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알코올중독자의 고통과 회복장치를 통한 삶의 전환 : Social Suffering of Alcoholics and Conversion of the Life through Restorative Dispositif
'익명의 알코올중독자들(AA)'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종훈

Advisor
추지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알코올중독익명의 알코올중독자들사회적 고통주체죽음자기점검자기돌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2023. 2. 추지현.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why and how alcoholics participate in a self-help group called Alcoholics Anonymous, how they can maintain sobriety, and how their life transforms through AA. How the addicts can recover the alcohol addiction at AA, not at the psychiatric hospital, despite the tendency that alcohol addiction is usually classified as a mental disorder?
This paper focuses on phenomena that almost every alcoholics joining AA already have failed to treat alcohol addiction at mental hospital prior to taking part in AA, what they are saying in AA is their suffering which they have experienced in their whole life, and they not just quit drinking but become to live qualitatively different life. For the study, I conducted both in-depth interview with the addicts attending AA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at AA meetings.
For the analysis, the study take viewpoints that what is important to recover an sickness is not only treatments based on medicine but suffering of patients which results from social structural injustice, penetrates their body, emotion, and social relationship and exists in biopsychosocial dimension and that modern governmentality of biopower operates on individual body via dispositifs embedded in the society.
Chapter II addresses various reasons why alcoholics participate in and continue to join in AA. The main reason is none other than to survive. Alcoholics were either physically and socially dying on the border of life and death, living incompatible days and nights, or being cut off, isolated from most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due to alcohol. They could have the will to survive only after being close to the death or find the other addicts who had similar drinking patterns at AA. Although some of them left AA meetings because they did not think themselves as alcoholics, they eventually returned to the meetings due to the suffering resulting from alcohol addiction and the sense of safety and connection at the AA meetings.
The illness narrative of alcoholics' suffering reveals that alcohol addiction is not a personal event due to the pursuit of pleasure or failure of will, but a social suffering in which drinking as a response to healing suffering driven by trauma and structural injustice pushes their bodies to death, resulting in moral divde and disconnection of social relationship. The suffering can only be understood by capturing the experience of the body and emotions that have had to fully bear the suffering, and cannot be reduced neither to an individual's medical problems nor entirely structural problems.
Chapter III analyzes how AA functions as a recovery dispositif and what practices alcoholics perform at AA meetings. AA is characterized by the openness of meetings and the autonomy of participating in meetings, while relatively exclusive to others so that alcoholics can concentrate on recovery only within AA. Alcoholics can maintain sobriety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AA everyday, the experience of being welcomed and reward provided by the meeting, and the awareness they have by recalling and talking about alcohol everyday.
The key to recovery lies in redefining and reinterpreting suffering. As discussed in Chapter II, the suffering that have made alcoholics drink alcohol is redefined as "unchangeable," and the remaining suffering of reality is appropriated as the process of recovery. Furthermore, they reinterpret the behaviors they committed after drinking alcohol, the fact they drank, and the suffering they suffered from not accepting what was unchangeable as their "wrong" and actively discover their wrongs by looking back on their lives. They share, reflect, and compensate for this reinterpreted suffering with other alcoholics.
Chapter IV deals with the alcoholics who continue to join in the AA meeting even though they quit drinking by reinterpreting the suffering of the past on the perspective of the effect of dispositif. They are continuously regulating their bodies and emotions to live their daily lives. In addition, they know that structural injustice lies in the cause of their suffering, but they accept it as an unchangeable reality rather than resist. At first glance, AA seems to make the addicts docile body to adapt to reality.
However, by discovering the cause of alcohol addiction and suffering in their lives and sharpening their inner strength, they perform the care of the self by bypassing or resolutely accepting such normative demands rather than drinking again and falling into the death due to the suffering of reality. This care of the self is not only the result of self-regulation, but also can be carried out by going to AA meetings to talk about what they regulated, sharing them with other alcoholics, and caring for each other. From the case that an addict can fail to regulate oneself and experience a relapse of addiction when there's no mutual care, it can be seen that AA creates a strong body through the care of the self which actually is based on the mutual care.
