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VN了' 형식 은현문의 정보구조 연구 : 现代汉语VN了形式隐现句的信息结构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당리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VN了’ 은현문정보구조확인가능성초점구조담화 기능도상성경제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3. 2. 박정구.
Abstract
表示某人或某物出现、存在、消失的的现象内化于语言中形成了存现句(包括存在句和隐现句)。存现句虽被广泛研究, 但关注点主要还是典型形式的例句。来客人了、出太阳了、*来狼了等虽零散见于各类研究文献, 但对其所隶属的VN了隐现句的研究却难见踪迹。信息结构理论为我们提供了一个可以从句法、认知、语用等层面的相互作用中来整体观察VN了隐现句的视角, 由此可以找到解锁这些代表性例句成句的动因, 及其在与相似句式竞争中被选择的关键线索。
本文参照前人研究和《汉语动词用法词典》对VN了形式的隐现句进行了全面整理和分类, 在此基础上对其句法特征进行了详尽的描述与统计。从各成分的特点来看, 动词具有口语性和单音节性, 场所作为句首成分出现的频度极高, 仅次于无句首的VN了句。从句法分布来看, 其主要出现在对话体的单句及复句的起始句。句式的简洁性和分布特点正是基于事件导入的篇章功能的要求。
从语义层面来看, 首先, 越是接近原型义隐现句中的动词, 更多是具有施通格性的不及物动词, 而越是距离原型义隐现句较远的类型, 则及物动词的使用率增加。由于施通格性的不及物动词内在论元的位置, 与隐现句式的论元位置高度匹配, 因此成为第一批进入这个句式的动词类别。反之, 主宾格性的不及物动词内在论元的位置与隐现句式并不匹配, 因此很难进入。但由于表达丰富性的要求, 句式发展中一部分及物动词加入, 因为不及物动词受事论元的位置与隐现句论元位置匹配, 另外多出的施事论元则可通过隐现句的句首成分进行压制。其次, 与这些不同类型动词紧密相关的论元, 分别分布在主体和客体两个语义强弱渐变的连续体中。微小的语义差异, 特别是自主性的强弱, 看似对VN了句式并不造成影响, 但在其他语言(如傣语)中会成为左右句式选择的要因。动词的施通格性及论元的语义差异, 也会牵制焦点结构和篇章功能的选择。
在句法和语义研究的基础上, 本文运用信息结构理论中的识别性和激活性概念, 对相关实体的心理特征进行了分析。首先, VN了隐现句典型地反映了语言范畴中时间顺序的像似性, 因此与之相关的实体一般是很难被识别和未被激活的。动词内在论元的激活性若与之一致则可以进入句式, 反之会受到制约, 这也是*停雨了、*走客人了等难以成句的原因。此外, 被允准进入的动词还要面对名词的匹配, 极易被激活的专有和亲属名词等也因此被制约而不能产生诸如*来爸爸了这样的表述。其次, NV了中的N除了未被激活状态外, 整体呈现多样化的心理特征。特别是警告语气下, 由于说话人对相关实体极高的警戒性使之极易处于意识中心,因此更倾向于采用NV了形式, 这也可以解释为什么在寓言《狼来了》中说狼来了而不是*来狼了。需要强调的是, 激活性能解释关于VN了的很多语言现象, 但并不是唯一对VN了造成制约的因素。整体来看出现在VN了形式中的动物类名词并不多见, 这与人类中心原则有关;此外, 对出太阳了可以成句而*太阳出了不成句的现象, 我们也需要从历时及其他角度进行考量。
从语用关系来看, 首先, VN了的焦点结构虽然与识别性特征并非一一对应,但不可否认二者具有高度关联性。无句首成分的VN了主要体现为全句焦点;有句首成分时, 可以表现为谓语焦点和全句焦点, 但受激活状态牵制, 只有部分例句表现为论元焦点。因为自主性低, 离原型施事较远的论元, 很自然选择VN了形式, 并且有逐渐词汇化倾向, 其对激活性的敏感性较弱;反之, 类似客人这样自主性高, 离原型施事较近的论元, 在动词前后的移动较为灵活, 也对激活性更为敏感, 受到的制约也更强烈。其次, NV了形式可表现为谓语、论元和全句焦点结构,这充分说明了有限性的语言材料如何承担着多样化的语用要求。但通过韵律倒置、句法倒置、焦点标记等方式可以对形式类似, 语用不同的结构进行甄别。关键在于, 同样由了₂标记的VN了和NV了均可作为全句焦点出现, 那么差异落在何处?
