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여말선초 赴京 漢語通事의 활약 : 丽末鲜初赴京汉语通事的活跃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림

Advisor
문중양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선왕조실록』『고려사』부경 한어통사여말선초1세대 부경 한어통사2세대 부경 한어통사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3. 2. 문중양.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in the reign of Emperor Hongwu, Yongle and Xuande, as well as the people who communicated these edict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as recorded in The History of Goryeo an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found that there'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of the interpreters of missions to Nanjing or Beijing and the person who was designated when these three emperors conveyed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After the tributary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time of Hongwu, the courts of Ming began to receive envoys from Goryeo and Joseon. At that time, a portion of the Goryeo and Joseon envoys could speak Chinese because of the family background of Naturalized Persons(向化人) from China and their living experiences in the Yuan Dynasty.
Emperor Hongwu often spoke to these Goryeo or Joseon envoys in Chines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Then he required these envoys to convey his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to the kings of Goryeo or Joseon.
During that period, Goryeo or Joseon courts also sent interpreters with the envoys to Nanjing. But the Emperor Hongwu always suspected that they often used trading as an excuse to collect information in Ming. So he would instead use his own interpreters rather than interpreters from Goryeo or Joseon in any diplomatic activity.
However, different from the Emperors of the Yuan Dynasty, Emperor Hongwu disapproved of Goryeo or Joseon courts sending students to Ming to study. As a result, there were fewer and fewer ministers who could speak Chinese in Goryeo or Joseon. Under these circumstances, Goryeo or Joseon courts began to train more interpreters of spoken Chinese by establishing the Sayeokwon(司譯院) and implementing a series of policie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Like Emperor Hongwu, Emperor Yongle received Joseon envoys and asked them to convey his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to Joseon. However, Emperor Yongle had no prejudice against the interpreters from Joseon. In addition, believed that they could serve in diplomatic matters, particularly conveying his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to KingTaejongofJoseon(朝鮮太宗).
After a short time, KingTaejong promoted a group of interpreters and entrusted them with many important missions to Nanjing. Then the first generation of regular interpreters of missions to Nanjing was born.
In the latter stage of KingTaejong's reign, these interpreters almost died off and during that period, the eunuchs of Ming began to be powerful, so the mission of reception of eunuch envoys got more and more complicated. Therefore, KingTaejong began to promote a new group of experienced interpreters of the missions to Nanjing, giving them the tasks of receiving eunuch envoys as well. Then the second generation of regular interpreters of missions to Nanjing or Beijing was born.
Thereafter, although Emperor Xuande would also convey his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to Joseon, he no longer relied on ministers or interpreters of Joseon but the eunuchs of Ming. Thus after Emperor Xuande ascended the throne, in the early stage of King Sejongs reign, the question of Joseon's reception of Ming eunuchs was further complicated.
During that period, few of ministers in Joseon courts could speak Chinese. So that many diplomatic matters with Ming could only be handled by interpreters. And compared with the other interpreters, the ones who often went to Ming had more experience in dealing with diplomatic matters. So at that time, a few representatives of the second generation of interpreters of missions to Beijing became commissioners for some important diplomatic matters in the true sense of the word.
The previous studies of the interpreters of missions to Nanjing or Beijing have been confined to exploring the changes in their official positions and financial resources through an analysis of Goryeo and Joseons domestic policy shifts. In fact, the interpreters of missions to Nanjing or Beijing were the ones who had the most contact with the Ming envoys, diplomatic officials and even the emperors, so their growth and changes must have been linked to the Ming.
