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진정법 시행 시 발생한 사망사고가 치과계 진정법 시행에 미친 충격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fatal accidents during sedation on dental sedation trend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은혜

Advisor
서광석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보건의료빅데이터치과 진정법사망사고진정제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치과대학 치의과학과, 2023. 2. 서광석.
Abstract
1. Objectives
Administration of sedatives during dental treatment reduces patients' anxiety and enables effective treatment, but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death may occur due to side effects of sedatives. Nitrous oxide, chloral hydrate, midazolam, and hydroxyzine are commonly used sedatives in pediatric dental sedation in Korea. Each sedative has various characteristics such as an administration method, an action time of the drug, and a depth of sedation, and various side effects may occur. Dentists have been performing sedation using their preferred medications. According to a recently published study, it can be seen that the use of chloral hydrate used for pediatric sedation in Korea decreased sharply in October 2017. The authors of the study attribute these changes to fatal accidents during sedation.
When deaths related to dental sedation are widely reported in the media, patients with severe dental phobia or their guardians are reluctant to do dental sedation due to concerns about complications during sedation, and dentists themselves who perform sedation experience a depress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results that analyze the tendency of dental sedation to decrease using actual data.
The recent emergence of health care big data, such a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concrete data on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of the entire country, unlike in the past. In this study, using the big data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we tried to analyze the number of cases of sedation and the types of drugs used in dental sedation using monthly change data. In addition, we investigated how deaths related to dental sedation were exposed to the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iming of fatal accidents a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dental sedation cases, whether a decrease in the use of certain sedativ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and how long it took for the reduced number of sedation cases to normalize. In this study related to dental sedation in Korea, we tried to find out the causes of how these fatal accidents affect the choice of sedatives, and to find out the future direction of dental sedation in Korea.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provide a lot of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e in Korea.

2.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provided by the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rom January 2007 to September 2019, claim data of eight sedative drugs including nitrous oxide, chloral hydrate, midazolam, and hydroxyzine were investigated and collected monthly. Using the Internet, we investigated death accident records reported in relation to dental treatment under the sedation in Korea.
The number of monthly sedation cases and the number of hospital cases performed were shown in a time series chart, and the degree of change was modeled by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fatal accident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edation method, an analysis using an interrupted time series model and an intervention analysis using an ARIMA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were conducted.


3.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two deaths that occurred on September 1, 2012 and October 20, 2017 on dental sedation, in the case of nitrous oxide-chloral hydrate-hydroxyzine complex, the 2012 ca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umber of uses, but it decreased by more than 30% after the 2017 incident. Even after that, it did not recover to the previous number of uses and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nitrous oxide-midazolam combina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ccurred in the month of the incident in 2017, but gradually recovered. In the case of chloral hydrate, since the 2012 incident, there has been a continuous declin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Midazolam only sedation continued to be used for sedation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both death events. In the case of sedation with nitrous oxide alon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ccurred in the month of the incident in 2017, and was recovered after 2 months.

4.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deaths during sedation on the choice of drugs used during dental sedation using health care big data, the use of chloral hydrate decreased after deaths in 2012, and deaths in 2017 Afterwa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nitrous oxide-chloral hydrate-hydroxyzine complexes decreased.
The use of nitrous oxide alone or the combination of nitrous oxide and midazolam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atal accidents.
1. 목 적
치과 치료 시 진정제의 투여는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해 주지만, 진정제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망사고를 비롯한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한국에서 소아의 치과 진정법에서 주로 사용하는 진정제는 아산화질소(nitrous oxide), 클로랄하이드레이트(chloral hydrate), 미다졸람(midazolam), 하이드록시진(hydroxyzine)이 있다. 각 진정제마다 투여 방법, 약제의 작용 시간, 진정 깊이 등의 특성이 다양하고,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치과의사들은 각자가 선호하는 약제를 이용하여 진정법을 시행해오고 있는데, 최근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한국에서 소아 진정에 사용되는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사용이 2017년 10월에 급격한 감소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그 연구의 저자는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진정 치료 시 발생한 사망사고가 원인일 것으로 보고 있다.
치과 진정법과 관련된 사망사고가 언론에 크게 보도되었을 때, 치과 공포증이 심한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진정법 시 합병증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치과 진정법을 꺼리게 되고, 진정법을 시행하는 술자인 치과의사 스스로도 위축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치과 진정이 감소되는 경향을 실제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 결과를 찾기는 어렵다.
최근 국민건강보험 같은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출현은 과거와 달리 국가 전체의 의료환경 변화에 대하여 실질적인 자료를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정법 시행 건수와 치과 진정법에 사용되는 약제의 종류에 대하여 월간 변화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치과 진정법과 관련된 사망사고가 언론에 어떻게 노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사망사고 시기와 치과 진정법 건수의 감소 시기, 그리고, 특정 진정제의 사용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감소를 보이는지, 감소된 진정법 건수가 정상화되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의 치과 진정법과 관련한 본 연구에서 이러한 사망사고가 진정제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원인에 대하여 알아보고, 향후 한국의 치과 진정법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치과 의료 발전에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 방 법
본 연구는 한국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7년 1월부터 2019년 9월까지 아산화질소, 클로랄하이드레이트, 미다졸람, 하이드록시진을 포함한 8가지 진정 약제의 청구자료를 조사하여 월별로 취합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하여 한국에서 진정법 하 치과 치료와 관련하여 보도된 사망사고 기록을 조사하였다.
월간 진정법 시행 건수, 시행한 병원 건수를 시계열 도표로 나타내어 그 변화 정도를 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모형화 하였다. 그리고, 사망사고가 진정법 시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절적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분석과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모형을 이용한 개입분석을 시행하였다.

3. 결 과
2012년 9월 1일과 2017년 10월 20일에 발생한 2개의 사망 사건이 치과에서 사용된 진정제의 종류와 횟수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아산화질소-클로랄하이드레이트-하이드록시진 복합제의 경우, 2012년 사건에는 사용 건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으나, 2017년 사건 이후 30% 이상 감소하였다. 이후로도 이전 사용 건수로 회복하지 못하고 감소하였다. 아산화질소-미다졸람 복합제의 경우 2017년 사건 당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발생하였으나 점차 회복하였다.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경우는 2012년 사건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미다졸람 단독 진정의 경우 2개의 사망 사건 모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 없이 지속적으로 진정에 사용되었다. 아산화질소 단독 진정의 경우 2017년 사건 당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발생하였고, 2달 후 회복하였다.

4. 결 론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진정법 시행 시 발생한 사망사고가 치과 진정법 시 사용되는 약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2012년 사망사고 이후 클로랄하이드레이트의 사용 감소가 발생하였고, 2017년 사망사고 이후 아산화질소-클로랄하이드레이트-하이드록시진 복합제의 사용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산화질소 단독 또는 아산화질소와 미다졸람 복합제의 사용은 사망사고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4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6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