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s of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이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 다양성 중심 수업과 비교하여
In Comparison with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소람

Advisor
모경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Multicultural AttitudeMulticultural EducationMulticultural InstructionHuman Right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3. 2. 모경환.
Abstract
최근 몇십 년간 우리나라는 국제 이주민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눈에 띄는 인구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한 데 반해, 문화적 차이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법, 제도 등은 이러한 사회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여 국적, 인종, 민족, 종교, 언어에 따른 직간접적 차별과 배제가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 부정의는 오랫동안 형성되어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영역에서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거시적 사회구조에 기인한다. 뿌리 깊은 구조적 불평등으로 인해 많은 이주민이 법과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한 채 인권 침해를 겪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했을 때, 진정한 의미의 다문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회에 깊이 내재된 불평등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이 이러한 사회 변화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이끄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다문화 교육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태도를 개선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 교육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현재의 다문화 교육은 여행자 접근법이라고 불리듯이 국가 간의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는 데 지나치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학생들이 단순히 외국 문화를 알게 되는 것만으로는 이주민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참여하는 것을 배우기를 기대하기 어렵다. 둘째, 다문화 교육 접근법 대부분은 구조적 요인을 간과한 채 이주민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원인을 문화 이해의 부족과 같은 개인의 특성으로 돌린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차별적 사회구조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이주민의 권리를 보장할 방안을 논의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셋째,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주민의 인권이 제대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즉, 다문화 교육과 인권 교육이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이 이주민의 권리와 이를 침해하는 구조적 불평등을 자세히 배울 기회가 없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권 교육과 결합된 다문화 교육이 학교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인권과 구조적 불평등의 관점에서 이주민에 대한 차별을 다루는 인권 중심 다문화 교육을 제시한다. 이 다문화 교육 접근법은 학생들이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동등한 인권을 지닌 존재로 존중하고 구조적 불평등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학교에서 가장 흔히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 다양성 중심 다문화 수업과 비교하여,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이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주 가설 :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은 문화 다양성 중심 수업보다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를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 하위 가설
1.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은 문화 다양성 중심 수업보다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의 인지적 영역을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2.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은 문화 다양성 중심 수업보다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의 정의적 영역을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3.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은 문화 다양성 중심 수업보다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의 행동적 영역을 개선하는 데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중학교 2곳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A 중학교 1학년 6학급의 129명, B 중학교 1학년 8학급의 154명을 포함하여 총 283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들은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에 참여하는 처치 집단과 문화 다양성 중심 다문화 수업에 참여하는 통제 집단에 임의로 배정되었다. 각 집단을 대상으로 세 차시의 수업을 실시한 후, 사전 및 사후 검사 설문을 통해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다문화 태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강혜정과 임은미(2012)가 Munroe와 Pearson(2006)의 MASQUE에 기반하여 개발한 다문화 태도 척도를 수정하여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 사용하였다. 종속 변인인 다문화 태도는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되었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처치 집단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에서 다문화 태도 점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다. 즉,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은 세 영역 모두에서 중학생의 다문화 태도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 가설과 세 하위 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인권 중심 다문화 교육이 학생들의 다문화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는 인권과 구조적 불평등 문제를 핵심 내용으로 다루는 인권 중심 다문화 교육을 새로운 다문화 교육 접근법으로 제안한다. 이 다문화 교육 방법은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을 동등한 존재로 바라보고 이주민들이 겪는 차별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때 다문화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지닐 수 있다는 견해에 기반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실행한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은 다문화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교육 내용을 제시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의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제공한다. 인권 중심 다문화 교육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는 주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또는 이론적 논의에 제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제를 학교 현장에서의 실천으로 확장하기 위해 인권 중심 다문화 수업안을 설계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고 그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새로운 접근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현재 국가 간 다문화에 초점이 치우쳐져 있는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 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에 관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봤을 때, 다문화 교육이 다문화 사회에서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인권 문제를 적절히 다룬다면, 다른 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가 훨씬 더 효과적으로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권 및 구조적 불평등 문제를 다문화 교육에 통합함으로써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내에서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In recent decades, Korea has undergone a marked demographic change due to the constant influx of international migrants. Yet, while Korea has rapidly been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there exist direct or indirect discrimination against and exclusion of migrants based on nationality, race, ethnicity, religion, or language. This social injustice can be attributed to the macro-level social structure, which has been built up so solidly over so long a time that it reproduces inequities in the economic, political, and cultural spheres. Due to such deep-rooted structural inequities, many migrants suffer from human rights violations, with no adequate protection by laws and institutions. In order to realize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it is essential to minimize disparities deeply ingrained in society, and education can play a leading role in eliciting efforts to effectuate this social change.
Multicultural education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is goal by improving attitudes toward thos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However,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d in schools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ly, multicultural education focuses narrowly on promoting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among countries, which is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tourist approach. Students are unlikely to put aside their prejudice against migrants and learn to participate in addressing social issues merely by being aware of foreign countries cultures. Secondly, most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ascrib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to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some citizens in the receiving country, thereby overlooking structural factors. For this reason, students can hardly learn to articulate their critical perceptions on existing discriminatory structures that vitiate the principle of equity and discuss ways to ensure minoritized populations rights. Thirdly, in the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ssues of migrants human rights are seldom dealt with. Sinc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ights education are conducted as separate areas, students have little chance to learn in detail about migrant rights and structural inequities that infringe their rights.
Given these limit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associated with human rights education must be practiced in schools. The present study makes a case for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favors a focus on discrimination against migrants as viewed through the lens of structural causes and migrants human rights. This approach aims to help students not only view people with different cultures as those who deserve equal rights but also reflect critically on structural inequities to seek positive social chang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compared to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which is the most prevalent framework currently used in Korean schools. Toward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research hypotheses as follows:

● The main hypothesis :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than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 Sub-hypotheses
1.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in the cognitive domain than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2.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in the affective domain than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3.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in the behavioral domain than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he experiment at 2 middle schools in Seoul. A total of 283 students in fourteen 7th grade classes—129 students in six classes at A middle school and 154 students in eight classes at B middle school—were finally selected as participants. These 7th-grader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treatment group, who receives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and the control group, who takes part in cultural diversity-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After 3 lessons were offered to both groups, changes in three domains of multicultural attitudes—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were measured through survey responses as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present study used a modified version of Kang (2012)s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Munroe and Pearsons MASQUE, to measure changes in middle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attitudes—the dependent variable—were measured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higher increase in multicultural attitud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is,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multicultural attitud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factors. Thus, the main hypothesis and three sub-hypotheses were all verified, which demonstrates that this new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enhance multicultural attitude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the following three pedagogical implications. Firstly, this study suggests a new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that deals with human rights and structural inequities as the core content. This approa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view that students can have desirable attitudes toward diverse cultures only if they view thos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s equal beings and critically understand discrimination that migrants experience in society.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instruction, which was implemented in this experiment, can not only provide new perspectiv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but also suggest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maximize educational effects.
Second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detailed way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easily practiced in schools. Previous studies are normally limited to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s or theoretical discussion. In order to expand this research topic into practice in schools, this study devised practicable lesson plans of human rights-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ose lessons by measuring the educational effects in schools.
Thirdly, the present study provide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ow to improve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s narrowly focused on cultural diversity among nations.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f multicultural education deals with inequity and human rights issues that have arisen in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students attitudes toward different cultures can be promoted far more effectivel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how to address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with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integrating the issues of human rights and structural inequities into multicultural educati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2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