除激活性差异外,二者的不同还体现在语篇功能和话题链的扩张方式上。一般认为存现句的语篇功能是以承继的方式引入一个新的实体, 导入到后续篇章中成为新的话题。通过对VN了隐现句后续小句的分析,可以发现VN了具有较弱的导入新实体的功能, 反之, 导入某个事件或事态的功能更为明显。而且不同类别的隐现句呈现出一定差异性, 除下(雨)类外, 一般自主性强、生命度高的论元, 话题导入的功能略强, 反之导入事件的功能略强。NV了虽然与VN了形式类似, 但受句法形式的制约, 使其几乎不具有引入新实体的条件, 大多是导入某个事件或事态, 或以平行方式延续既有的话题。综上, 我们可以得出如下结论:

VN了承继了典型隐现句的语用功能, 可以导入某个新的实体进入后续篇章,并以这个实体为话题,展开持续性不强的叙述。但由于新的语用要求, 典型形式的隐现句在经济原则的作用下形式精简, 进而对某种频繁出现的、与人类息息相关的、突然发生的现象或事件, 进行快速而高效的报道。
若这种报道具有警告性, 则倾向采用NV了形式, 若不具有警告性, 则同为全句焦点的VN了和NV了会在心理特征上呈现一定差异。
这种语用功能的VN了隐现句, 在原型和非原型性的隐现句, 出现句和消失句中的呈现是非常不均衡的。但高频的语用要求下,VN了隐现句的接纳度也有进一步拓宽的可能性。
本文通过大量语料分析和统计, 在相似句式的对比中, 运用信息结构理论串联并梳理出了VN了隐现句在句法、语义、认知和语用上的相互关联与制约, 这些共性特征中不同小类也会呈现出一定差异。本文在整体研究的基础上, 也对来客人了, 出太阳了, *来狼了等一些代表性例句进行了详尽分析, 期望通过以大观小, 以小窥大的考察, 梳理出各个层面环环相扣的连接点, 也对隐现句研究中一些易被忽略的部分有所完善。
본고는 정보구조 이론에 근거하여 지금까지 충분히 주목받지 못한 VN了 형식의 은현문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본 주제를 연구하는 이유는 来客人了, 出太阳了, *来狼了 등의 예문이 많은 논문에서 언급되었지만 각기 다른 측면에서 해석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관한 결정적인 해결법이 아직 등장하지 못했고, 형식상으로 이러한 예문들은 모두 VN了 은현문에 속하기에 함께 묶어서 연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연구들에서 존현문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졌지만, 그 하위분류인 VN了 은현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VN了 은현문의 통사, 의미, 인지, 화용적 특성을 귀납하여 정보구조의 관점에서 각 측면 간의 연관성을 밝히고, 개별 예문과 관련된 문제 또한 깊이 분석하여 해결법을 탐색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VN了 은현문의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사적 측면에서 보면 VN了 은현문은 VN了와 장소+VN了 형식이 가장 많으며 V는 구어성, 단음절성을 지닌다. 통사적 분포에서 VN了가 고빈도로 나타나는 경우는 복문의 시작절과 진술, 감탄류의 단문에서이다.
