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기간 동안, 가족의 경제적 상황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mily Economic Situation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during COVID-19 : Examination of the Family Stress Mode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푸른솔

Advisor
유조안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아동 삶의 질경제적 상황경제적 압박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양육 스트레스가족 관계가족 스트레스 모델COVID-19Child Well-beingEconomic HardshipEconomic PressureParenting StressFamily RelationshipChild Subjective Well-beingFamily Stress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23. 2. 유조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family's economic difficulties have changed thil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difficult situation of COVID-19. Corona 19 has had a great impact on children's emotions by causing cracks in the daily life surrounding children along with socioeconomic problems at home(Jung et al., 2022). Regarding changes in child subjective well-being around the world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Gallup World Poll, UNICEF, and the UN Child Rights Commission also emphasized the need for accurate and in-depth measurement and alternatives for child subjective well-being.
As COVID-19 is prolonged, it was found that children experience the highest stress in terms of not being able to meet their peers. Stress, such as restrictions on going out due to fear of infection, increases children's depression and aggression, resulting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Choi & Kim, 2021).
In addition, the family's socio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directly and indirectly hit children (Blackwell, 2022). The COVID-19 situation maximized the instability of the labor market, causing a deepening of incom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of economic risks (Hyo-Sang Ahn and Jeong-Hee Seo, 2020), and as a result, the vulnerable group became more economically difficult and needed intensive support (Kim & Lee, 2020). Following government measures such as prohibition of private gatherings exceeding the standard number of people and restrictions on use of facilities to prevent infection and quarantine of COVID-19, the number of self-employed and service workers who have to close their businesses or take temporary leave has increased rapidly, resulting in serious financial difficulties for their families. It has come to an end (Son & Moon, 2021; In, 2020). In addition, childcare gaps due to school closures conflicts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self-isolation, and conflicts between couples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negatively affected family relationships, which increased parental stress. (Jin et al., 2020; Choi, 2020; Jung, 2021).
In the meantime, many preceding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children's problems should be comprehensively examined in terms of economic, educational, and emotional problems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hildren (Moon, 2000; Yoo, 2016; Lee & Park, 2011),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has looked at this in an integrated way since COVID-19. Mainly, many studies have looked at life satisfaction from a cognitive aspect, excluding emotional factors (Choi et al., 2021; Mohring et al., 2021), and only focused on economic difficulties according to poverty or income level (Noh, 2022; Jung et al., 2020).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child subjective well-being consist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long with life satisfaction (Diener et al., 1985; Diener et al., 1999; Garcia, 2011), an in-depth study It was judged that a study with an integrated and integrated analysis was necessary.
Therefore, the problem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During COVID-19, does the negative family economic situation negatively affect chil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During COVID-19, family economic pressures have a negative impact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Third, 'During COVID-19, do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mediate the impact of family economic pressures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parenting stress and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mediate the impact of family economic pressure during the COVID-19 period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 'Family Stress Model(Conger & Donnellan (2007) was used. By using this model, the degree to which economic circumstances affect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cognitive, and physical well-being through economic pressure, family interaction, family relationships, marital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practice can be checked. In this study, we tried to determine how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affected chil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pressure, parenting stress, and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a total of 1,351 case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data used the secondary data of "Study on the COVID-19 Pandemic and child subjective well-being" by Save the Children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Social Welfare Research Institute, which were surveyed from July 22, 2021 to August 20, 2021. , of which the children's data is related to ISCWeb's COVID-19 supplement, which studied children in about 20 countries.
In order to find out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average monthly income, whether or not the averag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decreased or increased after COVID-19, and whether or not parents' working hours decreased or increased were inpu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economic pressure that the family actually felt and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degree of material deprivation and how much parents were concerned about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were set as measurement variables, and then 'economic pressure' was used as a latent variable. The latent variables of child subjective well-being were measured through overall life satisfaction (OLS) and affect balance values, and then used as dependent variables. Parenting stress and family relationships were set as parameters. For parenting stress, the value measured by 11 questions of parenting stress was turned into a latent variable and inputted.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were confirmed with latent variables measured through the degree of family relationship that children think, the degree of relationship that parents think with their children, and the degree of marital relationship that parents think.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multiple mediating effect model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SEM) was used. First, SPSS 25.0 was used to verify normality and correlation analysis of major variables, and then AMOS 21.0 was us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path analysis. In order to confirm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hantom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rect negative effect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situation of the COVID-19 famil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rough economic pressure, parenting stress, and the degree of change in family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if the average monthly income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the average monthly income decreased or the working hours of parents decreased after COVID-19, this increased the economic pressure of the family during the COVID-19 period. Increased economic pressure did not have a direct negative effect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but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the degree of change in family relationship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n-depth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ressure and chil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COVID-19 situation, this study is based on 'Family Stress Model (Conger & Donnellan, 2007) and parenting stress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it was revealed that this model, which had been conducted onl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as sufficiently applicable even in disasters and crises such as a pandemic. Second, a structured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mai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and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ccurately identified using bootstrapping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s.
