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시대 掖庭署의 왕명 전달 활동과 그 의미 : Aekjeongseo(掖庭署) in the Joseon Dynasty: Delivery of Royal Decrees and Its Implica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지

Advisor
오수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선액정서왕명사알승전색전명사알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사학과, 2023. 2. 오수창.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delivery of royal decrees(王命) by Aekjeongseo(掖庭署)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s implications.
In the Joseon Dynasty, Seungjeongwon(承政院) was the official organization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royal decrees. However, since it was impossible for Seungjeongwon to manage all the orders, not only Seungji(承旨) of Seungjeongwon but also Seungjeonsaek(承傳色) of Naesibu(內侍府) and Saal(司謁) of Aekjeongseo shared the task of delivering royal decrees. The duties of Naesibu and Aekjeongseo were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monarchical decree transmission system. Aekjeongseo performed its work under the king's direct control, not as a subordinate office under Naesibu.
The officials of Aekjeongseo performed various chores of the royal court. Still, the mission of Jeonal(傳謁), the duty of conveying the king's response to the requests of courtiers, was assigned only to the highest-ranking official: Saal. Saal played its role in almost all places that required a connection between the outer and inner chambers(外庭·內庭) and assisted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king and his officials.
Discussions regarding Aekjeongse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mainly focused on practical matters, such as the issue of Saal intervening in the transmission of royal decrees between Seungji and Seungjeonsaek. Except for some officials directly involved in the delivery of royal proclamations, the king and general officials commonly preferred the transfer of royal decrees centered on Seungji and Seungjeonsaek; they believed that Saal should only deliver less critical issues. Therefo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discussions related to Aekjeongseo were usually limited to one-time problems and did not expand further.
On the other hand, in the 17th century, as the issue of public-private(公私) recognition emerged, Aekjeongseo started to be discussed within the argumentative structure between the king and the officials. The courtiers called for the works of Aekjeongseo to be processed through Seungjeongwon, citing Gungbuilcheron(宮府一體論). As a result, Seungjeongwon finally got control of Aekjeongseo after King Injo's reign. The ideas submitted at the same time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Aekjeongseo clearly show the common aspiration of the courtiers' group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o sought to bring the king's private area, including Aekjeongseo, over to the public space shared by the king and his courtiers as much as possible.
Unlike the courtiers who regarded Aekjeongseo as the king's private area, the k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a pleasant attitude toward Aekjeongseo. When officials at Aekjeongseo caused problems, the kings stood up for them by emphasizing respect for the servants under their direct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courtiers criticized the king's logic as private thoughts(私意) and demanded fair handling of the case. Based on the enhanced royal authority, the kings of the 18th century were more active in defending the officials of Aekjeongseo. In addition, King Jeongjo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Aekjeongseo by establishing a new post called Jeonmyeongsaal(傳命司謁). King Jeongjo laid the groundwork for the private use of Aekjeongseo in the public system by officially granting the unprecedented function of Jeonmyeong(傳命) to Saal. Jeonmyeongsaal finally got legisl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ho aimed to inherit the politics of King Jeongjo; it continued to operate within Aekjeongseo until the Reform of 1894(甲午改革).
본 논문은 承政院 및 內侍府 중심의 공식적인 왕명 출납 체계 속에서 掖庭署가 수행한 비공식적 왕명 전달 활동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의 공식적인 왕명 출납 기구는 승정원이었다. 그러나 다양한 층위의 왕명을 승정원에서 모두 출납하는 것은 불가능했으므로, 실제로는 승정원 承旨뿐 아니라 내시부 承傳色과 액정서 司謁 역시 왕명 전달 업무를 분담했다. 단 내시부와 액정서의 업무는 왕명 전달 체계 속에서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액정서는 내시부의 속사가 아닌 국왕 직속 관서로서 업무를 수행했다.
조선 초기의 액정서는 관서의 명칭과 직명 등 여러 면에서 고려시대의 掖庭局과 유사했다. 개국 초 宮殿별로 인력이 나뉘어 있었던 액정서는 세종대와 세조대를 거치면서 점차 국왕과 왕비, 왕세자를 중심으로 통합되어갔다. 액정서 관원들은 궁중의 다양한 잡무를 수행했지만, 傳謁은 신료들의 계사 및 알현 요청과 그에 대한 국왕의 답변을 전달하는 업무로서 최고위직인 정6품 사알에게만 부여되었다. 사알은 外庭과 內庭 간의 연결이 요구되는 거의 모든 자리에 동원되어 군신 간의 소통을 보조했다.
조선 전기의 액정서 논의는 주로 실무적인 문제, 즉 사알이 승지와 승전색 사이에서 왕명 전달에 개입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이루어졌다. 왕명 출납에 직접 관여하는 실무자들을 제외하면, 국왕과 일반 신료들은 대체로 승지와 승전색 중심의 왕명 출납을 선호했으며, 사알은 중요도가 낮은 사안만 제한적으로 전달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조선 전기에는 액정서 관련 논의 역시 대개 일회성 언급에 그쳤을 뿐 확대되지 않았다.
반면 17세기에는 公私 인식의 문제가 더해지면서 국왕 대 신료의 대립 구도 속에서 액정서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다. 신료들은 宮府一體論을 내세워 액정서의 공사를 승정원을 경유해 처리할 것을 요구했고, 그 결과 인조대 이후로는 사실상 승정원에서 액정서에 대한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같은 시기에 제출된 柳馨遠과 丁若鏞의 액정서 개편론은 액정서를 비롯한 국왕의 사적 영역을 최대한 국왕과 신료들이 공유하는 공적 영역으로 포섭하고자 했던 조선 후기 신료 집단 공통의 지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액정서를 국왕의 사적 영역으로 간주하고 경계했던 신료들과는 달리, 조선 후기 국왕들은 직속 기구인 액정서를 각별하게 대우했다. 액정서 관원들이 문제를 일으킬 때면 국왕은 啓聞治罪의 관행을 내세워 직속 인력에 대한 존중을 강조했다. 반면 신료들은 이러한 국왕의 논리를 私意라고 비판하며, 공정한 사건 처리를 요구했다. 18세기의 국왕들은 강화된 왕권을 바탕으로 한층 적극적으로 액정서 관원들을 옹호했는데, 정조는 여기에 더해 傳命司謁을 신설함으로써 액정서의 기능을 더욱 강화했다. 정조는 직제 개편을 통해 기존에 없던 전명 기능을 사알에게 공식적으로 부여함으로써, 액정서가 공적 체계 속에서 사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했다. 전명사알은 정조대의 정책 기조를 계승한 고종 연간에 이르러 법제화되었으며, 이후 甲午改革으로 전면적인 관제개편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운영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4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8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