Noting that alcoholics quit drinking and lead a new life by actively talking about their own suffering at AA meetings, this study reveals that alcohol addiction is another social suffering experienced in responding to life's social suffering, and the addicts reinforce their body and mind that have had to endure it in suffering-based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study also emphasizes the value of 'social subject' based on mutual care as recovery in AA is to interpret alcohol addiction as a social suffering in one's inner mind and life and not to find the cause of the problem in external condition or others. In addition, this process cannot be reduced to the individualization of suffering but premise the mutual care based on alcoholics who share homogeneous suffering.
이 논문은 알코올중독자들이 왜, 그리고 어떻게익명의 알코올중독자들(AA)이라는 자조모임에 나와 알코올중독을 회복하고 단주(斷酒)를 지속할 수 있는지, AA를 거쳐 이들의 삶은 어떠한 양태로 변화하는지 분석한다. 현대사회에서 알코올중독은 정신장애로 분류되며, 정신병원 입원과 약물처방을 기반으로 치료되는데, AA 모임에 다니는 알코올중독자들은 어떻게 의료기관이 아닌 자조모임에서 회복할 수 있는 것인가?
이 논문에서는 (1) AA 모임에 다니는 알코올중독자들 중 대부분이 정신병원 입원을 먼저 경험했지만 병원에서의 알코올중독 치료에 실패했다는 점과, (2) AA 모임에서 알코올중독자들이 말하고 있는 것은 자신들이 겪어온 삶의 고통이라는 점, (3) AA 모임에 다니는 알코올중독자들은 단지 술을 끊었을 뿐만 아니라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연구를 위해 AA 모임에 다니는 알코올중독자들과 심층면접 및 AA 모임에서의 참여관찰을 병행했다.
분석을 위해, 병의 회복에 있어 중요한 것은 단지 의과학적 치료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삶 속에서 병으로 인해 총체적으로 경험되는 고통이라는 관점, 이러한 고통은 사회구조적 부정의에 의한 것인 동시에 개인의 몸, 감정, 사회적 관계를 관통하며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차원에서 경험된다는 관점과, 근대 생명권력의 통치는 사회의 각 영역에서 배태된 장치들을 통해 개별 신체 위에서 자유롭게 작동하며 언제나 특정한 주체를 생산해낸다는 관점에 착안하였다.
II장에서는 알코올중독자들이 어떤 계기로 AA 모임에 참여하고 모임생활을 지속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다루었다. 알코올중독자들이 모임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다름 아닌 살기 위해서였다. 알코올중독자들은 술로 인해 삶과 죽음의 경계 위에 놓이거나, 상충하는 낮과 밤을 살거나, 대부분의 사회적 관계로부터 단절, 고립된 채 신체적으로, 사회적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알코올중독자들은 죽음에 가까워지는 감각으로부터 생존을 향한 욕망을 가지게 되거나, AA 모임에 나가 자신이 겪었던 것과 비슷한 고통을, 자신과 비슷한 사람을 발견함으로써 삶에 대한 의지를 발현할 수 있었다. 이들 중 일부는 오히려 다른 알코올중독자를 통해 자신은 알코올중독자가 아니라고 생각하며 모임을 떠났지만, 결국 술로 인한 고통과 AA 모임에서 경험한 안전, 연결의 감각을 토대로 모임에 복귀했다.
