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Korean dual-earner's synchronization of housework and childcare :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 시간 동기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중

Advisor
진미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부부의 시간사용동기화가사노동자녀돌봄부부 쌍 데이터기분 상태couples' time usedual-earner couplessynchronizationhouseworkchildcaredyadic datadomestic domaindaily emotional experience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2. 진미정.
Abstract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의 동기화 시간에 대해 살펴보고, 동기화 시간이 남편과 아내가 인지한 시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은 통계청에서 조사한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사용하였고, 20세 이상 59세 미만 부부 중 첫째 자녀 연령이 10세 미만인 전일제 맞벌이 부부 250쌍을 선정하였다. 남편 250명, 아내 250명으로 총 500명의 2일치 생활시간조사일지를 사용하여 분석에는 총 1,000개의 일지를 사용하였다.
우선 남편과 아내의 가사노동과 자녀돌봄 시간의 총양을 각각 살펴보았고, 그 다음 남편과 아내가 각각 인식한 동기화 시간을 살펴보았으며, 남편과 아내가 인식한 동기화 시간이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 행동이 언제 수행되었는지와 관련된 행위별 시간대 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의 동기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의 동기화 시간이 남편과 아내가 각각 인지한 시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1) 동기화를 하지 않는 부부; 2) 동기화 시간이 평균 이하인 부부; 3) 동기화 시간이 평균 이상인 부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시간의 질은 가사분담만족도와 기분상태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 부부도 여전히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시간을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에 할애하고, 남편이 유급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의 동기화 시간은 아내가 남편보다 조금 더 많다고 보고를 하였는데, 이는 아내가 수행하는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의 총량이 남편보다 많은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시간은 주중에는 주로 저녁 때 분포되어 있는데, 이는 낮 시간 동안에는 유급노동에 종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동기화 시간 또한 주중에는 저녁 시간 대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 남편과 아내 모두 주말에는 주중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가사노동은 주말에 오전부터 저녁에 걸쳐 고르게 분산되어 있었고, 자녀돌봄은 낮 시간대보다는 오전 시간대와 저녁시간대에 집중되어 있었다. 보통 주중보다 주말에 동기화 시간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주말에는 가사노동이 자녀돌봄보다 동기화 시간이 조금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기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살펴 본 결과, 남편과 아내가 가사노동 또는 자녀돌봄에 참여하는 시간이 증가하면 동기화 시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의 동기화시간과 남편과 아내의 하루의 정서경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동기화 시간과 하루의 정서경험의 관계는 1) 동기화 시간이 없는 집단, 2) 동기화 시간이 평균 미만인 집단, 3) 동기화 시간이 평균 이상인 집단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기화 시간과 하루의 정서경험의 관계는 남편과 아내에게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선, 가사노동과 자녀돌봄 시간의 총량이 증가하면 주중과 주말 모두 아내의 기분상태가 유의미하게 낮아지지만, 남편의 경우, 가사노동시간과 자녀돌봄시간은 기분상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주중에 가사노동과 자녀돌봄시간을 배우자와 동기화하면 동기화 시간이 평균 미만인 집단이 동기화 시간이 없는 집단에 비해 아내의 긍정적인 기분상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화 시간이 평균 미만인 집단에서는 남편의 주말 기분상태가 동기화 시간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부의 시간사용이 남편과 아내가 인지한 하루의 정서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부의 시간 사용은 개개인의 시간사용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시간사용 및 정서 경험에도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배우자와 시간을 공평하게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가사분담만족도 및 기분 상태가 정적인 관계가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긍정적인 경험이 감소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간사용과 하루의 정서 경험의 관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보다 부부사이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는 부부 사이에서도 공평한 시간 사용이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가사노동의 공평한 분담이란, 반드시 남편과 아내가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시간을 동기화 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부부가 공평하게 분담할수록 동기화 시간도 증가함을 몬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시간을 아내만 수행할 경우, 아내의 긍정적인 기분상태가 유의미하게 낮아지지만, 배우자와 동기화를 할 때 아내의 긍정적인 기분상태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데, 이는 아내가 혼자서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을 수행하며 불공평하다는 느낌이 완화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아내가 인지하는 공평성은 결혼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배우자와 동기화 하는 가사노동 및 자녀돌봄시간은 아내의 기분상태와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곧 장기적인 결혼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의 시간사용 관련 정책 및 일-가정 균형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근거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nchronized time of dual-earner couples in Korea and whether the time use is related to the husbands and wives daily emotional experiences by using dyadic data. This study focused on the time use of the domestic domain, specifically housework and childcare activities on weekdays and weekends. It also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ime use and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husbands and wives.