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하층민전 연구 : A Study on Hacheungminjeon of the late Joseo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하늘

Advisor
김대중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선후기하층민민의 사고와 행위하층민을 보는 지식인의 시각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김대중.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Jeons(biographies) of the Pyeongmin(common people) and the Cheonmin(lowest class people) written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late 19th century in the Joseon Dynasty. By investigating the works called Hacheungminjeon(the biography of lower class people),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intellectua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looked at lower class people and how their points of view are embodied in the literature of the era.
Chapter 2 outlines the types of main characters of the biographies, the classes of their writers, and the changes of the genre over time. The main characters are very diverse, including Nobi (slaves), Gisaeng(courtesans), peasants, craftsmen, merchants, wanderers, and beggars. Most of the biographers originally belonged to Sadaebu(the noble class), but since the 18th century, writers from Jung-In(the middle class) and Seo-Eol(the sons of concubines) began writing the biographies. The number of these works began to grow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reached its quantitative peak in the 18th century, and continued to be written in the 19th century. Over this period of time, the literary genre underwent changes along with general social changes including the diversification of the intellectual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e literary class.
Chapter 3 classifies the writers into three groups: the neo-Confucian scholars, the Kyeonghwasajok (the elites who lived in Seoul), and the Jung-In and Seo-Eol. Also, it highlights the characteristic topics of each group. The neo-Confucian scholars tend to record the lives of the lower classes who are faithful to the neo-Confucian norms such as loyalty, filial piety, and feminine virtues. Based on the neo-Confucian doctrine of human nature, the biographers endeavor to establish the image of the lower class as a moral agent. In addition, they try to strengthen their leading position as Sadaebu by emphasizing that the good deeds of the lower class people come from their moral influence. They also attempt the moral awakening of the Sadaebu by exemplifying virtuous deeds of the lower class people.
The writers of the Gyeonghwasajok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tradition of Hacheungminjeon, especially by attending to the non-normative aspects of the lower classes. Their works are typically focused on the desires and strategies of the lower classes, such as their desire for love, the pursuit of sexual pleasure, and behind-the-scenes power in backstreets. However, despite the non-normativity in their representation of the characters, they adhere to the traditional class consciousness and values in their moral evaluation of the characters. This phenomenon can be explain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genre norms, the contexts of remarks, and the gap between observation and ideology.
The Jung-In and Seo-Eol writers develop a critical attitude toward class discrimination in writing Hacheungminjeon. Jung-In writers want to get social recognition by using the traditional doctrine of human nature and emphasizing the contrast between the Sadaebu and the lower classes. Seong Hae-eung, a Seo-Eol writer, combined the traditional topics and narratives of the Hacheungminjeon with his demand for abolition of discriminatory laws regarding Gisaeng and Nobi. By introducing social thoughts in that genre, Seong Hae-eung innovated the tradition of Hacheugminjeon.
Chapter 4 examines Hacheunminjeon by focusing on their characters, topics and narratives, forms, and genre characteristics. The Hacheunminjeon integrates two tendencies: strengthening the typicality of the figure and strengthening its individuality. The typical figures of the Hacheunminjeon are filial sons, virtuous women, and loyal Nobi. This is because of the spread of the neo-Confucian social norms, the expansion of nation-wide reward for filial sons and virtuous women, and the writers' attempt to further the obedience of the lower classes. However, the Hacheungminjeon which emphasized the individuality of the characters was written, too. The writers created many unique characters in their personality and behavior by using a variety of concrete and vivid literary images and techniques. This change in the literary genre was made possible through factors such as the diversification of lower class lives, socio-economic changes in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hift of individual writers literary taste.
As more lower class people appeared as main characters in the Jeon, there came more Jeons which deal with social issues, such as the upper classs subjugation, poverty, sexual exploitation of the lower class, and the corruption of officials. The writers incorporated the hardships of lower class people and their responses to them into the narratives. The characters often overcome their hardships with their pure abilities and sometimes they protect their dignity by committing suicide in face of the problems hard to overcome. The writers created well-organized narratives by systematically arranging anecdotes and highlighting important events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They also enhanced the emotional effect of the work by taking a viewpoint different from the customary view.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some Hacheungminjeon were written with theoretical discussion enlarged in volume or changed in form. Writers try to instill ideology or express existential concerns by virtue of such a formal transformation. They also reveal the situation of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or raise political issues. This formal transformation can be attributed to a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the nature of the topic, the writer's critical consciousness,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is formal transformation allowed some Hacheungminjeon to be a critical and theoretical writing beyond a simple record of a persons life.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on vigorously interacted with similar genres such as folktales and Yadam(folklores recorded in classical Chinese). This interaction is especially noticeable in the Joen of the lower class. As a result, narrative elements of folktales are selected, excluded, and trans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genre norms of Jeon, while the boundary of Jeon is also expanded under the influence of folktale. Its interaction with folktales facilitated the genre transformation of Hacheunminjeon, the result of which was the introduction of fictional imagination or the interesting representation of conflicts. This type of narrative also made it possible to unify the thoughts and actions of minorities, such as slaves resistance to their masters and women's agency.
본고의 목적은 16세기 말에서 19세기 말까지 창작된 평민과 천민의 전기적 기록들을 작가의식과 문예적 특질의 양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본고는 하층민전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이 작품들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후기 지식인이 하층민을 어떠한 시각에서 바라보았고 그런 시각이 어떻게 문예적으로 구현되어 있는지 밝히려고 한다.
