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식민 이후 한국과 인도의 분단 과정의 문학적 형상화 : Literary Representation of Korea and Indias Partition in postcolonial era: Focusing on Yeom Sang-seop and Khushwant Singh
염상섭과 쿠스완트 싱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라제쉬

Advisor
김종욱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분단기억과 망각탈식민주의내셔널리스트 역사학식민지 지배전략분할 통치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김종욱.
Abstract
This study acknowledged that the division of Korea has always been literary analyzed through an intrinsic approach of Korean Literature only. The analyses of division of Korea only through an intrinsic approach have led to a limited and narrow perception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comprehensive and objective perspective can be achiev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writers of different partitioned nations. This study selected the Partition of India among the countries divided in such a way, to compare it to Koreas division in the process of decolonization. The culture and economies of colonizers left a deep impact on their colonies. Thus, a comparison of European and Asian colonizers can lead to finding a possible analogy in the colonial experience. Hence, this study focused on comparing the works of the Indian writer Khushwant Singh and the Korean novelist Yeom Sang-seop by applying a blended research methodology of post-colonialism and memory studies. It compared the novel Train to Pakistan by Khushwant Singh with the novellas Samphalseon, Ihap and Jaewhe by Yeom Sang-seop. The primary focus was on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formation of a nation-state in the post-colonial era as understood through these two writers.
In chapter 2 the Partition of India was analyzed through the writings of Khushwant Singh. In the novel, Singh put a village called Mano-majra, where people were living peacefully, as the center of partition violence that was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in India. In Train to Pakistan Singh blamed the British rulers for the intensification of religious identity during Partition. He showed that the British policy of "divide and rule" left a deep impact on the post-independent bureaucracy and politics. This colonial legacy led to the partition and the genocide of thousands. Singh portrayed the partition that was based on aspirations of religious identity as a postcolonial phenomenon where the Indian bureaucracy and the politicians could not escape the political setup of the colonizers. Khushwant Singh showed communal violence, killings on a mass scale and separation of families as the attribute of the formation of religious national identity. He accused everyone, including the common masses, as well as the police, army, politicians, and bureaucrats, of participating in the killings, maiming, and raping. The rich, the politicians and the privileged suffered comparatively less from the trauma of the division, and those with power milked the partition for their own benefit, while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suffered heavily and were massacred, raped, and maimed during the Partition violence. The most devastating misfortune of the Partition was the refugee crisis that arose during as well as post partition period. Another unfortunate consequence of the partition was physical as well as emotional separation. Refugees were tortured by the police, killed by soldiers or slaughtered by mobs very frequently. One aspect that appeared in the aftermath of the partition in the work is otherness. After the division, this alienation among people led to irreparable conflicts between the religions of the Indian peninsula. In his work, Khushwant Singh portrayed the fact that the Partition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was embodied in separation, migration, and plight of women.
In Chapter 3,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 new national identity and the pain and suffering caused by ideological differences due to the divis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was analyzed through the three novellas, Samphalseon, Ihap and Jaewhe by Yeom Sang-seop. Yeom Sang-seop's works describe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n ideological national identity based on the part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cause of such partition was the tension between the political ideologies. This tension between political ideology was characterized by both the phenomenon of colonialism as well as neo-colonialism. Yeom Sang-seop portrayed the aspect of ideological tussle through the family of Kim Jang-han in Ihap. The division of Jang-han's family is similar to the division of Korea, and Yeom Sang-seop symbolically portrayed the division of the nation through the ideological differences within the family of Jang-han. Conflict of ideologies caused the disintegration of the nation, and conflicting ideologie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 nation and national identity also caused a division among the people.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reached an extreme point, and those who did not choose a side were maltreated. Yeom Sang-seop criticized the leaders for the confrontation of the left and the right ideologies and accused them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e portrayed the non-sovereign statehood of Korea by criticizing the presence of Soviet and American forces. His works portrayed the division as having been brought about by foreign powers but embodied and concretized by the Joseon people. In Samphalseon the refugees were petrified by the Soviet forces and the Korean officials who restricted their movement, and which shows the violence committed by the nation against its own people. Yeom Sang-seop criticized the fact that the fate of the country is in the hands of foreign military powers. The Socially and politically structured violence, social polarization, and institutionalized discrimination by foreign powers vis a vis neo-colonial power was (nothing more than) a transformed form of colonialism that brought violence and suffering to the people.This form of violence was both physical as well as non-physical. Yeom Sang-seop also portrayed the futility of the liberation and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Ihap, and in Samphalseon the loss of family members during the refugees journey is portrayed profoundly. Separation became a harsh reality of Joseon at the time of division, and many people crossed the 38th parallel in search of a new home. And thus, they tried to find the meaning of their home in the new places where they settled.