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conducted by Statistics Korea. A total of 250 couples aged between 20 and 59, with the oldest child under 10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e sample. There were 250 husbands and 250 wive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500. In the survey, each participant submitted a two-day diary so a total of 1,000 diar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analysis, it investigated the total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work and childcare first. Then it examined how much time couples synchronized in housework and childcare,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amount of time between synchronized time between husbands and wives. As a result, it identified that wives still did more housework and childcare even in dual-earner couples than their husbands. Husbands spent more time on paid-work compared with their wives. The perceived synchronize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was different between husbands and wives, with wives reporting a slightly larger amount of synchronized time than their husbands.
Second, it has outlined the timing of the activity. The timing of housework and childcare was highly concentrated in the evening on the weekdays but wa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day on the weekends for both husbands and wives. It is because the couples were engaged in paid-work during the daytime on the weekdays and they can spend time for the domestic domain only during unpaid working hours. Synchronization of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also appeared highly during this time, The rate of synchronization in each domain was usually higher on weekends than on weekdays.
Third, it analyzed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ouples synchronization in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ore individuals were engaged in housework or childcare, the more they synchronized housework or childcare time.
Last, it examined whether the synchronization of housework and childcare was related to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of husbands and wives 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 1) those who do not have synchronized time; 2) those who have synchronized time below-average; and 3) those who have synchronized time above-average. As a result, synchronize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was related to the daily emotional experiences, but the result appeared differently between husbands and wives. To be specific, the total amount of housework and childca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wives daily emotional experiences both on weekdays and weekends. However, synchronize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wives emotional experiences on weekdays. Husbands daily emotional experience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total amount of time in housework or childcare. On the contrary, husbands synchronize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with their wives on weekends was associated with their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an individuals time use and daily emotional experiences were closely related. Further, an individuals time use was not only associated with ones own emotional experiences but was also associated with ones spouses daily emotions.
Equity theory suggests that all people are seeking equity, but not to be over-benefitted or under-benefitted, and unfair exchanges of domestic labor sometimes cause fragility in the couples relationship. An equitable relationship does not necessarily mean they have to synchronize housework and childcare, but it is evident from this study that synchronize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partially illustrate equity in the domestic domain. When wives were engaged in domestic labor alone, it makes them feel they are under-benefitted. However, when wives regarded they were engaged in unpaid domestic labor together with their husbands, they had a feeling that they get support from their spouses. Wives, who had synchronize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with their husbands felt less under-benefitted than the wives who had no synchronized time for housework and childcare with their husbands. Further, as this study shows, the interactions between time use and emotional experiences were especially distinctive within the couple and such relationships cannot be observed between two people who are a non-couple.
Yet, it is notable that synchronization of housework and childcare was observed when husbands were engaged in housework or childcare. It means that wives carry out domestic work with or without the present of husbands, but husbands were most likely to be engaged in domestic work while their wives were engaged in domestic work. Therefore, the husbands participation in housework or childcare is the main variable for the synchronized time.
In sum,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deepened the understanding of dual-earner couples time use, focusing on the synchronized time in the domestic domain, and its relationship with daily emotional experience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evidence to establish family-related policies or suggestions for time use at the couple or family level.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8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