알코올중독의 고통을 중심으로 발화된 질병 경험은 알코올중독이 쾌락의 추구나 의지의 실패로 인한 개인적 사건이 아니라, 트라우마, 구조적 부정의 등으로 인해 추동된 고통을 치유하기 위한 대응으로서의 음주가 이들의 몸을 죽음으로 내몰고, 도덕적 분열과 관계의 단절을 낳은 사회적 고통임을 드러낸다. 알코올중독의 고통은 단지 개인의 의학적 문제나, 혹은 그 반대로 온전히 구조적인 문제로 환원될 수 없으며, 그 고통을 온전히 담지해야만 했던 몸과 감정의 경험을 포착함으로써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III장에서는 AA가 회복장치로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알코올중독자들이 AA 모임에 나가 어떤 실천들을 수행하는지 분석하였다. AA는 모임의 개방성, 모임 참여의 자율성을 특징으로 하는 동시에 외부 집단과는 일정한 거리를 형성함으로써 알코올중독자들이 AA 내부에서의 회복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매일 반복하는 모임 참석, 모임이 제공하는 환영과 보상의 경험, 술로 인한 고통을 상기하고 말함으로써 지니게 되는 경각심을 바탕으로 모임참여와 단주를 지속했다.
회복의 핵심은 고통을 재정의하고 재해석하는 데 있었다. II장에서 다루었던, 알코올중독자들이 술을 마실 수밖에 없던 고통은 어쩔 수 없는 것으로 재정의되었으며, 잔존하는 현실의 고통은 회복의 과정으로 전유되었다. 나아가, 이들은 술을 마시고 저질렀던 행위, 술을 마셨던 행위, 어쩔 수 없는 것을 받아들이지 못해 겪었던 고통을 그들의 잘못으로 재해석했으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치부를 적극적으로 발굴해나갔다. 그들은 이렇게 잘못으로 재해석된 고통을 다른 알코올중독자들과 공유하고, 반성하며, 보상했다.
IV장에서는 알코올중독자들이 과거의 고통을 재해석함으로써 술을 끊어냈음에도 AA 모임 생활을 지속하는 것을 회복장치로서 AA의 효과라는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들은 단주를 통해 복구한 일상을 살아가기 위해 자신의 몸과 감정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있었다. 또한, 자신이 겪는 고통의 원인에 구조적 부정의가 놓여있음을 알고 있었으나, 그에 저항하기보다는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였다. 이는 일견 AA가 알코올중독자들을 현실에 순응하는 유순한 몸으로 만들어내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알코올중독의 원인과 그로 인한 고통을 자신의 삶 속에서 발견해내고 내면의 강인함을 벼림으로써, 자신을 둘러싼 일상의 규범이 빚어내는 고통으로 인해 다시 술을 마시고 죽음의 늪으로 빠지기보다 그러한 규범적 요구를 빗겨가거나 의연하게 받아냄으로써 자기돌봄을 수행했다. 이러한 자기돌봄은 비단 자기점검의 결과였을 뿐만 아니라, 점검의 내용을 AA 모임에 나가 이야기하고, 다른 알코올중독자들과 공유하며 서로를 돌봄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것이었다. 상호돌봄이 없다면 자기돌봄마저도 실패함으로써 중독의 재발을 경험할 수도 있다는 사례로부터, 알코올중독자들은 AA 모임에 다니며 상호돌봄에 기반한 자기돌봄을 수행함으로써 강인한 몸이 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알코올중독자들이 AA 모임에 나가 자신의 고통을 적극적으로 발화함으로써 술을 끊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는 점에 주목함으로써, 알코올중독은 삶의 사회적 고통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경험된 또다른 사회적 고통이었음을 드러냄과 동시에, 고통을 감내해야 했던 몸과 마음을 강인하게 다져냄으로써 회복해나가는 과정을 보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AA에서의 회복은 사회적 고통으로서의 알코올중독을 자신의 내면과 살아온 삶 속에서 해석하는 것, 문제의 원인을 자신의 외부 조건이나 타자에게서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서 찾는 과정인데, 이 과정은 고통의 개인화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동질적인 고통을 공유하는 알코올중독자들에게 전유됨으로써 상호돌봄을 전제하기에, 이는 고통의 상호돌봄에 기반한 사회적 주체의 가치를 역설하는 것이기도 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3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4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