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계보적 조상에서 집합적 조상으로 : From Genealogical Ancestors To Collective Ancestors
전라남도 진도의 조상의례와 친족조직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도정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죽음조상친족의례족계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3. 2. 강정원.
Abstract
This article reconsiders the meaning of ancestors by tracing the historical changes associated with ancestral concepts and practices, centering on the Confucian folk culture in Jindo, Jeollanam-do, South Korea. In general, it is known that both ancestral rituals and kinship organizations in modern Korea are weakening. The situation stems from social factors such as weakening lineage solidarity and Yangban status claims. However, this article suggests that a change in the meaning of ancestors, which are the central symbol of ancestor rituals and also the anchorage point for kin relations, was not noted. This study is about the Confucian folk culture that was contextualized in Jindo, during and after the Chosun Dynasty. The article shows that all ancestors who maintain individuality and are genealogically connected became objects of rituals in approximately the 20th century, and genealogical ancestors becomes collective ancestors amid the rapid changes since the 1980s in Korea.
To study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ancestors, this study focused on changes in ancestral rituals and kinship organizations. First, with regard to ancestral rituals, it was assumed that ancestors were always distinct from others who died and did not become an ancestor. Therefore, in this paper, instead of ancestral rituals, the ritual order of death is presented. Through this, a series of rituals related to the handling of the dead and adjus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ead are comprehensively examined. In the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with regard to ancestors, several rituals that were intented to change the deceased into ancestors were examined. Concerning the dead who did not become ancestors, rituals to change the dead to the hypothetical ancestors, called a memorial ritual of no person in charge, or to defeat the dangers of the dead, were examined. The memorial ritual of no person in charge differs with respect to three factors: paternal male relatives without offspring, paternal and maternal aunts, and the dead without any blood relationship.
Regarding kinship organiz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Jokgye (族契, sub-lineage organization) rather than Jongjung (宗中, lineage organization). Jokgye organized for Sije (時祭) was not an extension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Jokgye bound certain ancestors and certain offspring, thus creating a specific ancestor-offspring relationship. Even within the vertical genealogy of paternal ancestors, Jokgye could be newly created if the central ancestor was changed. As a result, a multi-layered kinship organization emerged in this region from the 19th century onwards. Yangbanization was the central change making this possible, referring to how everyone after the late Chosun Dynasty wanted to be recognized as a Yangban upon their internalization of the Yangban lifestyle. The process of elevating the rank of their ancestors from 1804 to 1905 was the process of Yangbanization, creating Jongjung of the Jindo Milyang Park Lineage. This experience of success also existed as the basis of vigorous kinship organization activities even after the 20th century.
After the late 20th century, this ritual order of death changed significantly. First, those who had died and who did not become ancestors disappeared around the village, and only the ancestors remained. In modern Korean cities, this was portrayed as driving all deaths out of the city. Therefore, the tombs were built outside the city. However, modern rural villages have also pushed the tombs of the dead who did not become ancestors out of the village, leaving only the places of their ancestors. In villages, the ancestors also underwent changes that can be considered as collective reorganization. In this paper, these chang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is the integration of Sijes. This has become apparent through changes since the 1980s. The souls of ancestors are gathered in one shrine (祠宇) and their Sijes are held together. And those who have just died are also accepted as ancestors of that shrine. The second type is the integration of burials. Since the 2000s, as cremation and charnel houses have become more commonplace, the bodies of ancestors have been gathered in one place. The third category includes a new change that combines shrines and the tombs of ancestors.
The ritual order of death has also changed with regard to ancestors. Sangrye (喪禮) became a funeral (葬禮) as the Sangbang (喪房) and Talsang (脫喪) traditions disappeared. After completing the funeral, the dead are immediately changed and become ancestors of Sije, with Gije (忌祭) becoming optional. Moreover, even if the status of ancestor was obtained through a funeral, ancestors were differentiated into ancestors who were subject to rituals and ancestors who were not. Therefore, the residents of Jindo had to put in extra effort to become ancestors who were subject to memorial rituals.
This was a long-term process during which the meaning of ancestors changed. During the 20th century, all paternal ancestors in Jindo became objects of ancestral rituals while maintaining their individuality. The order centered on genealogical ancestors as presented in this study was completed at this time. However, with the integration of Sije in the 1980s, ancestors that were gathered in one place became common ancestors and received Sije together. In addition, around 2020, Sije changed, leaving only the representative ancestors of all ancestors in the shrine. In other words, in Sije, ancestors lost individuality and changed into collective beings. This shows that the way of existence of ancestors is changing.
