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에 관한 탐색 연구 : Exploratory study on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솔

Advisor
진보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구강건강노인노인 요양 시설전신건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2023. 2. 진보형.
Abstract
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y, identify major oral health problems, and secur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elderly.

2. Method
After approval by the Research Ethics Review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S-D20210033), 74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admitted to a nursing facility in K-gu, Seoul,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obtained voluntary consent, followed by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status was investigated. The long-term care grade, cognitive level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 MMSE-K), activities of daily life (ADL), systemic disease , medications taken, and data on diet type were collected. In addition,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the elderly who can respond, an investigator trained in individual interviews investigated their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ygiene management activities. For oral examination, overall oral health status was investigated with dental examination, periodontal examination, and oral health assessment too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20). Or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by a trained dentist using an artificial illuminator, alveolar mirror, and periodontal cystometer, and oral health risk assessment tools and oral health assessment tools were evaluated by a trained investigator. To test pathogenic bacteria in the oral cavity, saliva was collected and 7 types of periodontal disease-related bacteria (A. actinomycetemcomitans, P. gingivalis, T. forsythia, T. denticola, P. intermedia, F. nucleatum, P. nigrescens) and three dental caries-related bacteria (S. mutans, S. sobrinus, L. casei)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Blood tests (17 types), arm/calf circumference measurements, and grip strength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general health statu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to diagnose oral hygiene management status and problems by extracting convenience from 7 elderly people who could communicate freely.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demographic position,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ognitive status (cognitive normal, cognitive impairment) and daily life performance ability (independent, needing help).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6.0 (IBM Co., Armonk, NY, USA), and the significance level (α) was set at 0.05.

3. Results
The cognitive status of the study subjects confirmed based on the MMSE-K score (normal ≥ 24 points, 20 points ≤ mild cognitive impairment ≤ 23 points, moderate to severe cognitive impairment (dementia) ≤ 19 points) was cognitively normal in 33 cases (44.6%). ), and cognitive impairment (mild to moderate cognitive impairment) were 41 patients (55.4%), and there were more elderly people with reduced cognitive function. Oral health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dmitted to a long-term care facility according to cognitive status were meal type, presence of mental illness, need for brushing help, oral health assessment tool score, oral function test score, HDL-cholesterol level, LDL-cholesterol level, 25 There was a difference in -OH Vitamin D level and Albumin level (p<0.05). As for the daily living ability of the subjects confirmed based on the ADL, 26 (35.1%) were able to stand on their own and 48 (64.9%) needed help. The oral and general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dmitted to a nursing facility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differed in the presence of hyperlipidemia, HDL-cholesterol level, folate level, and albumin level (p<0.05). 39 people (52.7%) needed help with daily oral care, and among 29 denture users, 19 people (65.5%) needed help with denture care. Elderly residen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felt uncomfortable due to dry mouth and difficulty in chewing, and even if they complained of oral pain, they had difficulty in actually solving oral problems due to the absence of a dentist's request and difficulty in visiting the dentist. She responded that she had inadequate knowledge about oral health or felt that oral care was difficult. Due to mental illness, etc., he showed resistance when talking to a stranger or attempting oral contact. There was a lack of trust in the oral 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re personnel, and the care personnel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performance due to the lack of oral care education, but the demand for education was high. The subject responded that they wanted oral care by caregivers due to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old age, but that the request for oral care was relatively pushed out of priority due to other car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to manage not only oral health but also nutrition and general health in consideration of cognitive status and daily living performance for oral care of the elderly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상태를 조사하여, 주요 구강건강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입소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2. 방법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연구윤리 심의위원회 승인 후(S-D20210033), 서울시 K 구 내 노인 요양 시설 입소 만 65세 이상 노인 74명을 대상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자발적 동의를 구한 후,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상태를 조사하였다. 구조화된 조사지를 이용하여 조사 대상자의 돌봄 인력에게 대상 노인의 장기 요양 등급, 인지 수준(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Korea, MMSE-K),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fe, ADL), 전신질환, 복용 약물, 식사 유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응답 가능한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 구강건강 상태 및 구강위생관리 활동을 개별 면담으로 훈련받은 조사자 1인이 조사하였다. 구강 검사는 치아 검사, 치주 검사, 구강건강 사정 도구(보건복지부, 2020)로 전반적인 구강건강 상태를 조사하였다. 구강 검사는 훈련받은 1인의 치과의사가 인공 조명기, 치경 및 치주낭심 측정기를 가지고 조사하였고, 구강건강 사정 도구 평가는 훈련받은 조사자 1인이 따로 수행하였다. 구강 내 병원성 세균 검사하기 위하여 타액을 수집하여 실시간 유전자증폭(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으로 치주 질환 관련 세균 7종(A. actinomycetemcomitans, P. gingivalis, T. forsythia, T. denticola, P. intermedia, F. nucleatum, P. nigrescens)과 치아우식 관련 세균 3종(S. mutans, S. sobrinus, L. casei)을 정성/정량 분석하였다. 전신건강 상태 평가를 위해 팔/종아리 둘레 계측 및 악력을 측정하였고, 혈액을 채취 및 전문 분석기관에 의뢰하여 17개의 항목을 분석하였다. 자유롭게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 7인을 편의 추출하여 일대일 면담으로 구강위생관리 상태와 문제 진단을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의 인지 상태(인지 정상, 인지 장애), 일상생활 수행능력(독립 가능, 도움 필요)에 따라 인구사회학적 위치,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상태가 다른지 교차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6.0 (IBM Co., Armonk, NY, USA)로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다.