Next,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long-term policies and interventions such as emergency disaster support in the country so that economic changes during the COVID-19 do not lead to increased economic pressure. In addition, to ensure that family economic changes do not negatively affect child subjective well-being even after COVID-19, expansion of direct support measures such as subsidies for small business closure and individual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support policies, subsidies for reducing working hours, and work-life balance job incentives will be needed. In particular, more systematic and long-term support is needed beyond one-time support for economically vulnerable groups who are bound to suffer a lot in disaster situations. The current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s emergency welfare support policy should be expanded in the target and scope of support so that benefits can be received even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Second, direct support such as disaster subsidy is neended so that parents can alleviate concerns and anxiety about the family's economic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hild's family does not suffer from material deficiency and the family's economic pressure is reduced. A priority should be given to support methods that can reduce concerns about the material deprivation and economic situation of children's families.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child subjective well-being, measures to buffer parenting stress and deepening deterioration of family relationships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are needed (Lee, 2017; Kim & Song, 2020),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local children's centers and after-school care services, which are at the forefront of emergency care, and to impro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child care system. Fourth, the economic pressure of COVID-19 had a negative impact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due to increased parenting stress and deterioration in family relationships. Therefore, counseling programs and support for relieving parents' parenting stress and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are needed.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since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rather than a longitudinal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and identify the trajectory of child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comparative studies before COVID-19, during and after COVID-19. Seco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income change on child subjective well-being while controlling for income level. Therefore, addition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changes are temporary changes due to the collapse of family equilibrium or long-term changes due to reduced income or reduced working hours. Third, there is a limitation that,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marital relationship, the family composition was not considered by selecting children with adoptive parents and not considering various family compositions such as single-parent families and grandparents' families. According to research, during the COVID-19 period,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d a lot of problems with carelessness. Therefore, in follow-up studies, family composition should be varied and applied.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유일무이한 상황에서, 가족의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이 어떻게 변화했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코로나19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문제와 더불어 아동을 둘러싼 일상에 균열을 일으키며 아동의 정서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정익중 외, 2022). 코로나19 기간의 전 세계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의 변화에 대하여, 갤럽월드폴(Gallup World Poll)과 유니세프(UNICEF), UN 아동 인권 위원회(CRC)에서도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정확하고 심층적인 측정 및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Helliwell et al., 2022; Chandy et al., 2021; OHCHR, 2022).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아동들은 또래 친구를 만나지 못한다는 점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염 우려로 인한 외출 제한 등으로 가중된 스트레스는 아동의 우울과 공격성을 높여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으로도 이어졌다(최혜정·김형관, 2021). 또한 아동들은 코로나19 이후 긍정적 정서(예, 차분함, 편안함)보다는 부정적 정서(예, 지루함, 걱정스러움)를 더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Mitra, Waygood, & Fullan, 2021).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한 가족의 사회경제적 위기는 아동에게 직간접적인 타격을 가했다(Blackwell, 2022). 코로나19 상황은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을 극대화시켜 소득불균형의 심화와 경제적 위험의 양극화를 발생시켰으며(안효상·서정희, 2020), 이에 따라 취약계층은 경제적으로 더 어려워지며 집중적 지원이 필요하게 되었다(김태완·이주미, 2020). 코로나19의 방역 및 감염 예방을 위한 기준 인원 이상의 사적 모임 금지 및 시설 이용 제한 등의 정부 조치가 이어짐에 따라 폐업이나 일시적 휴직을 해야만 하는 자영업자, 서비스업 근로자가 급증하였으며, 이로 인한 아동의 가족은 심각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어야만 했다(손병돈·문혜진, 2021; 인현우, 2020). 또한, 휴교·휴원으로 인한 아동의 돌봄 공백과 사회적 거리두기 및 자가격리로 인한 아동과 부모의 갈등,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부부의 갈등은 가족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이는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가중했다(진미정 외, 2020; 최아라, 2020; 정은화, 2021).
그동안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아동의 문제는 아동을 둘러싼 환경에 있어 경제적 문제, 교육의 문제, 정서적 문제 등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아야 함이 강조되었지만(문선화, 2000; 유민상; 2016, 이보람·박혜준, 2011), 코로나19 이후 이를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살펴본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었다. 주로, 정서적 요소는 제외하고 인지적 측면에서 삶의 만족도를 살펴본 연구가 많았으며(Choi et al., 2021; Mohring et al., 2021), 빈곤이나 소득 수준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에 집중할 뿐이었다(노혜진, 2022; 정익중 외, 2020). 특히,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은 삶의 만족도와 더불어 긍정적, 부정적 정서로 구성된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Diener et al., 1985; Diener et al., 1999; Garcia, 2011), 이를 고려하여 심층적이고 통합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기간, 가족의 부정적인 경제적 상황은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둘째, 코로나19 기간, 가족의 경제적 상황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양육 스트레스가 매개하는가?, 셋째, 코로나19 기간, 가족의 경제적 상황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가족 간의 관계 변화가 매개하는가?
