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단서 경쟁 모형에 기반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습득 양상 연구 : An Acquisition Study of the Korean Postpositions 'i/ga' and 'eun/neun' as Used by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through Competition Mod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진예린

Advisor
김호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2언어 습득한국어 조사‘이/가’‘은/는’중국어권 학습자단서 경쟁 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3. 2. 김호정.
Abstract
Based on a competition model,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emantic function cues of 'i/ga' and 'eun/neun' by Chinese-speaking learners of Korean and to explore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d the semantic functions of 'i/ga' and 'eun/neun', which were divided into 'selection designation, introduction topic, and referential new information' and 'contrast, central topic, and referential old information'. Each of these six semantic functions was considered as one 'cue', and these cues were combined to derive a total of six combinations: ① 'selective designation + referential new information', ② 'selective designation + referential old information', ③ 'contrast + referential new information', ④ 'contrast + referential old information', ⑤ 'introduction topic ∙ referential new information', and ⑥ 'central topic ∙ referential old information'. In addition, a cloze test was adopted as a research tool to examine the selection and acquisition patterns of the survey of 'i/ga' and 'eun/neun' by elementary,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who were Chinese-speaking learners for each cue combination given in each utterance context.
Section Ⅱ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the semantic functions of 'i/ga' and 'eun/neun' along with which semantic functions should be selected first when these semantic functions are simultaneously revealed by the context of the utterance.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mpetition model was also examined. Based on this, considering how the acquisition pattern of the Korean postpositions 'i/ga' and 'eun/neun could be applied, basic assumptions were explored.
Section Ⅲ describes in detail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design process of the research tool used in the study,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procedure of this experiment,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analysis method.
Section IV analyzes the results of experiments conducted on elementary, middle, and advanced Chinese-speaking learners as well as native Korean speakers. As a result, all learner groups showed a lower correct answer rate in the context of cue competition than in the context without cue competition.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ombination, if the semantic function 'selection designation' is included, it was found that learners did not accurately understand the semantic function 'selection designation' of 'i/ga'. In other words, if context included the semantic function 'selection designation', not only the context with cue competition but also the context without cue competition is difficult for learner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meaning function 'contrast' cue of 'eun/neun', when its referential givenness is 'referential old information', which is also the function cue of 'eun/neun', all of the middle, and advanced Chinese-speaking learners showed a high degree of acquisition, matching the basic assumption of the cue competition model. In other words, when all semantic functional cues are induced in the same form and with the same association, the strength of each cue increases such that learners can interpret the sentences and select the correct postposition. Conversely, if there is cue competition because each semantic function cue corresponds to a different form, that is, if the 'contrast' cue of 'eun/neun' is revealed as the 'referential new information' cue of 'i/ga', with this combination, correct use becomes difficult for learners.
In Section Ⅴ,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separate and teach the semantic functions of 'i/ga' and 'eun/neun' individually, though the ability to consider the semantic functions of 'i/ga' and 'eun/neun' comprehensively should also be developed.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educate students so that they can learn by focusing on the semantic functions of 'selection designation' and 'contrast', which play a decisive role in the use of the Korean postpositions 'i/ga' or 'eun/neun'.
Section Ⅵ presents th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semantic function cues that affect Chinese-speaking Korean learners when selecting the Korean postpositions 'i/ga' or 'eun/neun'.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reveal the acquisition patterns among more diverse cues with more diverse syntactic condition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단서 경쟁 모형(Cue Competition Model)에 기반하여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선택에 관여하는 의미 기능 단서 습득 양상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가와 은/는의 의미 기능을 각각 선택지정, 도입 주제, 지시적 신정보와 대조, 중심 주제, 지시적 구정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6개의 의미 기능을 각각 하나의 단서로 보고, 이 단서들을 서로 조합하여, 선택적 결합 관계인 ①선택지정+지시적 신정보, ②선택지정+지시적 구정보, ③대조+지시적 신정보, ④대조+지시적 구정보와 고정적 결합 관계인 ⑤도입 주제∙지시적 신정보, ⑥중심 주제∙지시적 구정보의 총 6개 조합을 도출하였다. 또한 빈칸 채우기 과제를 연구 도구로 채택하여 각 발화 맥락에서 주어진 각 단서 조합에 있어, 중국어권 초∙중∙고급 학습자의 조사 이/가와 은/는의 선택 및 습득 양상을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이/가와 은/는의 각 의미 기능과 더불어 발화 맥락에 의해 이 의미 기능들이 동시에 드러났을 때, 어떤 의미 기능에 우선적으로 의존해서 조사를 선택하는가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단서 경쟁 모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서 경쟁 모형을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의 선택 및 습득 양상 분석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그 기본 가정들을 탐구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과 절차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 도구의 설계 과정, 예비 실험 및 본 실험의 진행 절차와 데이터 수집 방법 및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중국어권 초∙중∙고급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서 경쟁이 없는 항목보다 단서 경쟁이 있는 항목에서 모든 학습자 집단이 낮은 정답률을 나타냈다. 또한 어떤 조합이든 이/가의 선택지정이 포함된 단서 조합 항목인 경우, 모두 낮은 수준의 습득을 보여 학습자들이 이/가의 선택지정 의미 기능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시 말해, 학습자들은 선택지정 의미 기능 단서가 포함되는 항목 중에 단서 경쟁이 있는 항목은 물론, 단서 경쟁이 없는 항목에 대해서도 발화 맥락에 맞게 조사 사용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달리 은/는의 대조 의미 기능 단서에 있어서는 해당 지시체가 은/는의 의미 기능 단서인 지시적 구정보일 때, 즉 단서 경쟁이 없을 때, 대조 의미 기능에 대해 충분히 학습하지 못한 초급 학습자 집단을 제외한 중, 고급 학습자들은 모두 높은 수준의 습득 정도를 보여, 단서 경쟁 모형의 기본 가정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모든 의미 기능 단서들이 서로 같은 형태로 유도하여 연합(coalition)되면, 이때 각 단서의 강도가 높아져 학습자들이 상대적으로 더 수월하게 문장을 해석하고 조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각 의미 기능 단서가 대응되는 형태가 달라 단서 경쟁이 있는 경우, 즉 은/는의 대조 의미 기능 단서가 이/가의 의미 기능 단서인 지시적 신정보와 같이 드러날 때는 적합한 조사 선택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아래와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가와 은/는의 각 의미 기능들을 하나씩 분리시켜 교수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나, 이/가와 은/는의 의미 기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교수하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학습자들이 조사 이/가와 은/는을 선택 및 사용함에 있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선택지정, 대조 등의 의미 기능에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조사 이/가와 은/는을 선택할 때 어떤 의미 기능 단서에 영향을 받는지를 밝혔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이를 토대로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문장 구조를 고려한 연구를 수행하여 더 다양한 단서들 간의 습득 관계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1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5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