둘째, 의미적 측면에서 보면 전형적인 은현문일수록 능격-절대격성을 갖는 자동사를, 비전형적인 은현문일수록 타동사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자동사, 타동사와 관련된 논항의 집합은 각각 행위자 의미역 위계, 피위자 의미역 위계에 속한다. N의 자주성은 담화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며 자주성이 떨어질수록 후속 글에서 화제를 도입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셋째, 인지적 측면에서 보면 은현문의 지시체는 일반적으로 확인불가하거나 비활성화된 심적 상태이다. 따라서 V가 은현문의 이러한 인지적 특성과 일치하지 않는다면 VN了 은현문에 쓰이기 어렵다. 이것이 *停雨了, *走客人了가 비문이 되는 주된 이유이다. 동사뿐만 아니라 쉽게 활성화된 고유명사, 친족 명사 등도 제약을 받는다. 경고의 의미로 쓰일 때는 앞에 문맥에서 언급되지 않았어도 인지상으로 지시체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여 그것이 의식의 중심에 위치하게 되기에 쉽게 활성화 상태가 되며, 경고성 어투일 경우에는 VN了가 아니라 NV了 형식이 우선 선택되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양치기 소년》에서 *来狼了가 아니라 狼来了를 사용하게 된다. 심적 상태만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도 존재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인간 중심적 측면과 통시적 관점 등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넷째, 화용적 관계로 보면 비록 지시체의 심적 상태와 화용적 관계 간에 일대일 관계가 성립하지는 않지만 둘은 높은 연관성을 지닌다. 문두+VN了 은현문은 서술어초점구조, 문장초점구조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일부 문두+VN了는 논항초점구조로도 나타날 수 있다. VN了는 주로 문장초점구조로 나타난다.
다섯째, 담화 기능 측면에서 보면 VN了는 은현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지시체를 도입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전형적인 은현문과 다른 점도 존재한다. 인간이 자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돌발 상황 혹은 사건이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는 것을 보고하려는 화용적 상황에서 도상성과 경제성 등의 원칙이 적용되어 VN了 은현문이 사용될 수 있다.
VN了 은현문의 활용적 기능과 통사, 의미, 인지 등의 측면을 연결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구어성 동사, 이와 결합할 수 있는 고빈도로 쓰인 명사들이 VN了 은현문에 많이 출현한다. 또한 돌발적이고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시간적 도상성 원칙이 적용되어 논항이 동사 뒤로 이동한다. 능격-절대격성을 가진 동사는 내포적 특징이 VN了 형식의 특징과 일치하기 때문에 다른 동사보다 더 쉽게 VN了 은현문에 들어갈 수 있다. 관련 지시체는 확인불가능하거나 비활성화된 상태로 파악된다. 행위자 주어가 없고 了₂가 나타나며 비활성화된 심적 상태 등으로 인해 VN了의 활용적 관계는 문장초점인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경제성 원칙을 적용하여 은현문은 맨동사, 맨명사 또는 문두 생략을 특징으로 사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건을 도입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VN了 은현문은 주로 대화의 단문과 복문의 시작절에 많이 출현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보면 VN了 은현문의 화용적인 기능이 어떻게 언어의 형식, 의미, 인지 등에 반응되는지를 잘 알 수 있다.
본고는 전체적인 연구에서 来客人了와 같은 개별 예문 또한 客人来了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来客人了와 客人来了는 통사적, 의미적 측면에서 차이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화용적 측면에서 나타난다. 客人은 来客人了에서는 주로 확인불가하고 비활성화된 상태이지만 客人来了에서는 비활성화 상태를 제외하면 다양한 심적 상태를 보인다. 来客人了는 주로 문장초점으로 나타나고 客人来了는 서술어초점, 문장초점, 논항초점구조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문장초점으로 출현하는 경우 客人은 来客人了에서 비활성화된 상태이고, 客人来了에서는 주로 접근가능한 심적 상태이다. 또한 来客人了는 은현문 자체의 영향을 받아 단계적으로 화제를 도입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능이 있지만 客人来了에서는 이런 기능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전체연구와 개별 예문 분석을 통해 VN了 은현문의 형식과 기능은 일대일의 대응보다 더 복잡한 양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즉 문장형식과 인지, 화용 등의 요소가 서로 조화롭게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에서 존현문에 속하는 VN了 은현문의 기능은 새로운 지시체의 도입 즉, 제시의 기능에서 지시체가 참여하는 사건을 도입이라는 화용적 기능으로 변화하고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8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