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인의 근육활용능력에 따른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이 예측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 Effect of Sensorimotor Synchronization Training o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according to the Muscle Utilization Ability of the Elderl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은휘

Advisor
김선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감각운동동기화근육활용능력예측자세조절CP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3. 2. 김선진.
Abstract
노인은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자세조절 전략의 변화를 겪고 균형능력이 감소한다. 특히 예상되는 섭동이 발생하기 전 섭동을 상쇄하기 위한 예측사제조절 전략이 지연되거나 변화되어 섭동이 발생한 뒤 동적 및 정적 안정성이 감소한다. 보행과 같은 이동운동에서도 노인의 예측자세조절은 변화되고 노인 낙상의 대부분이 이동운동 중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측자세조절은 트레이닝 또는 다양한 중재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트레이닝을 통한 노인의 보행 시작 시 발생하는 예측자세조절의 변화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예측자세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일 세션의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을 사용하였고 해당 운동과제의 효과를 발 올리기 과제와 좁은보폭걷기 과제에서 비교해 동작의 연속성에 따른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노인의 근육활용능력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건강한 노인을 모집하여 근감소증 진단 기준을 완화해 집단을 구분하였고 과제별 측정 시점(사전, 사후, 파지)과 집단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발 올리기 과제와 좁은보폭걷기 과제 모두에서 사지 간 전이효과가 관찰되었다. 발 올리기 과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모든 연구 대상은 발의 속도, 예측자세조절의 크기 및 토크는 측정 시점별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 후 빨라진 발의 속도에 의해 증가한 섭동을 예측하여 상쇄하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하지만 좁은보폭걷기 과제에서 발 올리기 과제와 다른 양상이 관찰되었다. 좁은보폭걷기 과제에서 사전측정보다 파지측정에서 발 속도가 증가하였으나 예측자세조절의 크기 및 토크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더해 근육활용능력이 낮은 집단의 정적 안정성이 감소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 대상이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을 통해 안전함을 우선시 하는 움직임이 아닌 운동과제의 목표 달성을 우선시하는 비교적 덜 안전한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리드미컬한 청각 자극을 사용한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은 노인, 파킨슨병, 뇌졸중 등 신체적으로 동적 및 정적 안정성이 감소한 대상의 보행 재활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와 같이 단일 세션의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 후 신체적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는 능력이 떨어진 대상자가 비교적 덜 안전한 움직임 전략을 사용한다면 낙상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각운동동기화 트레이닝이 운동과제별 근육모드 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불연속 운동과제인 발 올리기 과제에서 집단 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연속 운동과제인 좁은보폭걷기 과제에서 집단과 측정 시점별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리드미컬한 중재가 CPG를 자극할 수 있음을 언급한 선행연구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6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46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