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또 하나의 문화』에 나타난 페미니스트 문화기획과 글쓰기 실천 연구 : Feminist Cultural Organizing and Writing Practice in Alternative Cul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은

Advisor
손유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또 하나의 문화모임의 수행성문화론네트워크-행위에스노그라피주변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손유경.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ake visible the collective efforts of female subjects carried out through the womens mook Alternative Culture. I focus on the publication of Alternative Culture as a form of independent feminist media which promoted alternative female subjectivities and womens writing. In doing so, I reconstruct a change in the academic and cultural fiel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emale intellectual subject. Using the performativity of assembly as a key concept, I determine that the network-acts or acts of collective solidarity of female subjects involved in Alternative Culture, represented by the formation of the group and the act of publication, convey a message in and of themselves, and the primary method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is act of assembly itself.
In Chapter 2, I examine Alternative Cultures publishers and ideological foundations. I explore the groups readings of Kang Seuk-kyongs short story A Room in the Forest to point out that women who had received higher education were an important object of consideration for the feminist culture movement which Alternative Culture sought to develop. The early Alternative Culture group displayed a strong interest in university students, housewives, and others as their central object of concern and the subject of the feminist culture movement they were unfolding. The group uplifted the perspective of the experiential subject and sought alternative womens subjectivity in the subject of culture, with the aim of readju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culture or cultural intellect. From the 1990s, Alternative Culture persisted as a publishing community based on a feminist epistemological system, encountering a diverse array of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ook, and questioning whether the search for an alternative itself was in some ways a compulsion of modernity. However, Alternative Culture did not give up on the perspective that culture would be the terrain on which such alternative subject formation could be enacted. The group expanded feminist methodology based on the concept of marginality to call upon teenagers as cultural subjects, persisted in its campaign of feminist bookmaking, and continued producing alternative discourses on the contemporary reality of the 1990s.
In Chapter 3, I examine how Alternative Culture created a space for communication in relation to womens literature through a collective womens literature movement based in the network-acts of female subjects. I verify how this collective womens literature movement developed through Goh Junghees activity as editor of Alternative Cultures third issue, entitled Literature of Womens Liberation, and I analyze the works included in this issue, finding that the featured women writers composed a womens liberation literature which responded to Alternative Cultures cultural movement while also containing notes of dissonance. At the same time, Alternative Culture is often considered the terrain from which feminist literary criticism originated, and I offer evidence of the mechanism which made this possible. With a focus on Cho Han Haejoangs metacriticism and Kim Hyesoons discussion of womens poetry, I also confirm that Alternative Cultures position at the origin of feminist criticism is not merely a matter of reputation. B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writing subject as most importantly a marginalized position, Alternative Culture laid the foundations which made it possible to support the writing of female subjects and voices from below who couldnt be included in good literature while maintaining the established concept of literature with a capital L, which viewed the writing subject as a privileged subject of representation.
In Chapter 4, I examine how Alternative Culture linked its encouragement of womens writing practice to the decolonization of Korean society. I point out that, in terms of method, Alternative Culture pursued an ethnographic strategy, and that autoethnographic writing served as an important editing element, valuing experiential voices in relation to the orientation of an alternative movement in which praxis may begin within the world of daily life. By affirming marginality and ascribing epistemic privilege to womens voices in the shadows, this deconstructs the subject-position hierarchy of intellectual/masses. I also place emphasis in my analysis on how the presentation of language critical of the Korean cultural climate in the form of creative writing contains an aspect which may be read as ethnography, blurring the boundaries of literature and non-literature and leading to the emergence of a concretely-situated womens language which seeps across the borders of academic disciplines. Here I point out that the list of dichotomies traversed by Alternative Cultures writing practice diversified as the mook became a terrain for the production of discourses related to the contemporary reality of the 1990s. Subjects of differing position and generation were able to make their voices heard through Alternative Culture because it was a medium which had reflected upon the positionality of knowledge production and was concerned with dismantling rigid knowledge-production systems. I also note that the female subjects active in and around Alternative Culture defined academic culture and its rigid knowledge-production system as yet another site of struggle which required problematization and interrogated its obsession with universality at this time. Here I analyze the discourse on cultural spontaneity presented in Cho Han Haejoangs Reading Texts, Reading Lives in the Postcolonial Era and Kim Yeong-oks theory of Womens literature as a minority literature and criticism of Creation and Criticisms National Literature Theory. These discussions share a criticism of established academic and literary intellectuals obsession with the universal, with a basis in the historicality of the Alternative Culture movement and womens writing, thereby ascribing a position to womens perspectives and language.
