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산 지향 교수법(POA)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Korean Class Using Production-Oriented Approach(PO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몽척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교육생산 지향 교수법교양한국어일반 목적 학습자표현 교육말하기 과제한국어 교수법질적 사례연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3. 2. 민병곤.
Abstract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POA) is a teaching method designed to address the most pressing problem of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in Chinese universities, which is inadequate learner language literacy, and it has been proven to enhance bo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in China. Study on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primarily in English and Chinese, but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f the way POA is u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a number of issues with General Korean education at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 use of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is expected to help solve th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lasses to which the production-oriented teaching approach is applied, and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rough the example of a General Korean course at Chinese universities. B University in China first offered its POA-based course in General Korean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The General Korean course includes a total of three classes per week, that is, one hour of online lectures and two hours of offline classes. All 16 weeks of classes were following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and were designed in a similar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nd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revealed the procedures involved in a General Korean class using POA. On May 29, General Korean class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motivating-enabling-assessing stages, which is a teaching procedure of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At the enabling stage, five detailed cycles were carried out to facilitate gradual achievement of the teaching goal of this class. The motivating stage aims to pique learners interest and willingness in applying the target grammar.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teacher created four communication scenarios and introduced the context in which the connecting ending -는데 is employed. By raising the learners awareness of their language limitations, the educator sparked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to learn. Following that is the enabling stage, which is the key part of the class. Through the instructional design of varying detailed levels, starting with an easy content and moving on to a more difficult one, learners ability to use the target grammar and express their views on the topic of the class steadily improved. Finally, the purpose of the assessing stage i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ir overall achievements after the previous enabling stage. The teacher summarized and evaluated the learners strengths and weaknesses observed in all the practical activities conducted in class, and then presented these findings to the students by emphasizing some common or typical problems.
Second,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lasses through learner and teacher interviews, and it reveal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lass applying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difficulties experienced in such classes, points of improvement, and theoretical problems. To def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o learners, three categories were singled out: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The following are the challenges encountered in General Korean classes based on POA. To begin with, this paper presented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POA evaluation method. Second, the problem of anxiety experienced by the learners in the classroom was exami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ncourage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the following tasks must be accomplished. First,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textbooks to implement POA. Next, we analyzed the teacher training required to employ this approach in class. As for the theoretical problems, this study emphasized the lack of internal connectivity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complexity of teaching method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determined by the fact that it is the first in-depth study of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Currently, studies on the production-oriented approach have been predominantly conducted in the fields of English and Chinese, but those concern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may be of particular importance as it applied POA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alyze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difficulties, and proposed tasks that need to be solved.
생산 지향 교수법(production-oriented approach, 즉 POA)은 중국 내 대학 외국어 교육의 문제점, 즉 학습자 언어 사용 능력의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교수 이론 체계이며, 실제적으로 중국 내 외국어 교수 학습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현재 생산 지향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주로 영어와 대외한어(對外漢語) 영역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한국어 교육 영역에서 생산 지향 교수법을 활용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중국 내 대학 교양한국어 교육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하며, 생산 지향 교수법을 적용하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교의 교양한국어 수업 사례를 통해 생산 지향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교육적 의의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2022년 1학기 중국 B대학교에서 개설한 교양한국어 수업에서는 교사가 생산 지향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중국 B대학교의 교양한국어 수업은 매주 인터넷 강의 1시간과 오프라인 수업 2시간, 총 3교시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6주의 수업은 모두 생산 지향 교수법을 적용하고 비슷한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그중 학기 초반(4월 3일) 수업 한 단원 및 학기 말(5월 29일) 수업 한 단원, 총 6교시의 수업을 관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생산 지향 교수법을 활용한 교양한국어 수업을 어떻게 실행했는가를 밝혀냈다. 5월 29일 시행된 교양한국어 수업은 생산 지향 교수법의 교수 절차인 동기 부여 단계-촉진 단계-평가 단계에 따라 진행했고, 촉진 단계에서 다섯 개의 세부 순환으로 진행하여 점진적으로 이번 수업의 교수 목표를 달성했다. 동기 부여 단계의 목표는 학습자가 목표 문법에 대해 사용 의지와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다.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사는 의사소통 장면 네 개를 설계했고, 연결어미 '-는데'의 사용 환경을 제시해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적 부족을 느끼게 하고 학습 흥미와 의지를 유발했다. 다음으로, 촉진 단계는 수업의 핵심 단계이다. 여러 세부 단계의 교수 설계를 통해 쉬운 내용부터 어려운 내용까지 점차적으로 본 수업의 목표 문법 및 본문 주제에 대해 학습자의 표현 능력을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평가 단계의 목적은 학습자가 촉진 단계에서의 전체적인 성취도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사는 학습자들이 수업에서 시행된 모든 연습에서 보여준 장단점을 정리하여 평가하고, 앞서 발견한 몇 가지 보편적, 전형적인 문제를 집중적으로 짚어 학생들에게 제시했다.
둘째, 본 연구는 학습자 면담 및 교사 면담을 통해 수업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생산 지향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의 교육적 의의,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개선점 및 이론의 문제점을 밝혀냈다. 학습자에게 주는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및 행동적 측면 세 가지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생산 지향 교수법을 활용한 교양한국어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POA의 평가 방식과 관련된 어려움에 대해 논의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교실에서 겪는 불안감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향후 생산 지향 교수법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POA를 실시하기 위한 교재 개작 및 개발에 대해 논의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POA를 실시하기 위한 교사 양성에 대해 분석했다. 이론의 문제점에 대해, 본 연구는 이론 체계 내적 연결성 부족과 교수법의 복잡성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
본 연구는 최초로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생산 지향 교수법을 심도 있게 연구한 데 의의가 있다. 현재 생산 지향 교수법에 관한 연구는 주로 영어와 대외한어 교육 영역에서 활발하게 진행해왔으나 한국어 교육 영역에서 생산 지향 교수법을 활용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수업에서 POA를 적용하고, 교육적 의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제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6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