고등교육정책을 변화시키고, 그것을 단번도약하기 위한 우선순위 투자 프로젝트로 전개하고 있다. 두 번째 요인은 엘리트 및 청년세대의 특성이다. 고난의 행군기 이후 시장화가 진행되면서 북한에도 외부 정보가 유입되었고, 청년세대는 한류 등 문화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엘리트들 또한 김일성 시대와 달리 김정일, 김정은 시대에는 거래적 리더십을 따르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의 체제 자부심을 강화하여 포섭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로 고등교육정책을 발전시키려 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렇다면 북한의 고등교육이 세계화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까? 박재윤 외(2008)의 교육 세계화 정의와 개념틀에 비추어봤을 때 북한 고등교육이 세계화의 영향은 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세계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궁극적으로 북한의 국가 주도 대학교육은 학문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 북한 대학들이 세계일류급 대학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학문과 통신의 자유를 보장해주어야 하며, 통계체계를 정교화하고 공개하고, 전반적 체제를 더 개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아직까지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근간을 유지하고 있다고 알려진 북한의 고등교육정책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교육 세계화의 특수한 사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용적 측면에서 본 연구 결과는 국제협력 및 남북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용한 자료가 실태를 충분히 드러내주지 못한다는 점과 2020년 이후 상황에 대해서는 분석하지 못했다는 점, 교육 세계화 및 능력주의 체계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충분히 담아내지 못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존재한다 하겠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8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0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