I conclude with the observation that the liberation performed by Alternative Culture did not stop at womens liberation. In addition, Alternative Culture was culturally and historically significant as a form of media and terrain which offered the possibility for female subjects to come into contact and which blurred certain boundaries related to writing within Korean literary and cultural history. This is because the female subjects who came into contact with the media/terrain of Alternative Culture performed a diverse writing practice which cut across the established concepts of literary and non-literary, the borders of academic disciplines, academic and popular writing, and the subject-position hierarchy of the intellectual/masses. In saying that the freedom and liberation imagined by Alternative Culture were constituted through writing, this study reveals how Alternative Culture dismantled established concepts and boundaries previously espoused about writing.
본 연구는 여성 무크지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를 통해 행해진 여성 주체들의 집단적 노력을 가시화해보고자 했다. 대안적 여성 주체성과 글쓰기를 독려하며 무크지 『또문』을 자율적인 여성주의 매체로 발간한 것에 주목했는데, 이를 통해서 여성 지식인 주체의 입장에서 문화학술장의 변화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이때 모임의 수행성이라는 개념을 설정해 동인 모임을 결성하고 매체 『또문』을 함께 발간하는 행위로 대표되는 여성 주체들의 네트워크-행위와 집단적 연대라는 행위가 발신하는 메시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모이는 행위가 지닌 함의를 그 자체로 분석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 시각이었다.
2장에서는 『또문』의 발간 주체와 이념적 기반에 대해서 살폈다. 강석경의 소설 「숲속의 방」에 대한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 동인들의 독해를 우회해 또문이 자신이 펼친 여성주의 문화운동의 중요한 고려 대상으로 삼았던 집단이 고등교육을 받은 여성임을 지적했다. 초기의 또문은 대학생‧주부 등을 자신이 펼치는 여성주의 문화운동의 중요 고려 대상이자 운동의 주체로 삼는 모습을 강하게 나타냈다. 경험주체자의 시각을 고양하며 문화적 주체자라는 대안적 여성 주체성을 모색하는데 이를 통해 여성과 문화(지성)의 관계를 재조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었다. 1990년대 이후 『또문』은 여성주의 인식체계에 기반한 출판공동체로서 존재하며 무크지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차이를 조우하며 대안을 찾는 것이 한 편으로 근대적 강박일 수 있다는 질문에 부딪히기도 했다. 하지만 『또문』이 대안적 주체 형성의 실천 지대로 문화를 바라보는 관점을 포기했던 것은 아니었다. 『또문』은 주변성의 사유에 기반한 여성주의적 방법론을 확장해 청소년을 문화적 주체로 호명하며 여성주의 책만들기 운동을 이어나갔으며 1990년대의 시대현실과 연관된 대안 담론을 계속 생산하는 모습을 보여줬음을 본 연구는 지적하고자 했다.