In Chapter 4, the writ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in India and Korea were compared.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Indian and Korean writers concerning partition. Yeom Sang-seop was a Japan-educated literary scholar and Seoul boy who belonged to the bourgeois class of Korean society. Similarly, Khushwant Singh appeared in the literary world after studying in England and working as a lawye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the Partition of their countries. Yeom sang-seop completely ignored the influence of "divide and rule"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zers in the division of Korea while Khushwant Singh criticized the colonial policies and accused them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division of India. Singh found the cause of partition in the British rule and criticized it in his novel. He directly criticized the policies and attitudes of colonial rule that, according to him, caused the partition of India. He criticized the British as impostors who governed India with wicked policies. Furthermore, he criticized both the British autocratic rule as well as the new leaders of post-independent India for the partition. In conclusion, Khushwant Singh did not forget the factor of the colonial legacy in partition and criticized the British rule as the biggest reason for the suffering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Yeom Sang-seop did not directly mention the ro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division of Korea. He ignored the colonial policy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Joseon people escaped to Manchuria due to Japanese colonial policy. The people of Korea suffered terribl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class consciousness and differences arose; this can be seen as the root cause of left-wing and right-wing ideologies that arose after liberation. This conflict between left-wing and right-wing ideologies further contributed to the division in the Cold War era. However, rather than criticizing Japanese colonial rule, Yeom Sang-seop expressed sympathy towards the Japanese people who lost the World War-II Yeom Sang-seop found the cause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dichotomy of capitalism and communism brought by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t the beginning of Cold War era. He shows anger and despair over the presence of Soviet and American troops. He accuses the new colonial rulers,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of being responsible fo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ttitude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forget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both writers is due to their social aspects and lives. In other words, it is because of their locationduring time of division. Yeom Sang-seop is a South Korean, and he had nothing to lose in the situation of division. Rather, Yeom Sang-seop returned to South Korea at the time of the division and could enjoy a sense of security. On the other hand, Khushwant Singh was a victim of division. He experienced division as a Pakistani. He belonged to the Sikh community and his identity was absorbed in the bigger dichotomy of Hindus and Muslims. That is why he was able to see the division from a more complex point of view. In contrast, Yeom Sang-seop saw the division only as the influence of neo-colonialism and this makes his perception of division very simple and thus flawed.
After comparing the division of Korea with that of India, it can be seen that the post-colonial division of Korea was very a complex phenomenon. After liberation from colonization, a neo-colonial structure was introduced. The new colonialism was the result of the Cold War and divided Korean society into left and right ideologies. However, this dichotomy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is not only due to the neo-colonialism of the Cold War era but also a result of the colonial policy of imperial Japan. The colonial policy of "divide and rule" led to economic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and resulted in a class consciousness among the Korean people. In addition, the colonial masters used reforms as a very effective tool of "divide and rule" policy and divided Korean society into several factions. This colonial policy of "divide and rule" caused a serious ideological conflict among the Korean people in the post-liberation period. This ideological conflict, combined with neo-colonialism and the ambition of local leaders and people ended in the birth of two countries,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Yeom sang-seop and Khushwant Singh through their works have resisted the nationalist history of partition that celebrated Independence and ignored partition that caused pain and suffering of people in both the countries. They have focused on localized and personalized accounts of partition to show the aftermath of independence.