연구 문제에 따라 코로나19 기간의 가족의 경제적 압박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Subjective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 관계 변화가 이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Conger & Donnellan(2007)의 경제적 압박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 모델을 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상황이 경제적압박과 가족의 상호작용, 가족 관계, 부부 갈등, 양육 스트레스, 양육 행동 실천을 통해 아동의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신체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기간의 가족의 경제적 상황이 경제적 압박,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 간의 관계 변화의 매개효과를 통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10세 아동과 아동의 부모이고 총 1,351개 케이스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2021년 7월 22일부터 2021년 8월 20일까지 조사된 세이브더칠드런과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의 「코로나19 팬데믹과 아동 삶의 질에 관한 연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중 아동 자료는 약 20개국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한 ISCWeB의 코로나19 추가 조사(supplement)와 그 맥락을 같이한다.
코로나19 기간 동안의 가족의 경제적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월 평균 소득과 코로나19 이후 가구의 월 평균 소득 감소, 증가 여부 그리고 부모의 근로시간 감소, 증가 여부를 독립 변수로 투입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 기간에 가족이 실질적으로 느끼고 체감한 경제적 압박을 알아보기 위해, 물질적 결핍 정도와 부모가 가족의 경제 상황을 얼마나 걱정하는 지를 측정 변수로 설정한 후 경제적 압박 잠재 변수로 투입하였다.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 잠재 변수는 전반적 삶의 만족도(OLS)와 정서 균형(Affect Balance) 값을 통해 측정한 후, 종속변수로 투입하였다. 매개 변수로는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 간의 관계 악화 정도로 설정하였다. 양육 스트레스는 양육 스트레스 11문항으로 측정한 값을 잠재 변수화하여 투입하였고, 가족 간의 관계 악화 정도는 아동이 생각하는 가족 관계의 악화 정도와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와의 관계 악화 정도, 부모가 생각하는 부부간의 관계 악화 정도를 통해 측정한 뒤 잠재 변수로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SEM)의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먼저, SPSS 25.0을 이용하여 주요 변수의 정규성 검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한 후에 AMOS 21.0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 모형 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하여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코로나19 기간에 가족의 경제적 상황은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19 가족의 경제적 상황은 경제적 압박과 양육 스트레스, 가족 간의 관계 변화 정도를 통해 유의한 매개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코로나19 기간의 낮은 월평균 소득과 코로나19 이후 월평균 소득이 감소하거나 부모의 근로시간이 감소할 경우 이는 코로나19 기간의 가족의 경제적 압박을 높였다. 높아진 경제적 압박은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주지 못하였으며, 양육스트레스와 가족간의 관계 악화의 매개효과를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경제적 압박과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Conger & Donnellan(2007)의 경제적 압박에 따른 가족 스트레스 모델을 바탕으로 양육 스트레스와 가족 관계 변화의 다중매개모형을 이용하였고, 저소득층 아동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던 본 모형이 펜데믹과 같은 재난·위기 상황에서에서도 충분히 적용 가능 함을 밝혔다. 둘째,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 양육 스트레스, 가족 간의 관계 악화 등의 주요 변수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척도를 사용하고, 구조방정식의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매개효과 및 경로 계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기간의 경제적 변화가 경제적 압박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국가에서의 응급재난지원과 같은 장기적인 정책 수립 및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코로나19 이후에도 가족의 경제적 변화가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지자체의 폐업 소상공인 지원금과 개인회생 및 파산지원 정책, 근로 시간 단축 지원금, 워라밸 일자리 장려금과 같은 직접적인 지원책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특히, 재난 상황에서 피해를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경제적 취약 집단에 대해서는 일회성 지원을 넘어서서 더 체계화, 장기화된 지원이 필요하다. 현재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긴급복지지원 정책을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대상과 지원 범위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둘째,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부모가 가족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와 불안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재난지원금과 같은 직접적인 지원과 동시에 아동의 가족이 물질적 결핍을 겪지 않고, 가족의 경제적 압박을 낮출 방안이 필요하다.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아동의 가족의 물질적 결핍과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지원 방법을 우선순위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화한 가족 간의 관계 악화를 완충하는 방안이 필요하며(이상균, 2017; 김효진·송미령, 2020), 긴급 돌봄 최전선에 있는 지역아동센터와 방과후 돌봄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갖고(박기현, 용인신문, 2020) 아동 돌봄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 개선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코로나19의 경제적 압박은 양육 스트레스의 증가와 가족 간의 관계 악화로 인해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완화와 가족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상담프로그램 및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함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종단적 조사가 아닌 횡단적 조사이기에 코로나19 이전, 코로나 기간 동안, 코로나 이후 비교 연구를 통해 심층적인 분석 및 아동의 주관적 삶의 질의 궤적을 파악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소득수준을 통제한 상태에서 소득 변화가 아동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가 가족의 항상성(equilibrium)이 무너짐으로 인한 일시적인 변화인지, 소득 감소나 근로시간 감소 등으로 인한 장기적인 변화인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는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부부 관계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고자 하여 가족 구성을 양부모가 있는 아동을 골라서 한부모 가정, 조손 가정 등 다양한 가족 구성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코로나19 기간에 특히 한부모 가정에서 돌봄 공백에 대한 문제를 많이 겪었다고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가족 구성을 다양하게 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3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5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