There are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residents of Jindo, who are positioned in the middle of ancestor-offspring relationship.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descendants considering their ancestors, the creation of collective ancestors attempts to connect with Confucian culture and reveals that their families are descendants of Yangban.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descendants located in Jindo, the creation of collective ancestors is a type of preparation for their own death. They hope that they will be incorporated into the traditional order by preparing the place where they will die and be buried and the place to receive ancestral rituals as ancestors. Third, from the perspective to descendants outside of Jindo, the creation of the collective ancestor extends to creating a place in Jindo for descendants living outside of Jindo to become ancestors as well. In this way, the residents of Jindo are creating hope that their descendants who are scattered around the country will become ancestors together in their hometown after they die.
Gathering the bodies and souls of ancestors to one location in Jindo and changing ancestors from genealogical ancestors to collective ancestors is the process of preparing a new means of supporting ancestral rituals, which are weakening in modern Korean society. It is also a process of rearranging a multi-layered kinship organization that can no longer be maintained around a specific Jokgye. Furthermore, by preparing a place in Jindo where they can be together as ancestors after death, the kinship of Jindo is gradually changing into a community of people who will return to Jindo as ancestors. This imagination is the hypothesis and hope of the remaining residents of Jindo. In this imagery, Jindo does not represent the outflow of the population and the periphery of Korea, but instead represents the center where they will become ancestors together. Residents of Jindo are attempting a symbolic reversal through this type of imagery.
이 논문은 유교민속을 중심으로 한국의 한 지역사회인 전라남도 진도에서 조상에 대한 관념과 실천이 역사적으로 변화한 양상을 추적하여 조상의 의미를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현대 한국의 조상의례와 친족조직이 모두 약화되고 있으며 그 이유로 종족의식과 신분주장의 약화와 같은 사회적 요인이 지목되었지만, 조상의례의 중심 상징이자 친족 관계의 정박점이기도 한 조상의 의미 변화는 주목되지 않았다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의 유교문화가 진도에 맥락화된 유교민속을 대상으로 한다. 이 글에서는 개별성을 유지하며 계보적으로 연결된 모든 조상이 20세기 전후로 의례의 대상이 되었음을 밝히고, 나아가 1980년대 이후 급격한 변화 속에서 집합적인 조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조상의 의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조상의례와 친족조직의 변화에 주목했다. 우선 조상의례에 있어서 조상은 조상이 되지 못한 망자와의 구별 위에 자리한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상의례의 개념을 대신하여 죽음의 의례질서(ritual order)를 제시하고, 망자를 처리하고 망자와의 관계를 조정하는 일련의 의례를 포괄하여 살폈다. 즉, 조상의 영역에서 상례-기제사-시제를 거치며 망자가 조상으로 변화하는 순차적 과정을 살피고, 조상이 되지 못한 망자의 영역에서는 이러한 망자를 조상화하는 임자 없는 제사가 이뤄지고, 조상이 되지 못한 망자의 위협을 처리하는 거리제가 19~20세기에 걸쳐 마을의 의례로 정착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임자 없는 제사는 자손이 없는 부계의 남성 친족, 고모와 이모, 아무런 혈연관계없는 망자의 세 영역에서 다르게 나타났으며, 기제사가 공통적으로 활용된 것과 달리 상례와 시제는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되었다.