By using the historical data about the oral and written vernacular edicts and the people who communicated these edicts, this paper makes a novel explanation of the activities of interpreters of missions to Nanjing or Beijing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본고는 『高麗史』, 『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洪武帝, 永樂帝, 宣德帝의 口頭·白話 聖旨들과 이 聖旨들을 전달한 인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여말선초 한미한 부경 한어통사들이 점점 실질적인 외교 실무자로 성장하였던 과정이 이들 세 황제가 선호한, 고려·조선에 口頭·白話 聖旨를 전달한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고려는 원나라와 오랫동안 밀접하게 교류했기 때문에 명나라가 건국했을 무렵 고려 조정 안팎에는 중국인 출신 대신들도 있었고 원나라에서 오래 생활하거나 수학 경험이 있었던 대신들도 적지 않았다. 따라서 여말선초 명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은 후 고려·조선은 한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는 사신을 뽑아서 명나라에 파견하였다. 洪武帝는 고려·조선 조정과 더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진행하기 위해 이 사신들을 만나 한어로 대화를 나눈 뒤에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口頭·白話 聖旨를 가지고 고려·조선 국왕에게 전달하게 하였다.
이때에도 고려·조선의 한어통사들은 사신과 함께 파견되었다. 하지만 洪武帝는 그들이 명나라에서 잠무역을 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을 벌였다고 의심하였다. 이에 그는 사신들과 대화를 나누다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았을 때면 자신 측근에 있는 고려·조선어 통사를 활용하였을 뿐 고려·조선 사행단의 수행 한어통사들은 외교 활동에 의도적으로 배제시켰다.
하지만 洪武帝는 고려·조선 측의 유학생 입학 요구를 지속적으로 묵살하다. 따라서 고려·조선 국내에는 한어를 구사할 수 있는 대신의 수가 점점 줄어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고려·조선은 司譯院을 설립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어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였다.
永樂帝도 조선 사신을 접견하여 그들로 하여금 口頭·白話 聖旨를 조선 임금에게 전달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洪武帝와 달리 永樂帝는 조선의 부경 한어통사에 대한 편견을 갖고 있지 않았고 그들의 외교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인정하였다. 이에 永樂帝는 그들을 자신과 조선 왕 사이의 信使로 간주하여 중책을 맡기기 시작하였다. 이를 간파한 조선 태종은 즉시 向化人 출신인 한어통사들의 관직을 승진시켜 중요한 부경 임무를 맡기기 시작하였다. 바로 이때 조선의 1세대 부경 한어통사가 탄생하였다.
하지만 조선 태종 후기에 이르러 이 1세대 부경한어통사들 중의 대표적인 인물들이 모두 연이어 세상을 떠났다. 이 시기에 명나라의 환관 세력이 강해지자 조선에서의 환관 사신 접대 임무도 복잡해졌다. 이에 태종은 경험이 풍부한 몇몇 부경 한어통사들의 관직을 승진시켜 그들로 하여금 명나라 환관 사신을 접대 임무를 겸하게 하였다. 이로써 조선의 2세대 부경 한어통사가 부상하였다.
宣德帝도 자신의 口頭·白話 聖旨를 조선에 전달하였다. 하지만 그는 조선 부경 사신이나 한어통사를 활용하지 않았고 이러한 성지를 전달하는 임무는 전부 명 측의 환관 사신들에게 맡겼다. 그러자 조선 세종 전기에 들어서 명나라 환관 사신의 접대 업무는 전보다 더 복잡해졌다. 따라서 이때 조선의 2세대 부경 한어통사들 중의 몇 명은 실질적인 외교 실무자가 되었고 부경 임무뿐만 아니라 환관 사신 접대 임무까지 전보다 더 지속적으로 겸임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조선 초기의 부경 한어통사들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주로 고려·조선의 국내에서 실시한 정책을 분석하여 그들의 관직과 재력의 변화를 탐구해온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홍무제가 붕어한 후 영락 연간에 들어서 고려·조선과 명나라 사이의 수많은 외교 사무는 부경 한어통사들을 통해서만 처리될 수 있었다. 다시 말하자면 부경 한어통사야말로 당시 명나라의 사신, 외교 관원, 심지어 황제와 제일 많이 접촉한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그들의 성장과 위상 변화는 반드시 명나라와의 외교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할 것이다. 본고는 바로 이점에서 출발하여 『高麗史』, 『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口頭·白話 聖旨들과 관련된 사료들을 활용하면서 여말선초 부경 한어통사들의 활약상과 성장 과정을 새롭게 해설하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