In conclusion,the division of Korea did not occur only due to the introduction of foreign powers or neo-colonialism but was also heavily influenced by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polic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nfluence of colonialism on the division of Korea in depth. The fact that Yeom Sang-seop saw the division of Korea as the result of neo-colonialism simplifies the division to a mere political issue of the Cold War era. Like in India, the roots of Korea's division lie in colonial policy. The division of Korea can be comprehensively studied only when the role of colonial policy is also discussed in detail. Thus, the division of Korea should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where the postlies before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o put an end to the conflict that resulted due to colonial policy,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source of class consciousness planted in Korean society. Only then can we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 and find a comprehensive and objective perspective of Koreas division.
본고는 한국의 분단을 항상 내부 혹은 한국의 분단문학으로만 보는 것을 문제로 삼았다. 한국의 분단 문제를 내부로 보면 항상 단일한 결과가 도출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같은 시기 분단된 국가에서 작품 활동을 한 작가들이 분단을 바라보는 관점과 비교해 본다면, 이를 통해 한국의 분단 문제에 대한 객관적, 포괄적인 새로운 시점을 획득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본고는 피식민지화 과정에서 분단된 국가 중 한국과 인도를 비교하는 것을 하나의 방법으로 선택했다. 식민지는 피식민 국가의 문화, 경제 등 거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유럽의 식민지와 동아시아의 식민지를 비교하면, 식민지 경험의 공통된 틀을 찾을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한국의 염상섭과 인도의 쿠스완트 싱의 작품을 통해 인도와 한국의 분단 문학을 탈식민주의 이론과 기억과 망각의 융합한 이론을 통해 비교해보았다. 본고에서 염상섭의 중기 단편 「삼팔선」,「이합」,「재회」와 인도의 작가 쿠스완트 싱의『파키스탄행 열차』를 통해 분단과 식민 이후 국민국가 수립의 양상을 비교해봤다. 이 두 명의 작가를 통해 분단의 문제와 국민정체성의 형성 과정과 탈식민 국가의 수립 과정을 관찰했다.
2장에서 인도의 분단을 쿠스완트 싱의 소설 『파키스탄행 열차』로 살펴봤다. 소설에서 싱은 여러 종교가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던 마노 마즈라 마을을 분단의 폭력과 국민정체성의 형성 과정의 무대로 설정했다. 『파키스탄행 열차』에서 싱은 분단 상황에서 종교적인 정체성이 점점 강해지는 것이 영국 지배자들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영국의 분할 지배 전략은 인도가 독립한 후에도 여전히 인도의 관료와 정치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점을 그렸다. 식민지 지배의 이와 같은 잔재는 분단을 일으켜 집단 학살로 이어졌다. 싱은 종교 정체성의 요구로 인해 발생한 분단을 영국 식민지배의 정치 구조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않은 인도의 정치인과 관료들의 태도로 인한 분단을 탈식민지라는 것으로 그렸다. 쿠스완트 싱은 종교적인 국민 정체성의 형성과정의 양상으로 집단학살, 대규모의 폭력, 이산 문제를 그렸다. 그는 군인, 경찰, 지도자, 관료 모두 폭력을 가한다고 했다. 싱은 분단 상황에서 일반인도 학살, 상해, 강간에 참여했다고 한다. 권력자, 부자, 정치인들은 분단의 트라우마로부터 비교적 덜 고통받았고 권력을 지닌 자들은 분단을 이용해 보상받았지만,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은 분단 때 벌어진 대학살과 강간과 상처로부터 시달리고 살해당했다. 분단의 가장 가시적인 문제는 분단으로부터 발생한 피난민 문제였다. 사람들의 이별은 물질적인 것이자 정서적인 이별이고, 분단으로 인한 또다른 불행한 결과물이었다. 피난민들이 경찰에 의해 고문당하거나 군인들에 의해 살해되거나 폭도들에 의해 학살되었던 경우가 빈번했다. 작품 속에서 분단의 여파로 나타난 것이 한 양상은 타자화이다. 분단 이후 이러한 타자화는 회복할 수 없는 종교간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쿠스완트 싱은 작품에서 국민정체성 형성 과정 중 나타난 국가 분단이 이산, 이주와 여성의 수난으로 구체화되는 점을 그렸다.