친족 조직의 차원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종법질서와 관련하여 주목해온 종중(宗中)보다는, 상대적으로 부차적으로 다뤄진 족계(族契)의 확산과 변화에 주목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적 친족(analogic kinship)의 개념을 통하여 특정 조상의 시제를 위해 형성되는 족계가 부모-자식 관계의 연장이 아니라 특정한 조상과 특정한 자손들을 묶는 조상-자손 관계를 창출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족계의 결성에 있어서는 수직적 계보 내에서도 조상이 달라지면 족계 또한 새로 창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하며, 그 결과로 진도에서 19세기 이후 중층적인 족계가 나타났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가능케 만든 외연에는 양반화, 즉 조선후기 모두가 양반의 생활양식을 내면화하며 양반으로 인정받고자 했던 변화가 자리하고 있었다. 1804년부터 1905년까지 이어진 중시조 박심문의 추증 과정은 진도 밀양박씨의 양반화 과정이었으며, 진도 밀양박씨 종중의 창출 과정이었고, 그 성공의 경험은 20세기 이후 현재까지도 활발한 족계 활동의 외연으로 존재했다.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질서는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1980년대를 기점으로 많은 부분이 변화했다. 먼저 죽음의 의례질서에 있어서는 조상이 되지 못한 망자의 영역이 마을 주변에서 사라지고 조상만이 남는 변화가 생겼다. 현대 한국 도시의 변화가 모든 죽음을 도시 밖으로 몰아내는 것으로 그려졌다면, 현대 농촌 마을의 변화는 조상의 장소만을 남기고 조상이 되지 못한 망자가 마을 밖으로 밀려나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조상만이 남은 마을에서 조상 역시 집합적 재편으로 볼 수 있는 변화를 겪었다. 이는 크게 세 가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로 1980년대 이후 조상의 위패를 한 곳으로 모아 시제를 올리고, 이후에 죽은 사람도 추가적인 배향을 가능토록 하면서 생긴 시제를 공동화하는 변화였다. 둘째로 2000년대 전후로 화장(火葬)과 봉안당이 일반화되면서 조상의 몸을 한 곳으로 모으는 선산의 공동화가 이뤄졌다. 셋째로 201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봉안당과 평지장 조성의 경험을 사우에 반영하여 비단(碑壇)을 만들거나, 사우와 선산을 합치는 새로운 장소를 창출하였다.
동시에 죽음의 의례질서 전반이 변화했다. 상례는 상방과 탈상의 전통이 소멸하면서 의례적으로 축소된 장례로 변화했다. 또한, 장례를 거친 망자가 바로 시제의 조상이 될 수 있게 변하면서 기제사는 선택적인 것으로 변화했다. 동시에 장례를 거쳐 조상의 기본적인 지위를 얻더라도 제사받는 조상과 제사받지 못하는 조상의 내적 분화가 확장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에 진도의 주민들은 제사받는 조상이 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이것은 조상의 의미가 변화하는 장기적인 과정이었다. 20세기를 전후하여 진도에서는 중시조로부터 입향조, 입향조로부터 입촌조, 입촌조로부터 개별 자손에 이르는 모든 조상이 개별성을 유지한 채로 조상의례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보적 조상이 중심이 된 의례질서는 이때 완성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시제가 공동화되면서 한 곳에 모인 조상들은 공동의 조상이 되어 사우에서 함께 시제를 받게 되었다. 나아가 2020년을 전후로 하여 시제에서 모든 조상을 호명하고 그들 각각에게 술잔을 올리는 것이 아니라 중심 조상만을 남아 배향된 모든 조상을 의례적으로 대표하게 되었다. 즉 시제에서 조상은 개별성을 상실하고 집합적인 존재로 변화하게 된 것이다. 이는 조상의 존재 방식 자체가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조상의 의미 변화에는 조상-자손 관계의 중간적 위치에 놓인 현재 진도 주민들이 갖는 세 층위의 다른 시각이 담겨 있다. 먼저 조상을 바라보는 후손의 입장에서, 집합적 조상의 창출은 유교문화와의 연결을 시도하고 자기 집안이 양반의 후예임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양반화의 연장이다. 다음으로, 진도에 자리한 자손의 입장에서 집합적 조상의 창출은 곧 자신의 죽음을 대비하는 차원이다. 이는 자신이 죽어서 묻힐 자리와 조상이 되어 제사받을 자리를 자기 손으로 준비하여 자손들의 부담을 줄이고 전통적인 질서 안에 편입되기를 바라는 차원이다. 마지막으로 진도 밖의 자손에 대한 입장으로, 집합적 조상의 창출은 자손들과 조상이 되어 함께할 자리를 마련하는 것까지 확장된다. 이를 통해 진도의 주민들은 살아서는 전국에 흩어져 살아도 죽어서는 고향인 진도에서 함께 조상이 될 희망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조상의 몸과 영혼을 진도의 한 장소로 모으고, 조상이 계보적 조상에서 집합적 조상으로 변화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약화되는 조상의례를 지탱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또한, 더 이상 유지될 수 없는 중층적인 친족 조직을 특정한 족계를 중심으로 재조정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나아가 죽어서 조상으로 함께할 장소를 진도에 마련하는 것을 통해 진도의 친족은 함께 조상이 되어 진도로 돌아올 사람들의 공동체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조상이 되어 진도에 함께 자리할 것에 대한 상상은 진도에 남은 주민들의 가정이자 희망이다. 그들은 이 상상을 통해 진도를 인구의 유출지이자 한국의 주변부가 아닌 흩어진 자손들이 조상이 되어 함께할 중심인 고향으로 자리매김하는, 상징적인 역전을 시도하는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1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