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 레즈비언의 부치 경험과 해석 : Young Lesbians' 'Butch'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우인

Advisor
김수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부치레즈비언레즈비언 하위문화래디컬 페미니즘탈코 르셋청년 레즈비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2023. 2. 김수아.
Abstract
Since 2015, through the period of so-called 'feminism reboot', feminism has become widespread as a value that young women take meaning into account of their lives. However, apart from the effect of increasing interest in feminism, it also had the effect of recalling old debates. As young women summoned radical feminism as a theoretical basis for analyzing gender discrimination, disputes that have been constantly repeated in history also appeared from the surface. The main issue of these debates was the issue of the subject of 'essential women'. This led to the emergence of TERF in the mainstream feminist discourse,
which also led to changes in queer politics. In addition, specifically, the debate on the 'Butch-fem' relationship, an old debate of lesbian subculture, has emerged as an issue. Nevertheless, domestic research on lesbian subculture was absolutely insufficient. As for the claim that the "Butch-fem" relationship, which has been summoned once again, is anti-feminist, this study seeks to question and uncover old misunderstandings about
butch.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real butches and interpreted them by looking into the current practice of young butches.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ir experience and practices.
First of all, this study looked at the history of the subculture surrounding Butch and Femme. It wa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term "Butch" was invented in the American lesbian subculture and how it came to be used in Korea.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Butch was discovered by reviewing the theory of women's
masculinity.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on Korean lesbian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identity that revealed the masculinity of a lesbian called "Baji-si" even before the term "Buch" was widely
used in Korea. Korea's lesbian community was formed around the "Bajsi-Chimsi," which appeared similar to the Western "Butch-Femme" relationship, which spread through the development of PC communication and online gatherings. However, SNS is currently the center of the formation of a lesbian community and has
been a space where various debates are underway. Focusing on this online space, "young people who declare to be lesbians" have appeared in the lesbian community through various codes of conduct derived from the "Escape-the-corset movement" since 2015.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omen in the narrow definition and lesbian in the narrow sense as well, and insisted on preserving their purity. As they build up their argument, they rejected the existence of queers, which led to tension in the affect of hatred. Therefore, this study looked into these tensions and re-examined the butch subject of exclusion. Furthermore, in this phenomenon, it looked at what experiences the butches were having and how they were practicing their butchness. As a result of interpreting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production of a butch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ima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stereotyped butches and today's butch was weak, and it was confirmed that new butch aspects were emerging. They were reproducing the masculinity which they wanted to express, and were recognized as "butch" through it.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Butch was the 'giving' feature. They were practicing their butchness in an attitude toward the other woman. On the other hand, feminism reboot also contributed to the subdivision and change of Butch's terms. The main reason why the existing "Wangbuchi" turned into a protruding existence called
"Hannambuchi" was the "mirroring" that appeared through feminist reboots. Feminist reboots were affecting the butch category, but this was rather a feminist purification. In addition, Butch had several functions within the lesbian subculture. Butch provided a way of life and a framework of perception, providing a foundation for neglected beings to recognize themselves, which was largely done through naming, calling, and