3장에서 염상섭의 세 편의 중기 단편소설 「삼팔선」, 「이합」, 「재회」를 통해 해방 직후 분단으로 인한 민주의 새로운 정체성의 형성과정과 사상의 대립으로 인한 고통과 고난을 살펴 보았다. 염상섭의 작품은 사상적인 국민 정체성의 형성과정을 거치며 분단이 되었다는 점을 묘사했다. 이와 같은 분단의 원인은 정치사상의 대립이었다. 이러한 정치 사상은 식민주의 특성도 있고 신식민주의 특성도 있다. 염상섭은 사상적인 대립의 양상을 「이합」의 김장한 가족의 모습을 통해 그렸다. 장한의 가정이 분단되는 것은 한국의 분단 상황과 비슷한 것이며, 염상섭은 이러한 가족 내 사상적 차이를 통해 한국의 분단을 상징적으로 그려냈다. 사상의 충돌은 국가 또는 가정이 해체되는 원인이 되었으며, 국가 수립과 국민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대립하는 이데올로기는 국민 사이에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좌우의 사상 대립은 극단으로 치닫게 되었고, 이를 선택하지 않은 사람은 고문당한 것이다. 염상섭은 좌우의 대립을 통해 지도자들을 비판하고 한반도 분단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질문했다. 염상섭은 한국의 현상을 소련군과 미군의 존재를 제시하며 주권국이 되지 않았다는 점을 그렸다. 분단은 외세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조선인들에 의해 구체화되었다는 것을 염상섭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삼팔선」에서 피난민들이 두려워하는 주체는 이동을 통제하는 소련군, 보안대 등과 같이 국가가 가하는 폭력을 행사하는 주체들이다. 염상섭은 국가의 운명이 해방 이후 외세인 군인들의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비판한다. 신식민주의의 변모라는 외세의 사회적, 정치적으로 구조화된 폭력, 사회적 양극화, 제도화된 차별로 인해 국민의 고통과 폭력이 발생했다. 이 폭력은 물리적인 것이고 비물리적인 것이었다. 염상섭은 해방과 분단의 허무함을 그려내기도 했다. 「이합」에서 분단으로 인한 가족의 해체가 분단의 한 여파로 나타나며, 「삼팔선」에서도 난민의 여정에서 많은 사람이 가족을 잃은 모습이 그려진다. 이산은 분단 당시 조선의 현실이 되었으며 수많은 사람이 북에서 남으로, 남에서 북으로 새로운 고향을 찾기 위해 월남과 월북을 선택했다. 이들은 새롭게 정착한 곳에서 고향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4장에서 인도와 한국의 국민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 대한 작가들의 감각을 비교했다. 인도와 한국 작가들이 분단을 감각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다. 염상섭은 서울 토박이 소년이었고 중산층에 속한 일본에서 유학한 문학가가 있었다. 그리고 쿠스완트 싱도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변호사로서 직장 생활을 하다가 문학계에 등장한 인물이었다. 그런데 이들이 분단을 감각하는 태도는 차이가 있다. 염상섭은 식민지의 지배 전략 혹은 분할 지배라는 정책이 한국의 분단에 미친 영향을 완전히 무시했다, 반면에 쿠스완트 싱은 인도 분단의 책임자였던 영국의 식민지 지배자의 통치 전략을 비판했다. 쿠스완트 싱은 소설에서 분단의 원인을 영국 지배에서 찾아내고 비판했다. 쿠스완트 싱은 분단의 책임이 영국 통치에 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그는 인도의 분단을 일으킨 식민 통치의 정책과 태도를 직접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영국인을 사악한 정책으로 인도를 통치한 사기꾼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영국의 독재 정권과 영국이 떠난 후 통치하게 된 새로운 지도자들 모두를 비판했다. 다시 말하자면 싱은 식민지의 역사를 망각하지 않고, 민중이 받게 된 고통의 원인이 영국 지배에 있다고 비판한 것이다. 염상섭은 한국의 분단 상황에서 일제의 역할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그는 식민지 정책과 그것이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했다. 조선인들은 일제의 식민정책으로 인해 만주로 탈출했다. 