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 and Their Active Coping Behaviors: The Mediating Role of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역할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수빈

Advisor
강상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신장애인차별 경험도움 요청 행위사회참여서비스정신재활시설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23. 2. 강상경.
Abstract
The human rights model, which has become the predominant perspective on people with serious mental illness (SMI), emphasizes the provision of services that address all areas related to the promotion of human rights. In addition, people with SMI are encouraged and supported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mental health policies, systems, and services. Since South Korea ratified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 in December 2008, it has had an obligation to create a recovery-oriented environment and person-centered, rights-based approach, however, Korea still lags far behind the standard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A number of barriers exist in our society that hinder the spread of the human rights model, and one of the most detrimental factors is stigma and discrimination. On the other hand, as the interest in the spread of the human rights model has grown in Korea, Mental Health Consumer Movements have formed to combat the intensification of stigma and discrimination, and to protect their deprived rights. As a response to this social change,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active coping behavior as a form of discrimination resistance.
Furthermore, the active coping behaviors of people with SMI are inevitably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also necessary to scrutinize how the social environment is structured to promote the active coping behaviors of people with SMI.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human rights model, it is crucial not only to provide services and interventions to empower people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to change the social structure that excludes people with SMI, and to establish a recovery-oriented infrastructure at the social level that supports the recovery of people with SMI. Henc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on help-seeking behaviors as an active coping mechanism an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lp-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people with SMI.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s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re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ived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1) Do people with SMI actively cope with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s? (2) Is 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help-seeking behavior mediated by the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3) Do the direct effect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help-seeking and the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the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differ,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ceived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Based on the data of 461 people with SMI who us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link between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SMI and their help-seeking behaviors was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aron and Kennys mediated regression technique and bootstrapping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elp-seeking, indicating that the more discrimination perceived,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help-seeking behaviors. Second, the mediator role of the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help-seeking was confirmed. Third,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were stronger in the group that highly perceived the adequacy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are discussed. First, it is essential to pay attention to individuals with SMI's resistance to discrimination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This efforts can be made by developing interventions to promote active coping behaviors in individuals with SMI against discrimination, such as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and active coping education. Second,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for individuals with SMI, including peer support services and cultural, art, leisure, and physical activities services, should be diversified. Third,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hich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providing social participation services within the Korean mental health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increased in number and distributed evenly throughout the count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uld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first limitation of the study is its cross-sectional natur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causal inferences. A second concern is that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since the data used in the study was a survey conducted on individuals with SMI using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equally apply to people with SMI who receive treatment at psychiatric hospitals or who live in the community without access to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s a third consideration, it must be noted that the variables were only measured using self-report methods, which can be subject to reporting bias or social desirability.
The previously addressed limitations provide a basis for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ith adjustments to measures and methodological rigor. First, sample representativeness needs to be increased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for various types of institutions, not limited to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econd,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incorporating objective measures and adopting operational definitions that can capture the broader context and deeper meaning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Third,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amount and scale of social participation service resources that actually exist in Korean society, such as the budget of the local government allocated for the service and the number of people employed in the service. Finally,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to confirm the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tive coping behaviors were strengthened as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ccumulated in people with SMI using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Considering the changing social trends, this can be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ing a more appropriate perspective for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Given the growing interest in deinstitutionalization internationally and numer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establish a recovery-oriented approach, the concepts and perspectives noted in this study are in step with the current trends. As such,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human rights model in current society.
본 연구는 인권모델에 입각하고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에 기반하여,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국내외적으로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주된 관점인 인권모델에 따르면, 정신장애인은 치료나 재활의 대상이 아닌 회복의 주체로 인식된다. 한편, 우리 사회에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저해하는 차별이 여전히 만연하다. 이러한 사회적 차별에 대항하기 위해 정신장애인들이 함께 연대하여 빼앗긴 권리를 되찾고자 목소리를 높이는 당사자 중심의 움직임이 실천현장에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학계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차별 저항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차별이라는 사회적 문제에 주체적으로 대응하는 정신장애인 당사자의 노력으로서 도움 요청 행위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나아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정신장애인의 자발적‧적극적 대처행동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참여서비스에 주목하여, 차별 경험과 도움 요청 행위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은 차별 경험에 대해 적극적 대처행동을 보이는가? 둘째,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매개하는가? 셋째,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가 매개하는 경로가 충분도 인식 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가?
본 연구에서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2020년에 수행한 「정신재활시설 운영·이용실태 및 이용자 인권실태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당 조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461명을 분석하였다. 먼저,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통제변수를 포함하여 OLS(Ordinary Least Squares) 추정방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적용하고,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SPSSPROCESS Macro model 59번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은 도움 요청 행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에 의해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도움 요청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은 매개되었다. 셋째,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의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바라보는 관점으로 인권모델이 타당하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Lazarus & Folkman(1984)의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을 적용하여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이 적극적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매개 역할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차별 경험에 대한 강점 관점의 연구로, 차별 저항의 양상을 포착하여 정신장애인의 적극성과 주체성에 대한 탐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들을 위한 차별 대처 교육을 실시하고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가이드를 배포하여, 정신장애인의 차별에 대한 적극적 대처행동을 촉진하여야 한다. 둘째, 동료지원 활동, 문화예술 활동 등을 비롯하여 정신장애인의 적극적 대처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참여서비스를 다양화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셋째, 사회참여서비스에 대한 정신장애인들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사회참여서비스의 구체적인 내용과 이용방법 등을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홍보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건강 관련 정책 형성 및 실행과정에 정신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여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정신건강서비스 및 정책 수립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국가에서는 당사자단체들의 움직임을 확대하기 위한 제도적 승인과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고, 당사자 중심의 차별시정 활동을 적극적으로 독려해야 한다. 셋째, 회복 지향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구축해야 하며, 우리나라 정신건강서비스 전달체계에서 회복 지향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는 기관인 정신재활시설을 전국에 균형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 변수 간 인과관계를 명확히 규명하는 것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둘째, 본 연구참여자들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관 유형별로 확률적 표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표본의 대표성을 높일 것을 제안한다. 셋째,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를 측정할 때 서비스 대상자의 개인적 인식을 조사하여, 사회참여서비스의 실제 충분도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 못하였다. 넷째, 연속형 변수로 조사된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를 조절변수로 투입할 때, 임의로 낮은 수준의 변수로 코딩하여 정보가 유실되었다. 다섯째, 차별 경험과 도움 요청 행위는 부수적 질문으로 조사되어 변수 간 내생성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여섯째, 본 연구에서는 차별 경험, 도움 요청 행위, 사회참여서비스 충분도의 질적인 측면까지는 고려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질적연구를 통해 해당 경험의 맥락과 의미를 더 폭넓게 포착하거나, 각 변수의 질적인 측면을 포괄할 수 있는 조작적 정의를 채택하여 보완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이 차별을 많이 경험할수록 적극적 대처행동을 더 많이 보인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는 기존의 연구 경향과는 상반된 결과이지만, 변화하고 있는 사회적 흐름을 고려할 때, 추후 한국 사회에 더욱 적합한 관점을 정립하기 위한 출발점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확증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8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