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교육 연구 : A Study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Appreciation for French Korean Learners in an Intercultural Approa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윤영

Advisor
강민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교육한국 현대시상호문화성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3. 2. 강민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spects of French Korean learners' appreci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through actual data, and to devise specific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methods in an intercultural aspect. The idea of this study derived from the fact that although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has increased rapidly in France since the 2010s, studies on French Korean learners are rare, especially in literature-related fields. However, studies on how French Korean learners approach and appreciate Korean literature is much needed, not only to match the sophisticated cultural need of French students but also to raise the quality of Korean education in Europe. Hence, this study set its core task to plan out educational measures on how we should approach in teaching French Korean learners in poetry appreciation. The idea is to prove the method should be done and set in an approach of intercultural education as the two country has a large difference in culture and languag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parts; one is a literature study on how French Korean learners learned their language and literature and on how they learned Korean ones. And the other is research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group discussions on how French learners appreciate Korean modern poetry.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preliminary interview, it is found that French Korean learners have vast knowledge and artistic sensibility on literature through their native literary education background. They are very skilled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both verbal and written form, thanks to the systematic argumentation training from very early stage. From four rounds of research interviews, it is found that regardless of their knowledge and sensibility of literature, large gaps were found in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of Korean poetry due to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Based on such, it is confirmed that the main idea of this study should be on reducing the sense of difference by overlapping (Mall, 2010).
To expla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of French Korean learner on Korean poetry, this study set a developmental process of three stages as follows: recognition of poetic characteristics in an ethnocentric viewpoint, formation of poetic meaning through finding cultural overlap, and expansion of poetic communication through accepting cultural overlap.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nables French Korean learners to understand Korean literature by comparing the poetic convention, to realize interchange of feeling through comprehending the poetical sentiments, and to encourage transitional thinking through critical reading of poetry.
Four rounds of research interviews developed as it went one after the other; starting from ordinary French Korean learners to those who is majoring or has majored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wo specific standards were set in selecting research material to be presented to the subject as follows; one is symbol, and the other is individualism. Symbol is chosen as it allows fluent conversation with the subjects who lack the knowledge of Korea modern poem without having to conduct a lesson. Hence, the common division of symbol as archetypical symbols, general symbols, and personal symbols were followed, and the poems were chosen accordingly in such order of difficulty. Individualism is derived from investigating the cultural difference of France and Korea through Hofstedes cultural theory; Individualism/totalitarianism showed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ltures. These two criteria were both considered in selecting the poems.
All the original poems were presented in Korean. However, all interviews, discussion, and written report were conducted mainly in English, allowing Korean and French if the subjects prefer. One on one in-depth interview took most of the research, and some group discussions were also conducted when time allowed. To collect the actual response of French Korean learners as raw as it is, the researcher refrained herself from giving straight answers to their questions related to the poem and rather redirected their questions to themselves.
The aspects of French learners appreciation of Korean modern poems could be categorized as follows: recognition of Korean poetic characteristics in French viewpoint, formation of poetic meaning and adjustment of sense of distance through finding cultural overlap, and expansion of poetic communication through adjustment of area of experience. First, in recognition of Korean poetic characteristics in French viewpoint, French Korean learners showed difficulties in overcoming the distinctive difference of the Korean poems and often displayed ethnocentric comprehension due to cultural shock. In formation of poetic meaning and adjustment of sense of distance through finding cultural overlap, French Korean learners showed active adjust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given poetic texts, relying on universal methods and experience. As they displayed creative interpretation, it could be well confirmed that their strong point is the ability to interpret and comprehend poetic text. However, due to lack of knowledge of Korean poetic genre and cultural context, they often fell into misreading. Lastly, in expansion of poetic communication through adjustment of area of experience, the French Korean learners showed intentional adjustment of cultural overlap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themselves. As a result, some of them displayed introspection through critical reading. It could be said that French Korean learners can not only appreciate Korean modern poem as itself, but also can get inspired to form a new awareness in many aspects such as culture, history, society.
Derived from such result, specific goal, content, and method in teaching Korean modern poem to French Korean learners were set. The content would be, reformation of poetic genre knowledge through study of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poem, materialization of experience through the use of universality and self-awareness, and expansion of area of experience through distinctiveness of individual experience. As for on the method, a standard on material selection is suggested and a list of specific Korean modern poems was proposed. The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presented as follows; deriving self-awareness through activating background knowledge, signifying individual experience through text analysis, and internalization of reflective thinking through writing essay.
This study shows its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One is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of literary education for French Korean learners in that their patterns in reading, analyzing, and appreciating of modern Korean poetry were collected and theorized through raw, in-depth interview data. The other is that this study reveal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cultural approach in appreciating Korean modern poetry for French Korean learners, who have a large cultural difference from Korean culture.
