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생존에 밀리는 기후·환경 : Survival' before Climate and Environment : A qualitative research on Perceptions and Beliefs on Climate and Environment of Participants in the Taegeukgi Rally
태극기집회 참가자들의 기후·환경 인식 및 가치관에 대한 질적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혜정

Advisor
윤순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대응회의론기후회의론생존주의성장주의태극기 집회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 2023. 2. 윤순진.
Abstract
Korean public opinions on climate change, which are highly aware of the seriousness but weak in response and practice could be seemed response skepticism, a sort of climate skepticism. A topical life history qualitative interview data from four participants in the Taegeukgi rally indicates how response skepticism is formed and maintained. This study looks at the participants of the Taegeukgi rally as a political generation unit that shares strong growth ideology,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having the 1970s during the Park Chung-hee regime as their hometown of time which means critical period of life.
This study finds that nationalism and growth ideology based on survivalism is embedded at the core of response skepticism. The world view of growth ideology, absolutised by the precarious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survivalism that it must develop constantly to survive competition in the world, is based on a linear historical view of social evolution and state-centered, human-centered hierarchical ontology. Here, climate change is not a real problem,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are marginalized and otherize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pproach climate and environmental issues primarily through state-centered problem-solving discourses. However when this eventually faces limitations in climate change that the state cannot solve, the participants use the rhetorics("What can we do in this small country" and "Look at China") that justify it. They are pessimistic about the future of the planet. They recognize long-term global limitations but have no choice but to prioritize immediate economic survival. This study calls this survivalism of participants as survavalism with resign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urvivalist values of the participants were formed from the life experience of chaos and poverty before and after war, and embedding the survial oriented development ideology of the state and society. This survivalist value is being regenerated and reinforced through learning communities such as Taegeukgi rallies and conservative YouTube channels, which share similar values with the participants.
Climate and environmental communication and education in the future needs to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such survivalist characterics of Korean society, groups, and individuals. The enlightening education with premise of "They will act once they get to know" is unlikely to work. Memories of the Korean War are gradually fading over time, but the division of Korea and the survivalism are still valid in Korean society. We can ask whether it is not just the participants but also the Korean society and education who continues survivalism and growth oriented assimilation learning.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and narratives of response skepticism on climate and environment are not unique to the participants, but are quite universally observed throughout Korean society. Further studies on various spectrum of response skepticism and survivalism are required to answer the question of how response skepticism are formed and supported in other groups and other generations.
이 연구에서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데 비해 대응과 실천은 약한 한국의 기후대응 여론 및 행동 양상을 기후회의론의 일종인 대응회의론으로 바라보고, 참여자 4인에 대한 주제 중심 생애사의 질적 접근을 통해 대응회의론이 어떻게 형성되고 유지되는가를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태극기 집회에 참가했다는 공통점을 가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태극기 집회 참가자들을 박정희 체제기인 1970년대를 시간 고향으로 삼아 강한 성장·국가주의와 반공의식을 공유하는 하나의 정치 세대단위로 바라보고 접근했다.
이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대응회의론 중심에 생존주의에 기반한 국가·성장주의가 자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위태로운 분단 상황과 세계 속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부단히 발전해야 한다는 생존주의에 기반한 성장주의 세계관은 국가와 인간 중심의 위계적 존재론과 사회진화론의 선형적 역사관에 기반한다. 여기에서 기후변화는 문제화되지 않고, 환경은 주변화되고 타자화된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차적으로 국가 중심의 문제해결 담론으로 기후·환경 문제에 접근한다. 그러나 이는 국가가 풀 수 없는 기후변화 범주에서 결국 한계에 부딪치고, 동시에 이를 정당화하는 수사(이 쬐끄만 나라에서 뭘하겠어, 중국을 봐)가 나타나며, 참여자들은 지구의 미래를 비관적으로 전망한다. 이 연구는 장기적인 지구적 한계를 인정하면서도 당장의 생존을 우선시할 수 밖에 없는 참여자들의 생존주의를 체념적 생존주의라 이름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생존주의 가치관은 전쟁·전후의 혼란과 빈곤이라는 삶의 경험에서, 국가의 생존지향적 발전주의 통치와 제도의 내재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 생존주의 가치관은 참여자들과 비슷한 가치관을 공유하는 태극기 집회, 보수 유튜브 등의 해석·학습공동체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생성되고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운 사건들을 기존의 해석 도식에 맞추는 동화차원에서 학습을 지속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기후·환경 커뮤니케이션 및 교육은 이러한 한국 사회·집단·개인의 요철을 고려하여 계획될 필요가 있다. 알면 행동할 것이라는 계몽적 교육은 유효할 확률이 낮다. 한국전쟁의 기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흐려지고 있으나, 분단 체제와 생존주의의 작동은 한국 사회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동화차원에서 성장주의 학습을 지속하는 것이 비단 참여자들뿐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와 교육의 모습은 아닌지를 물을 수 있다.
기후·환경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대응회의론 인식과 내러티브는 참여자들에게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 곳곳에서 상당히 보편적으로 관찰된다. 다른 집단과 다른 세대에서는 어떻게 대응회의가 형성되며 어떤 논리로 뒷받침되는가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추후에도 대응회의와 생존주의의 다양한 결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1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