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세기 여성기행가사 연구 : A Study on the Gasa of Womens Traveling in the 19th Centu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오윤

Advisor
조해숙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여성기행가사규방가사기행가사진술방식정서 표현19세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조해숙.
Abstract
이 논문은 19세기 여성이 쓴 기행가사의 진술방식과 정서표현을 분석하여 여성기행가사가 조선시대 기행가사와 여성 창작 문학 내에서 가지는 문학사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다. 여성기행가사는 기행가사의 보편성과 여성의 여행이라는 소재의 특수성이 반영된 가사로 19세기 가사 창작자로 나선 여성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기에 적합한 대상이다.
기존의 연구는 여성기행가사가 사대부 기행가사를 계승하면서도 여성으로서의 특성이 작품 내용에 반영되어 있다고 보았다. 가족에 대한 관심, 정서 표현의 강조는 여성 작자의 특수한 면모로 지적되었고, 대상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기존 기행가사를 계승하는 보편적 면모가 주목되었다. 본고는 여성기행가사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분리하여 설명한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작가의 성별을 고려한 전범 활용의 의미를 밝히고, 일상과 여행지라는 공간 배경의 차이에 있어서 여성의 정서 표현이 다르게 나타난 부분에 주목했다.
19세기 여성기행가사가 창작될 수 있는 배경을 사회적 제도의 정립과 여성의 문학 향유로 나누어 설명했다. 설가구임법(挈家久任法)과 화전놀이는 여성이 여행체험을 할 수 있는 사회적 배경이었다. 한문과 국문의 이중언어체계 속에서 국문을 전용하게 된 여성들이 국문 문학의 향유층이 된 것은 기행가사 창작의 배경이 되었다.
본고는 작품의 전승 형태, 작가, 여행 동기, 작품 구성, 여정과 여행 방법을 기준으로 19세기 여성기행가사 작품인 , , 를 소개했다. 이중 와 는 각각 연안이씨(延安李氏, 1737-1815)와 은진송씨(恩津宋氏, 1803-1860)이라는 양반가 사대부 여성에 의해 창작되었다. 는 가마를 타고 이동하는 여행방식과 문학 전범의 활용 양상이 다른 여성기행가사와 유사한 작품이다. 본고는 이를 토대로 를 양반 사대부 여성 창작 작품으로 보았다. 세 작품 중 이본이 있는 작품은 이본을 간략히 소개하고, 작품의 명칭을 하나로 통합하여 제시했다.
본고는 진술방식과 정서 표현을 중심으로 세 작품을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는 사대부가 여성으로서의 자부심과 권위적 태도가 드러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서술방식을 쓰되, 사건을 선택적으로 제시한 작품이다. 의 화자는 여행을 여성으로서의 역할을 잘 해낸 것에 대한 보상으로 인식하고 있다. 는 한 가정을 책임지는 주부인 화자가 여행지에서 누리는 풍류적 흥취를 강조한 작품이다. 경관을 드러내는 데에 서사적 진술과 묘사를 진술방식으로 활용한다. 정서 표현 측면에서는 신변탄식과 구경에 대한 욕심으로 진솔한 내면을 드러낸 것이 특징이다. 는 경치를 묘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수사적 표현을 활용해 체험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다. 화자의 정체성이 드러나는 부분은 소략하지만, 여행에 대한 욕구와 창작에 대한 욕구는 직접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종합하자면, 19세기 여성기행가사는 세 가지의 특성을 가지는 가사이다. 첫째, 여성기행가사에는 여성이 외부와의 관계 맺기를 통해 자기 정체성을 정립해가는 과정이 나타난다. 둘째, 여성기행가사에서 화자는 구경 대상에 대한 심정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여행지에서 깨닫게 된 새로운 욕망을 표출한다. 셋째, 여성기행가사에는 체험을 기록하며 외부로 자신의 체험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서사성과 묘사적 특성이 드러난다.
본고는 19세기 여성기행가사가 가지는 문학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개별 작품들을 통해 발견한 여성기행가사의 특성을 여성기행가사의 토대가 된 남성 기행가사와의 비교, 동시대에 쓰인 다른 여성 기행문학과의 비교를 통해 밝히고자 했다.
조선 전기부터 후기까지 이어진 기행가사의 창작 속에서 기행가사는 관유가사의 전통을 벗어나 작자층이 확대되고, 작품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실경 및 진경 추구의 유람관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여성기행가사는 여성이라는 작자층의 확대, 서사적 진술방식의 활용, 도교적 이미지를 통한 풍경 묘사와 현세적 풍류 지향으로 이러한 특징을 계승하고 있다.