3장에서는 『또문』이 여성문학에 관한 소통공간을 여성 주체들의 네트워크-행위에 기반해 집단적 여성문학운동을 통해 만들어나간 양상을 살펴보았다. 『여성해방의 문학-또 하나의 문화 제3호』의 기획‧편집에 주요 역할을 했던 고정희의 활동을 매개해 집단적 여성 문학운동의 전개 과정을 실증하는 한편, 여성 작가들이 여성해방문학을 창작하는 것을 통해서 또문이 보여준 문화적 움직임에 호응하면서도 불협화음을 내는 작품을 쓰기도 했다는 점을 『여성해방의 문학』에 실린 작품들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밝혀보았다. 한편 또문이 페미니스트 비평이 발원한 지대라고 할 때 이를 가능케 했던 장치를 실증적으로 밝혀보는 한편, 또문이 페미니스트 비평이 발원했던 지대라는 것이 단지 소문이 아님을 조한혜정의 메타비평과 김혜순의 여성시에 관한 논의에 주목함으로써 확인했다. 『또문』은 글쓰는 주체의 위상을 무엇보다 주변인으로 파악함으로써 특권화된 재현 주체로서 글쓰는 주체의 위상을 바라보는 대문자 문학이라는 기존 관념을 유지했을 때는 좋은 문학으로 포괄될 수 없었던 여성 주체들의 글쓰기와 아래로부터의 목소리를 지지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다고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또문』이 여성 주체들의 글쓰기 실천을 유도하면서 이를 한국 사회에 대한 탈식민화의 수행으로 연계시켰던 점에 대해 다루어보았다. 본 연구는 『또문』이 방법으로서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라는 전략을 추구하는 한편 생활세계에서 시작될 수 있는 실천이라는 대안운동의 방향성과 연계되어 체험적 목소리를 중시함에 따라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적 글쓰기를 중요한 매체의 편집 요소로 활용했음을 지적했다. 이는 주변성을 긍정하는 것으로 음지(陰地)에 있는 여성의 목소리에 인식론적 특권을 부여함으로써 지식인/대중의 위계적 주체 위상이 해체되는 국면을 야기하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문화적 풍토를 문제삼는 비판적 언어가 창작을 통해 제시될 때 이 역시 에스노그라피로 읽힐 수 있는 국면이 연출됨으로써, 문학과 비문학의 경계가 흐려지고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어 서로 스며드는 여성 언어의 현장성이 나타났음을 주요하게 분석해 보았다. 이때 『또문』에 나타난 글쓰기 실천을 통해 가로지르게 되는 이분법의 목록이 『또문』이 1990년대의 시대 현실과 연관된 담론을 생산하는 지대가 되면서 다양해짐 역시 지적했다. 다른 위치성과 세대성을 지닌 주체들이 『또문』에 등장해 그들의 목소리를 들려줄 수 있었던 것은 『또문』이 지식생산의 위치성을 성찰하고 경직된 지식생산체계를 해체하는 것을 고민하는 매체였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지점에서 『또문』 안팎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여성 주체들이 당대 학술문화장의 풍토와 경직된 지식생산체계를 문제화가 필요한 또 다른 현장으로 규정하며 학술문화장의 보편성 집착에 대한 심문을 본격적으로 제기했음 역시 주목해 보았다. 이때 조한혜정의 『탈식민지 시대 글 읽기와 삶 읽기』에서 제기된 문화적 자생성에 관한 담론과 김영옥의 창비 민족문학론에 대한 비판과 소수집단문학으로서 여성문학론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의 논의는 또문이 펼친 운동과 여성 글쓰기가 지니는 역사성에 의거해 기성 학계와 문단의 지식인들이 보편에 집착하는 양상을 공통적으로 비판하며 여성의 시선과 언어에 입지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또 하나의 문화』가 연출한 해방이 여성 해방에 머무르지 않음을 추론했다. 여성 주체들이 인접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했던 지대이자 매체인 『또 하나의 문화』는 또한 한국문학(문화)사에서 작동해온 글쓰기와 관련한 어떤 경계들을 흐릿하게 만들고 해체했다는 점에서 문화사적 의미가 큰 것이다. 『또 하나의 문화』라는 지대이자 매체에 접속하면서 여성 주체들은 문학적인 것/비문학적인 것이라는 기존의 관념, 분과학문의 경계, 학술적 글과 대중적 글, 지식인/대중의 위계적 주체 위상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글쓰기 실천을 수행했기 때문이었다. 『또 하나의 문화』가 상상한 자유와 해방이 글쓰기를 통한 것이라 했을 때 글쓰기에 대해 공고했던 기존의 관념과 경계가 해체되는 국면 역시 나타났음을 본 연구는 밝히고자 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4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37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