2장에서는 입전 인물의 유형, 작가층, 시대적 추이를 개관한다. 하층민전의 입전인물은 노비와 기녀를 비롯한 천민, 농민, 工人, 상인, 유랑민, 걸인 등 다양하다. 작가층은 대다수가 사대부이지만, 18세기 이후에는 중인과 서얼이 하층민전 창작에 합류하기도 했다. 하층민전은 16세기 말부터 성장하여 18세기에 양적으로 최고조에 이르렀으며 19세기에도 계속 창작되었다. 그 과정에서 사회변동, 지식인 사회의 분기, 문학 담당 계층의 확대를 반영하며 변모해 갔다.
3장에서는 작가층을 재야 성리학자, 경화사족, 중서층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의 특징적 입전의식을 고찰한다. 재야 성리학자들은 충, 효, 열 등 성리학 규범을 실천한 하층민을 전기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들은 인성론을 근거로 삼아 도덕적 주체로서의 하층민상을 정립했다. 또, 하층민의 도덕적 행위를 사의 교화에 의한 것으로 파악하거나, 하층 인물들을 본보기로 삼아 사의 도덕적 각성을 촉구함으로써 사의 주도적 위치를 확인·강화하고자 했다. 이런 의도를 가진 하층민전의 원형이 정립된 것은 16세기 말이다. 이후 작가의 존재 양상, 시대 상황, 하층민의 동향을 반영하면서 전통의 계승과 변용이 이루어졌다.
경화사족 및 경화사족의 문풍에 동참한 작가들은 하층민의 탈규범적 면모에 주목함으로써 하층민전의 세계에 변화를 일으켰다. 이들의 기록은 사랑에 대한 욕망, 시정에서의 막후 권력, 쾌락 추구 등 하층민의 탈규범적 면모와 욕망을 조명한 점에서 특이하다. 하지만 이들의 작품은 인물의 재현이라는 면에서는 탈규범적이지만, 인물에 대한 작가의 평가에서는 사의 전통적 계급의식과 가치규범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차이와 비일률성은 전의 장르 규범, 발언의 맥락, 관찰과 이념 사이의 간극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빚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서층 작가들은 하층민전의 전통을 이용하여 신분차별에 대한 비판의식을 개진했다. 중인 작가들은 인성론을 비롯해서, 사대부와 하층민의 대비라는 전통적 담론을 이용하여 사회적 인정을 추구했다. 서얼 작가인 성해응은 하층민전의 전통적 소재와 서사를 관기제 비판 및 노비세전법 폐지 요구와 결합했다. 이로써 성해응은 사회사상의 측면에서 하층민전의 역사에 혁신을 일으켰다.
4장은 하층민전의 문예적 특질을 인물, 소재와 서사, 형식, 장르적 성격의 측면에서 고찰한다. 하층민전에는 인물 형상의 전형성이 강화되는 흐름과 개성이 강화되는 흐름이 공존한다. 하층민전의 전형적 인물은 효자, 열녀, 충노이다. 이런 인물들이 양산된 배경에는 성리학적 사회규범의 확산, 정표의 확대 그리고 사회질서의 동요 속에서 하층민의 순종을 권장하려는 작가들의 의식이 놓여 있다. 반면에 인물의 개성을 부각한 하층민전도 창작되었다. 성격과 행적이 독특한 인물이 많이 입전되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문학적 수법을 통해 인물 형상의 구체성과 생동감이 강화되었다. 여기에는 하층민의 생활 방식의 다양화, 조선 후기의 사회 변동에 따른 작가 의식의 변모, 문풍의 변화 등의 요인이 작용했다.
하층민이 입전 대상으로 등장함에 따라 예속, 빈곤, 상층에 의한 성적 착취, 수취제도의 문란 등 하층민이 현실에서 겪는 문제를 소재로 삼은 전도 출현했다. 그리고 이런 하층민의 고난과 대응이 작가들에 의해 서사적으로 재구성되었다. 인물들은 능력을 발휘하여 고난을 극복하기도 하고, 현실적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 앞에서 죽음으로써 자기 존엄을 지키기도 한다. 상전을 헌신적으로 돌봄으로써 불행 속에서 삶의 보람을 찾기도 한다. 작가들은 일화를 조직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의 긴밀성을 높였다. 특히 중요한 사건을 구체적으로 재현하기도 했다. 또 전의 관습적 시점과 다른 시점을 취함으로써 작품의 정서적 효과를 높이기도 했다.
17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의론이 확장되거나 변형된 하층민전이 산발적으로 창작되었다. 작가들은 이런 형식적 변형을 통해 이념을 고취하거나 실존적 고민을 표현하고자 했다. 또 사회적 약자의 처지에 대해 논하기도 하고, 현실정치의 문제를 전에 끌어들인 경우도 있다. 이런 형식적 변형은 소재의 속성, 작가의 문제의식, 작가가 처한 시대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초래된 결과였다. 이런 형식적 변형 덕분에 전이 인물에 대한 기록을 넘어 의론적 글쓰기의 성격을 갖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전이 민담이나 야담 등 인접 장르와 활발하게 교섭했다. 이런 교섭은 특히 하층을 입전한 전에서 두드러진다. 그 결과 설화적 요소가 전의 장르 규범에 맞게 선택·배제·변형되는 한편, 설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아 전의 장르적 경계가 확장되기도 했다. 민담과의 교섭으로 인해 허구적 상상력이 개입하거나 갈등이 흥미롭게 재현되는 등 하층민전의 장르적 변용이 촉진되기도 했다. 또 야담 성향의 이야기와 교섭함으로써 주인에 대한 노비의 저항이나 천민 여성의 자기주도적 삶 등 소수적 존재의 사고와 행위가 부각된 측면도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5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3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