response. In addition, butch was already acting as a category that crossed biological boundaries. Therefore, the so-called 'lesbian who escaped from the corset' and Butch could never be considered as the same category. As such, the discourse surrounding Butch was expanding through violations of norms, and now Butch were cracking the existing image of traditional masculinity and Butch. They do not necessarily desire a
femme, but rather violate the schematic of the Butch-Femme relationship. In addition, rather than parodying men, the Butch category was functioning as a humor that twisted hegemony masculinity and provided resilience to lesbian subculture. In conclusion, Butch was functioning as a category that encompassed beings standing at the boundary beyond 'biological women'. Those who need the Butch category still exist, and it was constantly changing, unlike the stereotype.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firms that butch is still a significant category in Korean lesbian subculture
2015년도 이후 일명 페미니즘 리부트의 시기를 거치면서 페미니즘은 청년 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의미화하는 가치로써 널리 퍼지게 되었다. 그러나 페미니즘에 대한 절대적인 관심이 증가한 효과와는 별개로 이는 오래된 논쟁들을 재소환하는 효과를 낳기도 하였다. 청년 여성들이 성차별을 분석하는 이론적 토대로 급진주의 페미니즘을 소환하면서 본질적 여성이라는 주제가 다시 등장한 것이다. 이로 인해 TERF(Trans-Exclusionary Radical Feminist, 트랜스 배제적 래디컬 페미니즘)가 페미니즘 담론에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 레즈비언 하위문화의 오래 된 논쟁인 부치-펨 관계에 관한 논쟁도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레즈비언 하위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던 것이 그 실정이다. 이에 다시 소환된 부치-펨 관계가 반페미니즘적이라는 주장에 대해 본 연구는 의문을 제기하고 부치에 관한 오래된 오해를 파헤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재하는 부치들의 경험을 살펴보고, 현재 청년 부치들의 실천을 들여다보며 이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청년 레즈비언들이 경험하는 부치와 이들의 실천에 대해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부치와 펨을 둘러싼 하위문화가 생겨난 역사를 살펴보았다. 부치라는 용어가 미국의 레즈비언 하위문화에서 발생한 양상을 살펴보고, 이것이 어떻게 한국에서 쓰이게 되었는지 알아보았다.또한 여성의 남성성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여 남자 없는 남성성을 상상하게 하는 부치의 의의를 발견하였다. 한국 레즈비언 문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본 결과 한국에는 부치라는 용어가 자리 잡기 이전에도 바지씨라는 레즈비언의 남성성을 드러내는 정체성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의 레즈비언 공동체는 서구의 부치-펨 관계와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 바지씨-치마씨를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이것이 PC통신과 온라인 모임의 발달을 통해 퍼져나갔다. 그러나 현재는 SNS가 레즈비언 공동체 형성의 중심이며, 다양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는 공간이
었다. 이러한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2015년도 이후 탈코르셋 운동에서 파생된 다양한 행동강령들을 통해 레즈비언 공동체에는 레즈비언이 되기를 선언하는 청년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좁은 의미의 여성, 그리고 좁은 의미의 레즈비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순수성을 보존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을 펼치며 그들은 레즈비언을 제외한 퀴어 존재를 배척하였는데, 이를 통한 혐오의 정동 속에서 긴장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이러한 긴장 관계를 들여다보고 배척의 대상이 된 부치를 재조명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현상 속에서 부치들은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부치니스를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해석한 결과, 부치의 재현은 전통적인 이미지와는 확연히 달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적인 스테레오 타입의 부치와 오늘날 부치의 연결고리는 약했으며, 새로운 부치 양상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남성성을 재현하고 있었고, 거꾸로 이를 통해 부치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부치의 특징 중 가장 핵심이 되는 특징은 바로 주는 특징이었다. 이들은 상대 여성을 대하는 태도로 자신의 부치니스를 실천하고
있었다. 한편 페미니즘 리부트는 부치의 용어의 세분화와 변화에도 기여하였다. 기존의 왕부치가 한남부치라는 돌출된 존재로 변한 데에는 페미니즘 리부트를 통해 등장한 미러링이 주요 원인이었다. 페미니즘 리부트는 부치 범주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이는 오히려 페미니즘적인 정화작용을 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부치는 레즈비언 하위문화 안에서 여러 기능을 하고 있었다. 부치는 삶의 양식과 인식틀을 제공하여 변주되는 존재들이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있었는데, 이는 크게 명명, 호명, 반응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부치는 이미 생물학적 경계를 넘나드는 범주로 작용하고 있었다. 그렇기에 탈코르셋을 한 레즈비언, 이른바 탈코비언과 부치는 결코 동일한 범주가 될 수 없었다. 이렇듯 부치를 둘러싼 담론은 규범의 위반을 통해서 확장되고 있었는데, 현재 부치들은 기존의 전통적인 남성성과 부치의 이미지에 균열을 내고 있었다. 그들은 반드시 펨을 욕망하지는 않으면서 부치-펨 관계의 도식을 위반한다. 또한 남자를 패러디하기 보
다는 오히려 헤게모니 남성성을 비틀며 레즈비언 하위문화에 탄력성을 제공하는 유머로 기능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치는 생물학적 여성을 넘어 그 경계에 서 있는 존재를 포괄하는 범주로 기능하고 있었다. 부치라는 범주가 필요한 이들은 여전히 분명 존재하며, 이는 스테레오 타입과는 다르게 끊임없이 변주되고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치는 여전히 한국
레즈비언 하위문화에서 여전히 유의미한 범주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0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