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 남녀의 형제자매 온정 및 갈등에 대한 다층모형분석 : Multilevel Analysis of Sibling Warmth and Conflict Among Korean Men and Women in Young Adulthoo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예슬

Advisor
이재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년형제자매 온정형제자매 갈등형제자매관계세대관계부모의 편애다층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2. 이재림.
Abstract
In contemporary Korea, siblings maintain ties with their siblings for longer periods of time due to changes in the life course of young adults. Although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ibling relationships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little is known about sibling relationships in young adult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sibling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ibling warmth and conflict among Korean young adults. The predictors included factors related to sibling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Data came from 396 Korean young adults aged 19-34 years with at least one sibling and two living parents. A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193 men for a total of 305 siblings, and 203 women for a total of 286 siblings. The data were analyzed separately by gender. In the model, the study controlled for participan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ge, years of education, employment, marital status, co-residence with parents), and sibling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ge, years of education, employment, marital statu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levels of sibling warmth and conflict were similar for both young men and young women. Overall, the perceived level of parental favoritism was low, but the young women in this study perceived a higher level of parental favoritism than men. The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included several factors regarding each sibling such as an older sibling, age-spacing, gender(s) of the sibling(s), co-residence with a sibling(s), frequency of providing instrumental or economic support for siblings, and frequency of receiving instrumental or economic support from siblings in addition to the total number of sibling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llowing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warmth and conflict for young mens siblings: number of siblings, an older sibling, and frequency of receiving instrumental or economic support from siblings. In other words, men who were older than their sibling, and those who frequently received support from their sibling(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warmth. In addition, men who had more sibling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conflict. For women, the number of siblings, siblings gender, and frequency of providing instrumental or economic support for siblings were associated with warmth and conflict for siblings. In other words, women who had frequently given support to sibling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warmth, and those who had female sibling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both warmth and conflict. In addition, those who had more siblings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conflict.
Amo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actors (i.e., maternal and paternal affection and favoritism), maternal affection and favoritism were associated with warmth and conflict for young mens siblings. In other words, men who had a more affectionate mother-child relationship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warmth and lower levels of conflict with their sibling. In contrast, men who perceived that their mother favored any child were more likely to report lower levels of warmth, regardless of whether the participant or another child was favored. For women, the mothers affection and the fathers favoritism were associated with warmth and conflict. In other words, women who had a more affectionate mother-child relationship we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warmth. In contrast, women who perceived that their father favored any child were more likely to report lower levels of warmth and higher levels of conflict, regardless of whether the participant or another child was favored.
This stud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Korean young adults sibling relationships by focusing on multiple aspects of sibling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sibling warmth and conflic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reveal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and interdependence between sibling relationships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남녀의 형제자매 간 온정 및 갈등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형제자매 특성과 부모자녀관계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 사회에서는 만혼 및 비혼에 따라 원가족과 동거하는 기간이 늘어나면서, 형제자매와 유대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간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온정 및 갈등과 같은 청년시기 형제자매관계의 정서적 측면에 주목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만 19세에서 34세 청년으로 형제자매가 1명 이상 있고 양친 부모가 모두 생존한 전국의 미혼 및 기혼 남녀였다. 형제자매 중 1명을 선택하여 응답하도록 하는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가 모든 형제자매관계에 대해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남성 193명의 형제자매 305명에 대한 응답과 여성 203명의 형제자매 286명에 대한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형제자매 특성 및 부모자녀관계 특성과 형제자매 간 온정 및 갈등의 연관성을 탐색하기 위해 개별 형제자매 관련 변수를 1수준으로 하고, 응답자 개인 및 부모 관련 변수를 2수준으로 하는 다층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로 형제자매관계 및 부모자녀관계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여성과 남성의 자료를 별도로 분석하였다. 부모자녀관계에서 어머니, 아버지를 각기 측정하고 분석한 것도 본 연구의 특징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남녀의 형제자매 특성, 부모자녀관계 특성, 형제자매 간 온정 및 갈등의 평균은 유사했으나 일부 특성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녀 모두 중간보다 낮은 수준으로 형제자매관계에서 부모의 편애를 인식하였으나, 여성이 남성에 비해 부모의 편애를 더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형제자매 특성(형제자매 수, 형제자매 손위 여부, 연령차이, 성별, 동거 여부, 본인 및 형제자매의 지원 빈도) 중 남성의 경우 형제자매의 손위 여부, 형제자매의 지원 빈도가 온정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형제자매 수는 갈등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형제자매의 성별, 본인의 지원 빈도가 온정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형제자매 수와 형제자매 성별은 갈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특정 형제자매가 본인보다 손아래일 경우, 특정 형제자매로부터 지원을 더 자주 받았을수록 온정 수준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 자매와의 온정 수준이 남매인 경우보다 높았으며 본인의 지원제공 빈도가 높을수록 온정 수준이 높았다. 청년 남녀 모두 형제자매가 많을수록 갈등 수준이 높았고, 여성은 성별이 같은 형제자매와 갈등 수준도 높았다. 즉, 오빠나 남동생에 비해 언니나 여동생과 온정과 갈등의 수준 모두 높은 특성이 있었다.
셋째, 부모자녀관계 특성(어머니·아버지와의 애정, 어머니·아버지의 편애인식) 중 남성의 경우 어머니와의 애정은 온정과 갈등 모두와 관련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편애인식은 낮은 수준의 온정과 관련이 있었다. 여성의 경우 아버지의 편애인식이 온정과 갈등 모두와 관련이 있었고, 어머니와의 애정은 온정과만 관련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어머니와의 관계가 애정적일수록 형제자매 간 온정 수준이 높았으며, 남성의 경우에는 형제자매 간 갈등도 낮았다. 또한 남성은 어머니가 본인과 특정 형제자매 중 한 명을 더 선호한다고 인식할수록 형제자매 간 온정 수준이 낮았고, 여성은 아버지가 본인과 특정 형제자매 중 한 명을 더 선호한다고 인식할수록 온정 수준이 낮고 갈등 수준은 높았다. 즉, 본인과 성별이 다른 부모의 편애가 형제자매관계의 질에 부정적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시기 형제자매관계의 정서적인 측면인 온정과 갈등과 관련이 있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청년의 형제자매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둘째, 형제자매 간 온정 및 갈등과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형제자매 특성, 부모자녀관계 특성과 같은 가족 내 다양한 특성을 규명하였다. 특히 형제자매 간 온정 및 갈등과 관련이 있는 부모자녀관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형제자매관계와 부모자녀관계 간의 상호의존성을 밝혔다. 모든 형제자매관계에 대한 응답을 활용하여 다층모형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기존의 형제자매관계 연구의 방법론적인 한계를 보완하였다는 의의도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9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