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도르노의 칸트 도덕철학 비판에 관한 연구 : Adornos Critique on Kants Moral Philosophy: Focusing on the Antinomy of Freedom and Causality
자유와 인과성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채푸름

Advisor
정호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도르노칸트도덕철학제3이율배반자유의 이율배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3. 2. 정호근.
Abstract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철학 중 그간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도덕철학적 주장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아도르노가 칸트 도덕철학 비판에서 가장 핵심적이라고 간주하는 것이 『순수이성비판』에서 다루어지는 이성의 이율배반 중 세 번째 이율배반, 즉 자유와 인과성의 이율배반이다. 이는 이 이율배반이 해결되지 않으면 애초에 도덕의 영역을 열어보일 수가 없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즉, 제3이율배반은 도덕에 관한 가장 근본적인 문제 설정인 셈이다. 아도르노는 칸트가 이 이율배반을 다루고 해결하는 과정으로부터 출발하여, 그와 연관되는, 칸트에게서 규정되는 인과성과 자유의 개념을 비판한다.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이 비판들을 재구성하여 제시하고, 제기되는 비판에 응답함으로써 아도르노의 비판이 갖는 설득력과 유효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제2장에서는 제3이율배반의 전개와 해결 과정에 대해 살펴본 뒤, 본래적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이율배반을 칸트는 해결하려 함으로써 사이비 문제로 취급하고 있다는 아도르노의 비판을 다룰 것이다. 그 후, 제3이율배반의 한 축을 이루는 인과성 개념이 칸트에게서 본래의 의미로부터 확장되어 합법칙성, 그리고 사유 범주에 이르게 되며, 이는 인과성 개념이 동일성 사유의 한 사례이자 자연지배의 도구로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주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후 제3장에서는 제3이율배반의 나머지 한 축인 자유 개념과 이 개념을 중심으로 하는 칸트 도덕철학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아도르노는 칸트에게서 자유의 개념이 이미 제3이율배반에서부터 법칙성의 일종으로서 상상되고 규정된다는 한계를 가지며, 그로부터 제3이율배반의 근본적인 한계가 노정된다고 비판한다. 또한 자기-입법을 통해 자율성을 확보한다는 칸트적 자유는 자기-지배를 모티브로 하지만 결국 자기-종속으로 귀결된다는 이율배반을 갖는다. 그러한 자기-지배는 도덕적 행위의 실천에 필수불가결한 충동이, 비합리적 메커니즘에 의해, 합리주의적 자율성으로부터 사상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4장과 제5장은 지금까지 살펴본 아도르노의 주장에 대해 제기된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응답이 어떻게 가능할지에 대해 고찰한다. 먼저 제4장에서는 아도르노가 서로 구분되는 종류의 인과성 개념들, 그리고 필연성의 개념들을 혼동하고 있다는 비판을 다룬다. 본 연구는 아도르노의 관점에서 이것이 단순한 혼동이 아니라 개념들 간의 친연성에 기반한 정당한 비판임을 해명한다. 다음으로 제5장에서는, 칸트의 자유와 그러한 자유의 이율배반에 관한 아도르노의 규정이 칸트에 대한 오독에 기초해있으며, 그와는 다른 진정한 칸트적 자유와 그 이율배반이 존재한다는 주장을 살펴본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아도르노의 칸트 해석이 이미 그 대안적 해석을 포괄하며, 그러한 해석보다 칸트의 자유와 칸트 도덕철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This thesis focuses on moral philosophical arguments overlooked in Adornos philosophy. The main focus of Adornos criticism of Kants moral philosophy is the Third Antinomy, which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freedom and causality. If this Antinomy is not resolved, the moral realm cannot be opened in the first place. In other words, the Third Antinomy is moralitys most fundamental problematic issue. Adorno criticizes the process of dealing with and resolving this Antinomy, as well as Kants concepts of causality and freedom.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and present these criticisms of Adorno and to emphasize the persuasiveness and effectiveness of Adornos criticism by responding to the criticisms.
In chapter 2, the thesis will first examine the development and resolution process of the Third Antinomy and then look at Adornos criticism that Kant treats the Antinomy as a pseudo-problem by trying to solve it. It will then examine the argument that Kants concept of causality, one axis of the Third Antinomy, extends from original meaning to regularity and the category of thinking because the concept of causality is regarded as an example of identity thinking and a tool of domination of nature. Afterward, Chapter 3 critically examines the concept of freedom, another axis of the Third Antinomy, and Kants moral philosophy centered on this concept. In Kant, Adorno points out that the concept of freedom also has a limitation that it is imagined and defined as a kind of law from the Third Antinomy, and from that, he also criticiz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Third Antinomy. In addition, Kants freedom as autonomy through self-legislation is based on self-domination but results in self-submission. Such self-domination is achieved by abstracting impulses indispensable for the practice of moral behavior from rationalistic autonomy by irrational mechanisms.
Chapters 4 and 5 will examine the critical discussions raised about Adornos claims that have been examined so far and respond to them. Chapter 4 will examine the criticism that Adorno confuses distinguished concepts of causality and necessity in Kant and explain that it is not merely a confusion from Adornos point of view but a valid criticism based on affinity between the concepts. Next, chapter 5 will examine the criticism that Adornos interpretation of Kants freedom and its antinomy is based on misreading and that there is genuine Kantian freedom and its antinomy. In response, this thesis argues that Adornos interpretation of Kant already encompasses its alternative interpretation and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Kants freedom and Kants moral philosophy than the alternative.

Keywords: Adorno, Kant, moral philosophy, the Third Antinomy, the antinomy of freedom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5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