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가 안보위기 상황에서 육군 병장의 자발적 전역 연기 결정에 대한 탐색적 고찰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OK Army Soldiers' Drive for Postponement of Discharge in a state of national security cri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혜

Advisor
신종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역 연기전역연기병장병사의무복무징병제군 생활 경험국가 안보위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2023. 2. 신종호.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decision of the sergeants to voluntarily postpone discharge and remain in the unit under the national security crisis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main two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were to first check how the sergeant's military experience, who was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during the national security crisis, and second, to see what factors influenced the voluntary delay in the national security crisi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various references were collected and interviewed based on media reports at the time of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due to the Mokham mine provocation on August 4, 2015 and the shelling war on August 20, 2015.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rgeants who decided to postpone their discharge had high adaptability to military service and were recognized and supported by executives, colleagues, and successors. They said that their military life was fun and that time passed quickly, and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military life remained a good memory.
Second, the sergeants who decided to postpone their discharge from the military gave meaning to military life from the time they were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and had expectations and confidence in the value of their military life experience. Before joining the military, a positive image of the military was formed from the experiences of his father and his surrounding soldiers, and he continued to maintain an active attitude through praise, encouragement, recognition, and rewards for sincerity and activeness in the early days of enlistment.
Third, sergeants were guaranteed an autonomous choice without pressure,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unit members formed through military life and the competence and responsibility of mastery of duties serv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sergeant's decision to postpone discharge.
Fourth, in the case of personnel who had an identity and a sense of national community as soldiers protecting the state,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modeling learning and mental power education for commanders and executives when deciding to postpone the discharge.
In this study,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media reports, video data, border resident evacuation records, and official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researchers tried to interact with interviewees and form in-depth interview contents.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data analysis was enhanced by securing testimonies from active and reserve officers who worked with them as well as the reserve sergeant, who was involved in the application for postponement of discharge.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ithin the unit to meet basic psychological needs. Especially,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unit members was the most fundamental factor in the voluntary decision to postpone discharge in a crisis, reminding us that efforts to create a barracks atmosphere and environment to form comradeship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enlisted with a friendly view of the military, and a virtuous cycle occurred that allowed them to continue their activeness by giving feedback from the unit about their active attitude.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hat educ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that can have a friendly perspective and utility value for the military should be conducted for those who are scheduled to join the military, and that soldiers should continuously satisfy their achievement experience and desire for recognition. Third, mental power education organized by the commander and the influence of executives were confirmed, especial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at soldiers can actually see, experience and feel, rather than simply injecting the concept of inner value at the knowledge level.
Despite some limitations,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aptured and appealed a special case of the decision to postpone the discharge of the sergeant under the national security crisis and qualitatively explored the behind the phenomenon and human psychology.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and it sought to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psychology and behavior by focusing on conscripted soldiers, military environment, and individual interactions through special cases of voluntary military acting sergeant. Accordingl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military personnel management and mental power education for soldiers in case of emergency.
본 연구는 국가 안보위기 상황 하에서 병장이 자발적으로 전역을 연기하고 부대에 남고자 했던 결정에 대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크게 두 가지로 첫째, 국가 안보위기 상황에서 전역을 연기했던 병장의 군 생활 경험이 어떠했는가 확인하고 둘째, 국가안보 위기상황에서 자발적으로 전역을 연기하는 데 영향을 미친 요인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8월 4일 목함지뢰도발과 8월 20일 포격전으로 남북 간 긴장감이 최고조로 향했던 당시 언론 보도 내용과 더불어 각종 참고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면담 문항을 작성하였고, 전역 연기를 신청했던 병장들 중 연구 동의를 받은 예비역 병장 5명과 간부 4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역 연기 결정을 했던 병장들은 군 복무에 대한 적응도가 높았고, 간부, 동료, 후임들로부터 인정과 지지를 받았다. 이들은 군 생활이 재미있었고 시간이 빨리 지나갔다고 회고했으며, 각종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 생활이 좋은 추억으로 남아있었다.
둘째, 전역 연기를 결정한 병장들은 입대 전부터 전역할 때까지 군 생활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군 생활 경험의 가치에 대한 기대감과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군 입대 전에는 아버지와 주변 군필자들의 경험담으로부터 군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었고, 입대 초기 성실함과 적극성에 대한 칭찬과 격려, 인정과 피드백을 통해 적극적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갔다.
셋째, 전역 연기 결정에 있어 병장들은 압박감이 없이 자율적인 선택을 보장받았고, 군 생활을 통해 형성된 부대원 간의 친밀한 관계성과 임무 숙달로 인한 유능감과 책임감이 병장들의 전역 연기 결정에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국가를 수호하는 군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국가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있었던 병장의 경우, 전역 연기 결정을 내릴 때 평소 지휘관과 간부에 대한 모델링 학습과 정신전력교육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전 과정에서 언론보도 내용과 영상자료, 접경지역 주민대피기록, 공문서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자가 당시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터뷰 대상자와 상호작용하며 깊이 있는 면담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전역 연기 신청의 당사자인 예비역 병장뿐만 아니라 이들과 함께 근무한 현역 및 예비역 간부들의 증언을 확보함으로써 자료 분석의 신뢰도를 높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군에 대해 우호적 시각을 가지고 입대했고, 적극적인 자세에 대해 부대에서 피드백을 줌으로써 적극성을 지속해나갈 수 있게 하는 선순환이 발생했다. 이에 입대 예정자들을 대상으로 군대에 대해 우호적 시각과 효용가치를 가질 수 있는 교육과 홍보활동을 전개하며 입대 초기부터 병사들에게 지속적으로 성취경험과 인정욕구를 충족시켜 주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라 기본심리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부대 내 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위기 상황에서 병장이 전역 연기라는 자발적 결정을 내리는데 가장 밑바탕이 되었던 요인이 부대원 간의 끈끈한 관계성이었다는 점은 각 부대에서 전우애 형성을 위한 병영생활 분위기와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셋째, 지휘관 주관 정신전력교육과 리더십, 평소 군 생활 간 간부들과 형성한 관계의 영향력을 확인했는데, 특히 내적 가치의 개념을 단순히 지식 차원으로 주입하는 형식이 아니라 병사들이 실제로 보고 체험하고 느낄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국가 안보위기 상황 하에서 병장의 전역 연기 결정이라는 특수한 사건을 포착하여 상고하고 현상의 이면과 인간의 심리를 질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우리 군에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안보위기 상황 하에서 자발적 전역 연기 병장의 특수 사례를 통해 전쟁 위기로 긴장감이 조성된 상황과 군대 환경, 개인의 상호작용을 탐색하였고 징집된 병사에게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심리와 행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군대에서 유사시를 대비하여 병력관리와 장병 정신전력교육을 시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8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8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