19세기 여성기행가사의 등장 이전에 쓰인 18세기 『의유당관북유람일기』와 19세기에 쓰인 『호동서락기』는 여행 동기, 주변에 대한 묘사, 여성으로의 자기인식에 있어서 여성기행가사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이들 수필은 19세기가 여성이 이전 시기보다 적극적으로 여행 욕심이나 문학 창작 욕구를 표현할 수 있었던 시기임을 보여주는 보조 자료이다. 여성의 외출을 다룬 작품이라는 점에서 19세기 여성기행가사와 화전가의 창작 및 전승 과정을 비교할 수 있었다. 여성 작가들은 독자를 여성으로 설정하고, 함께 정서를 공유하기에 적합한 국문 가사를 창작했다.
본고는 이러한 비교를 통해 가족 공동체 안에서의 여행일지라도 여성이 그 과정을 주체적인 여행 체험으로 인식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성들이 정서표현과 문학양식을 고려할 만큼 문학 창작자로서의 의식 성장을 이룬 점 역시 19세기 여성기행가사가 갖는 문학사적 의미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m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of travel Gasa written by women in the 19th century. It was written to discover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womens travel Gasa by analyzing Joseon Dynasty travel Gasa, and womens creative literature. Women's travel Gasa reflects the universality of travel Gasa and the specificity of the subject of women's travel. This was suitable to discover the new aspect of women who became Gasa creators in the 19th century.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at female travel Gasas inherited the travel Gasas of the nobleman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are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work as well. The emphasis on family interest and emotional expression was pointed out as a particular aspect of female authors, and the universal aspect of inheriting existing travel Gasa in expressing objects was also noted.
In addition to the previous study that explained the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of women's travel Gasa, this paper revealed the meaning of using typical expressions considering the artist's gender, and specifically focused on womens different emotional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spacious background they were in such as daily life basis and travel places.
The explanations of the background for creating the 19th century womens travel Gasa were divided into two: establishment of the social system and women participating the literature. Seolgaguimbeop(挈家久任法) and Hwajeonnori became the social basis which led the women experience travel. The background of women mainly using Korean in the bilingual system of both Chinese and Korean, becam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women creating the travel Gasa.
Based on the transmission form of the work, author, travel motivation, composition of the work, journey, and travel method, this paper introduced three different works of women's travel Gasa in the 19th century. Among them, and were created by noble women named Yeonan Lee (延安李氏, 1737-1815) and Eunjin Song (恩津宋氏, 1803-1860), respectively. is a work similar to women's travel Gasa in terms of riding a sedan chair as a travel method and by looking at typical expressions of literatur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ideas, this paper viewed as a female creative work of the aristocrats. If there were different copies among the three works, they were briefly introduced and unified into one single name.
This paper analyzed the three works by focusing on the method of a state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is a work that reveals a womans pride and authoritative attitude, and uses a narrative method over the time, but selectively presents the events. The speaker of recognizes travel as a reward for playing a good role as a woman. is a work that emphasizes the poetical taste of the speaker, who is a housewife in charge of a family and enjoys time at travel destination. Epic statements and descriptions are used as statements to describe the landscape. Regarding the aspect of expressing emotions, it honestly reveals the inner side of oneself who desire to lament ones situation and express eager to sightsee. is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experience using various rhetoric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scenery. The speaker's identity is rarely revealed in this work, but the desire for travel and the desire for creating Gasa is directly expressed.
To sum up, the 19th century women's travel Gasa showed thre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irs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womens self-identity through building relationships with the outside world is shown in womens travel Gasa. Second, the speaker honestly tells her feelings about what she has seen and expresses a new desire that she realized at the travel destination. Third, by recording the experiences, narrative and descriptive features are shown based on the authors experiences in the outside world.
In order to discover the literary meaning of female travel Gasa in the 19th century, this paper was written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travel Gasa by discovering individual works and comparing them with male travel Gasa and other women's travel literature written in the same period.
In the creation of travel Gasa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Joseon Dynasty, travel Gasa has expanded the hierarchy of authors, lengthened the work, and con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eking for visiting real sites. The expansion of women becoming authors, using narrative statements, describing landscape through imagery, and seeking worldly taste for the art, ar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travel Gasa that have been succeed.
Both『Uiyudanggwanbukyuramilgi』, which was written in the 18th century and 『Hodongseorakgi』which was written in the 19th century were written before the appearance of womens travel Gasa in the 19th century. These two Gasas share similar aspects to women travel Gasa in terms of travel motivation, description of the surroundings, and self-awareness as a woman. These Gasas are auxiliary data showing that the 19th century was a time when women were able to actively express their desire to travel or create literature more than in the previous period. Since it is a work dealing with women's outings,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creative and transmission process of female travel Gasa with Hwajeonga in the 19th century. The women authors have set their target readers as other women and created Korean Gasa to share feelings. Through these comparisons, this paper has shown the womens independent travel experience even though they traveled within the family community. The fact that women considered the emotional expression and literary style while writing Gasa has the literary and historical meaning of womens travel Gasa in the 19th centur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4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5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