3. 결과
MMSE-K 점수를 기준으로 확인된 연구 대상자들의 인지 상태는 정상이 33명(44.6%), 인지 장애(경도 및 중등도 이상 인지장애)가 41명(55.4%)로 인지 기능이 저하된 노인들이 더 많았다. 인지 상태에 따른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상태는 식사 유형, 정신질환 유무, 잇솔질 도움 필요 여부, 구강건강 사정 도구 점수, 구강 기능 검사 점수, HDL-cholesterol 수치, LDL-cholesterol 수치, 25-OH Vitamin D 수치, Albumin 수치에서 차이가 있었다(p<0.05).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기준으로 확인된 대상자들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자립 가능한 사람이 26명(35.1%),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48명(64.9%)으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더 많았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따른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구강건강 및 전신건강 상태는 고지혈증 유무, HDL-cholesterol 수치, Folate 수치, Albumin 수치에서 차이가 있었다(p<0.05). 일상적 구강관리 시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39명(52.7%)이었고, 틀니 사용자 29명 중 틀니 관리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은 19명(65.5%) 이었다.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은 구강 건조, 저작 곤란 등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고, 구강 통증을 호소하여도 치과의사의 촉탁 부재, 치과 방문의 어려움 등으로 실질적인 구강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있었다. 구강건강에 대한 부적절한 지식을 가지고 있거나 구강관리를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스스로 구강관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도 신체적 한계에 부딪혀 포기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정신질환 등으로 인하여 낯선 조사자와의 대화 또는 구강 부위 접촉 시도 시 거부감을 보였다. 돌봄 인력의 구강관리 지식 및 수행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였고, 돌봄 인력은 구강관리 교육 부재로 수행의 어려움을 호소하면서도 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높았다. 대상자는 고령으로 인한 퇴행성 질환 등으로 돌봄 인력의 구강관리를 원하였지만, 전신건강 관리와 같은 돌봄 행위로 인해서 구강관리에 대한 요구는 비교적 우선순위에서 밀렸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요양 시설 입소 노인의 구강관리를 위해서는 인지 상태와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고려하여 구강건강뿐만 아니라 영양과 전신건강 상태를 함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4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28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