한국의 민중은 일제 식민지 정책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일제 강점기에 계급 의식과 차이가 생겼고, 이것이 해방 후 발생한 좌우 이데올로기의 뿌리라고 볼 수 있다. 이 좌우 대립은 더 나아가 냉전 시대의 분단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염상섭은 일제의 식민 통치를 비판하기보다는 전쟁에서 패한 일본인들에게 애도의 태도를 표한다. 그 대신 염상섭은 미국과 소련이 가져온 사상의 이분법에서 한반도 분단의 원인을 찾았다. 그는 소련과 미군의 주둔에 대한 분노와 절망을 보여준다. 분단의 책임자로 신식민지배자인 소련과 미국을 고발한다. 염상섭의 이런 태도는 일제 강점기의 흔적을 망각하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감각의 차이는 염상섭과 쿠스완트 싱의 사회상과 생애 때문이다. 즉 이들이 분단때 서 있는 위치때문이다. 염상섭은 남한 사람이며 분단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잃은 것이 없었다. 오히려 염상섭은 분단 때 남한에 돌아와 안정감을 취했다. 반면에 쿠스완트 싱은 분단의 피해자였다. 그는 파키스탄 사람으로 분단을 경험했다. 분단 때 시크교에 속함으로 그는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큰 이분법에서 자기 종교 정체성이 힌두교에 흡수된 시크교로 분단을 감각을 했다. 그래서 그는 분단을 더 복합적으로 볼 수 있었다. 그런데 염상섭은 분단을 신식민지의 영향으로만 보았고, 이것이 염상섭으로 하여금 분단을 단순화하도록 만든 것이다.
한국의 분단을 인도의 분단과 비교해봤을 때 한국의 탈식민지 분단은 복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식민지로부터 해방된 이후, 한국에는 신식민지가 도입되었다. 신식민지는 냉전 체제의 결과물이고 한국 사회를 좌파와 우파로 나눴다. 그런데 이러한 좌파, 우파의 이분법은 신식민지의 책임만은 아니다. 이러한 사상의 대립은 식민지 지배 전략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었다. 식민지의 분할과 지배의 통치 전략은 한국 사회를 경제적으로 나눠 계급 의식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식민지는 분할 지배의 한 도구로 이용한 개혁을 통해 한국의 사회를 여러 파로 분할했다. 이와 같은 식민지의 지배전략은 해방 이후 회상되어 심각한 사상의 갈등을 일으켰다. 이러한 사상의 갈등은 신식민주의와 결합하여 지도자와 국민의 욕망으로 한반도에서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두 나라의 설립으로 끝을 맺게 되었다. 염상섭과 쿠스완트 싱은 소설을 통해 분단의 내셔널리스트 역사를 대항했다. 내셔널리스트 역사는 해방과 국민국가의 형성 위대한 사건으로 기념하여 분단을 무시했다. 인도와 한국의 분단은 양국의 국민에게 고통과 고난의 원인이 되었다. 소설가로서 염상섭과 싱은 해방의 여파인 분단을 보여주기 위해 지역적과 개인적인 진술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한국의 분단은 외적 혹은 신식민지의 도입으로 인한 것뿐만 아니라 내적 혹은 일본 식민지의 매우 큰 영향이 있다. 그래서 한국분단에 있어서 식민지의 영향도 깊이 논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분단을 바라보는 작가는 분단을 단순하게 봤다. 염상섭은 한국의 분단을 신식민지의 결과로 봤다는 것이 분단을 냉전 체제의 한 정치적인 문제로 단순화한다. 인도와 마찬가지 한국의 분단의 뿌리는 식민지 지배 전략에 있다. 식민지의 지배전략을 이해하고 극복해야 한국의 분단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다. 혹은 한국의 분단을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봐야 한다. 식민지의 지배전략은 한국에서 이념의 갈등을 심었다. 이 갈등을 없애려고 하면 식민지가 한국 사회에서 심은 계급 의식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한국에서 분단을 극복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03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