본 연구는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현대시를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해 효과적으로 감상에 이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감상 양상을 실제 자료를 통해 밝히고 구체적인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을 구안하고자 한다. 2010년대 이후 프랑스 내에서 급격히 증가한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관한 관심에 비해 프랑스인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는 미진하며 특히 문학 관련 분야의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프랑스가 서구권에서 미국 다음으로 많은 한국어 학습자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도 고교 졸업 자격 국가고시인 바칼로레아에서 한국어를 제2외국어 과목으로 격상시켰다는 점에서 프랑스인 학습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랑스와 한국이 문화적 이질감이 크다는 점과 프랑스인이 한국어 및 한국문화와 직접 접촉할 기회가 매우 적다는 점 때문에 프랑스인의 한국 문학 학습이 단순한 지식 전달식 교수·학습에 머물 수 있다고 보아, 한국 현대시를 제재로 삼아 상호문화적 접근을 통해 이들의 문화적 지평을 확대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았다.
본 연구는 프랑스인의 자국어와 문학 학습 전반에 대한 조사를 통해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는 자국 문학교육 경험을 통해 역사·문화적 교양을 포괄하는 문학적 지식과 감성을 지녔으며, 유아기부터 고등학교 졸업 자격시험까지 이어지는 체계적인 논증 훈련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것에 매우 능숙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국어 교육에서의 현대시 교육과 상호문화성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한 것을 바탕으로 네 차례의 조사를 통한 양상 연구에서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교육의 주요 쟁점을 두 문화 간 거리감 또는 이질감을 겹침(Mall, 2010)으로써 감소시키는 데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 변증법적인 상호문화교육의 방식을 참고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의 과정을 자문화 인식에 기반한 시의 특성 발견, 문화적 겹침 발견을 통한 시의 의미 형성, 문화적 겹침 수용을 통한 시적 소통의 확장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교육은 프랑스인 학습자에게 시의 형식 차이를 통해 한국 문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시의 정서 이해를 통해 감정교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시의 비판적 읽기를 통해 전환적 사고를 추동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학습자의 현대시 감상 양상에 대한 네 차례의 조사는 이론의 일반화를 위해 일반 프랑스인에서 프랑스인 한국어 전공자로 범위를 좁혀갔다. 제재 선택에 있어서 한국 현대시에 대한 지식정보가 없는 프랑스인 학습자의 상황을 감안하여 교수-학습의 과정이 없이 접근이 가능한 상징에 주목하여 원형적 상징, 대중적 상징, 개인적 상징을 쉽게 알 수 있는 것과 알기 어려운 것의 순으로 보고 이러한 상징이 나타난 시 텍스트들을 선택하여 이상의 순서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두 문화 간 차이를 호프스테드의 문화이론을 참고하여 개인주의/전체주의에서 가장 차이가 많이 나는 것 또한 고려하였다. 조사는 시 원문을 제외한 모든 과정에서 영어로 진행되었고, 일부 프랑스어와 한국어도 학습자에 따라 사용되었다. 시간이 허용할 때는 학습자들 간의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주로 개별 심층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프랑스인 학습자의 가공되지 않은 실질적인 반응 양상을 수집하기 위해 가급적 연구자의 지시적인 정보전달은 지양했으며, 학습자의 발언을 발문으로 삼아 지속적으로 생각과 대화를 이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프랑스인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양상은 프랑스 문화 중심의 한국 현대시의 특성 발견, 공통점 발견을 통한 거리감 조정과 시의 의미 형성, 경험 영역 조정을 통한 시적 소통 확장으로 범주화하였다. 먼저, 프랑스 문화 중심의 한국 현대시의 특성 발견 양상에서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에 대한 이질감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것은 단순한 시어의 어려움이 아니라 장르적 특성의 차이로 인한 문화 충격이었다. 또한, 프랑스인 학습자는 별다른 자극이 없이는 자문화중심적인 시각에서 타문화를 부정적으로 보거나, 무의식적으로 자문화나 선입견을 시 해석에 대입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통점 발견을 통한 거리감 조정과 시의 의미 형성 양상에서는 방법의 보편성이나 경험의 보편성에 기대 한국 현대시에서 문화 및 문학적 겹침을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랑스인 학습자는 다양하고 폭넓은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적극적으로 시를 해석하는데, 이것은 시에 대한 창조적인 해석뿐만 아니라 오독에도 이르게 하기 때문에 적절한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경험 영역 조정을 통한 시적 소통 확장 양상에서는 프랑스인 학습자가 의식적으로 시의 해석과 감상에 이르기 위해 시 텍스트와 자신 간에 겹침을 조정하거나, 자문화와의 거리두기를 통하여 양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부 학습자는 이러한 겹침을 자신 내적으로 수용하고 자아성찰에 이르기도 하였다.
이러한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호문화적 현대시 감상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설계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한국 현대시의 특수성 탐구를 통한 시 장르 지식의 재구성, 보편성 활용과 자아 인식을 통한 경험의 구체화, 경험의 특수성을 활용한 시의 의미 영역 확대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교육 방법으로 먼저 제재 선정 조건과 현대시 목록을 제안하였고,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배경지식 활성화를 통한 자기 인식 추동, 텍스트 분석을 통한 개인 경험 기반의 의미화, 감상문 쓰기를 통한 반성적 사고의 내면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프랑스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양상을 가공되지 않은 심층적인 실질 자료를 통해 수집하여 이론화하였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프랑스인 학습자에 대한 문학교육의 기초적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한국 현대시를 감상하는 데 있어 한국문화와 문화적 차이가 큰 프랑스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상호문화적인 접근의 실효성을 밝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